조이모자 선교회 자선음악회, 독창·합창 등 훈훈한 선율

싱글맘과 그 자녀들을 위한 선교 봉사단체 조이모자선교회(대표 박영희 목사)가 11월1일 저녁 7시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목사)에서 제12회 자선음악회를 열어 후원자와 음악팬, 각계 참석자 등에게 깊어가는 가을 밤 아름다운 선율을 선사했다.
 
박영희 목사의 감사인사와 신동철 목사(열린한마음교회 담임)의 개회기도로 시작된 음악회는 열린 오카리나앙상블의 양성석 씨 독주 ‘넬라 환타지아’로 무대를 열어 ‘나의 죄를 씻기는’ 등 합주로 분위기를 돋웠다. 이어 김혁 피아니스트, 이명희 첼리스트와 차유진 클라리네티스트로 구성된 피아노 트리오가 ‘누군가 널 위해 기도하네’ 등을 연주하고 박철 테너의 ‘하나님 사랑’ 등과 이영송 소프라노의 ‘눈‘ 등 독창에 청중이 큰 박수를 보냈다. 선교회 사역소개 동영상 상영과 헌금 및 박청자 목사의 헌금기도에 이어 후반은 영락 어린이합창단이 ’뜻을 세운 아이들‘등 3곡을 고운 소리로 들려주었다. 또 박철 테너와 이영송 소프라노, 피아노 트리오가 차례로 연주한 뒤 이영송-박철 듀엣이 ’기도‘등 3곡으로 마무리를 장식했다. 
선교회 박영희 목사는 “홀 엄마와 자녀들에게 큰 용기를 주는 아름다운 후원에 감사드린다”고 거듭 고마움을 표하며 변함없는 성원을 부탁했다.
 
< 문의: 416-505-7918 >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충청도의 어느 마을에 살던 외국인이 머리 깎으러 이발소에 들렸습니다. 주인 아저씨가 충청도 말로 인사말을 합니다. “왔시유?” 이 외국인 손님은 이 아저씨가 서투른 영어로 What see you? 라고 하는 줄 알고 친절하게 답변을 합니다. 지금 거울을 보고 있기 때문에 “미러(mirror).” 한참 후에 그 외국인은 완전히 빡빡 밀어버린 자신의 시원한 머리를 감싸 안고 당황해서 어쩔 줄 몰라 합니다. 이발소 아저씨도 얼굴이 붉으락 푸르락 하는 외국인 손님의 모습을 보면서 무슨 문제인지 몰라서 당황해 합니다.
 
 인간의 삶은 의사소통 없이는 존재할 수가 없습니다. 소통하지 않는 사회는 발전도 생명력도 없습니다. 모든 삶의 현장에서 막힘이 없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성장, 발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캐나다의 사회학자인 마셜 맥루언은 ‘인간은 소통의 동물이고, 점점 진보하는 기술과 함께 소통에 일대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했습니다. 실제로 인터넷과 대중매체 등 우리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술이 아주 빠른 속도로 늘어났습니다. 첨단 기술이 그러한 소통 문제를 해결해줄 거라는 믿음을 갖게 했습니다. 그러나 지금 갈수록 사회 곳곳에서 서로 바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많은 문제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세월호 사건도 어떤 면에서 보면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한 사건일 수 있습니다. 통신수단은 엄청 발달했지만 사람들 간의 진정한 의사소통은 꽉 막혀 있습니다. 불통입니다. 정치인과 국민들,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배운 자와 못 배운 자, 나이든 사람들과 젊은 세대 등 사회 곳곳에서 서로 의사가 통하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탐욕 때문입니다. 사람의 이기적인 욕심이 의사소통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의사소통의 기초는 경청입니다. 잘 들어주는 것입니다. 잘 듣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상대방을 이해하려면 상대방의 입장에 서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의 사회는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기 전에 내 생각, 내 주장, 내 의견을 먼저 쏟아냅니다. 상대를 설득시키려고 합니다. 힘으로, 아니면 거짓말로, 자신의 신분이나 직위를 가지고 내 말을 들으라고 합니다. 사회의 모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대를 기만합니다. 자신의 의견만을 쏟아내어 나의 욕심을 채우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곳곳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내 머리만 밀어버리는 웃지 못한 일을 경험하게 됩니다. 
 
부부 사이에, 부모와 자녀 사이에, 목회자와 성도들 사이에, 스승과 제자 사이에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생떽쥐베리의 소설 ‘어린 왕자’에는 이런 대사가 나옵니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 뭔지 아니?”, “흠… 글쎄요. 돈 버는 일? 밥 먹는 일?”,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사람이 사람의 마음을 얻는 일이란다.” 사람의 마음을 얻으면 의사소통이 잘 될 것입니다.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을까요? 서로 사랑하면 소통이 이루어집니다. 이런 말이 있습니다.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간은 지금이고, 가장 중요한 사람은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지금 누구를 만나고 있습니까? 그 사람이 가장 중요한 사람이며 그 사람을 사랑할 수 있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사람과 가장 마음과 마음, 영혼까지 통할 수 있는 관계가 될 것입니다. 사랑하면 모든 관심이 사랑하는 상대에 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일 것입니다. 그 얼굴 모습만 봐도 마음을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말이 필요 없어도 생각과 마음이 전달 될 것입니다. 사랑이 있는 곳에, 모든 곳에 소통이 이루어 질 것입니다.

