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우즈, 역시 ‘황제’

● 스포츠 연예 2013. 2. 2. 19:02 Posted by SisaHan

작년 수입 8,612만$
2위 미켈슨은 4,533만$

‘돌아온 골프황제’ 타이거 우즈(미국)가 2012년에도 소득은 최고였다. 미국 골프다이제스트가 집계한 지난해 골프선수 수입랭킹 조사에서 우즈는 8612만4386달러(약 917억원)를 벌어 가장 많은 수입을 올렸다. 상금이 912만4386달러, 코스 밖에서는 무려 77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지난해 3승을 수확하며 완벽하게 부활해 수입도 2011년보다 2200만 달러나 늘어났다.
사실 2009년에는 1억 달러를 벌었던 우즈다. 그 해 ‘섹스스캔들’이 터지면서 스폰서들이 속속 떠나 2011년에는 절반에 불과한 6200만 달러로 줄었다. 하지만 ‘제2의 정성기’를 열면서 초청료가 올라가는 동시에 다시 스폰서 계약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2위는 미국의 ‘프랜차이즈스타’ 필 미켈슨이다. 4533만5267달러다. 상금이 533만5267달러, 코스 밖에서 4000만 달러를 더했다.
 
‘옛날 골프제왕’ 아놀드 파머(미국)가 3위(3604만 달러)를 차지했다. 상금은 고작 4만 달러지만 코스 밖에서 3600만 달러의 막대한 수입을 올렸다. 파머가 바로 마크 맥코맥과 함께 매니지먼트그룹인 IMG를 설립한 현대 스포츠마케팅 기법의 창시자다. 코스 설계를 비롯해 이름을 빌려주는 라이선스 사업 등 다방면에서 탁월한 사업능력을 과시하고 있다. ‘옛날 골프황제’ 잭 니클라우스(미국)가 4위(2804만7000달러)로 뒤를 이었다. 
‘빅 4’는 순위 변화가 없었지만 11위에 그쳤던 세계랭킹 1위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가 5위로 치솟아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상금이 1558만2782달러로 코스 밖 수입 700만 달러보다 두 배 이상 많아 ‘빅 4’와는 명확한 대조를 이뤘다. ‘브리티시오픈 챔프’ 어니 엘스(남아공)가 1861만 달러를 벌어 2011년 대비 한 계단 오른 6위다. 가장 큰 순위 변동은 브랜트 스니데커(미국)다. PGA투어 페덱스컵 우승으로 단숨에 1144만 달러를 챙겨 45위에서 7위(1742만 달러)로 수직상승했다.
< 손은정 기자 >


2전3기 끝에 열린 ‘하늘문’

● COREA 2013. 2. 2. 18:58 Posted by SisaHan

우주개발 시대 신호탄 쐈다


나로호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에도 ‘하늘의 문’이 열렸다. 1992년 8월11일(한국시각)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의 쿠루 발사장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발사된 인공위성 ‘우리별 1호’가 우주 연구의 새 장을 열었다면, 30일 나로호의 성공적 발사는 본격적인 우주개발 시대가 도래했음을 의미한다.
나로호가 나로과학위성을 정상궤도에 올려 놓음으로써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과 2010년 1·2차 발사가 잇따라 실패로 돌아간 뒤, 우주개발 20년 만에 인공위성 자체 발사는 너무 성급하고 무모한 시도가 아니었느냐는 일부 지적도 있었지만, 이번 성공으로 그동안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낼 수 있게 됐다. 2021년께로 계획된 한국형 우주 발사체(KSLV-2) 개발 사업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또 세계에서 가장 작은 우주센터인 나로우주센터의 확장 사업도 본격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우주기술은 더는 공상과학 소설을 현실화한 첨단 과학기술이 아니라, 공기처럼 생존에 필수적인 생활기술이 됐다. 자동차 내비게이션에