< 강성철 목사 - 우리장로교회 담임목사 >


12월 28일 개막하는 지킴 토론토 2014 Gala Dinner 에서 말씀을 전하는 임현수 목사와 참석자들.

“GKYM 목표는 복음화 비전 품은 영적 지도자 훈련, 파송하는 것”

12.28~31 GKYM Toronto 2014 후원만찬
“젊은이들 위해 옥합깨는 위대한 일 동참을”

디아스포라 1세와 2세 한인 청년 선교운동인 세계한인청년선교축제(GKYM Fest: Global Kingdom Young adults Missions Festival) 제9회 2014 토론토대회를 위한 후원 만찬(Gala Dinner)이 11월1일 저녁 큰빛교회(담임 임현수 목사)에서 2백30여명의 성도와 후원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 열렸다.
 
오는 12월28일 주일부터 31일(수)까지 토론토 콩그레스센터(Toronto Congress Centre: 650 Dixon Rd., M9W 1J3)에서 ‘눈물의 씨앗’(Sow with Tears. 시편 126:5~6)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대회의 성공적 준비를 위한 기금모금 이벤트로 열린 이날 만찬은 큰빛교회 김봉수·리사 박 목사가 한·영어로 사회를 보는 가운데 김지연 목사(토론토 커넥트교회 담임: 토론토유학생선교회 대표)의 기도로 시작됐다.
만찬에 이어 GKYM 2014 소개 동영상 상영이 있었고, 비전나눔을 통해 지난 1회 나이아가라 2008대회부터 섬김이로 참여해온 이세윤 집사(은혜감리교회)의 간증이 이어졌다. 이 집사는 “매번 제대로 열릴까 걱정했지만 성황을 이뤘고, 주님이 임재하시며 수많은 청년들에게 미전도 종족을 섬길 비전과 추수꾼이 될 복을 주셨다”고 체험을 전했다. 이재빈 자매는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GKYM을 폭넓게 소개, “청년들을 선교헌신으로 인도하는 교회운동이며, 1세와 2세가 함께하는 선교운동”이라고 안내했다. 최장록·최중우·김우영의 J트리오와 문동환 형제의 특별연주에 이어 등단한 GKYM 대회장 임현수 목사는 ‘비전이 없는 백성은 망한다’(사 54:1~6)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했다.
 
임 목사는 “성경은‘가라, 장막터를 넓히라’고 말씀하셨는데 우리는 도전과 변화를 싫어하고 현실에 안주하기를 선호한다”고 지적하고 “우리가 장막을 넓혀야 하는 이유는 더 많은 영혼을 구원해야 할 교회의 존재이유요 보람이기 때문이며, 수많은 생명과 젊은이들을 비전으로 준비시키고 영역을 확장할 하나님을 위한 삶의 자리이고, 모든 족속을 제자삼아 복음과 사랑으로 세상을 정복하는 꿈을 이루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 우리가 젊은이들을 훈련시켜, 가는 선교사 보내는 선교사로 파송해야 하며, 지킴은 이런 목표를 위해 존재하고 자녀들에게 가장 위대한 꿈을 심어주려고 시작됐다. 이 곳에 오는 자녀들이 통일한국과 민족복음화의 비전을 보고 세계선교의 마지막 주자로 거룩한 임무를 감당하게 될 것”이라고 의의를 강조, “특히 올해 대회를 시점으로 내년부터는 전세계로 확산하게 되는 중대한 의미가 있다”며 이번 토론토대회에 기도와 적극적인 동참을 요청했다.
 
임 목사에 이어 노희송 목사(큰빛교회)는 ‘GKYM 동역으로의 초대’말씀에서 “우리가 거역할 수 없는 지상명령인 미전도종족에 복음을 전하고 차세대 젊은이들을 영적 지도자로 세우는 옥합을 깨는 위대한 일에 동역해달라”고 후원대열 참여를 간곡히 당부하며 동참을 결단한 성도들과 함께 감사기도를 인도했다. 행사는 노 목사의 폐회기도로 마쳤다. 
이번 GKYM 등록은 2차 마감인 11월30일까지 $200, 개막 직전인 12월26일까지는 $250의 등록비가 필요하다. 4~12세의 지킴 키즈는 각각 $100, $125이고 목회자는 $150, $200이다. 모두 음식이 포함된 비용이며, 호텔은 주최측이 정한 호텔들 중에서 개인이 예약해야 한다. 선교단체의 부스는 테이블당 $250이다.
 
< 문의: 647-969-7729, 647-828-0515 GKYM.Toronto@gmail.com, www.gkym.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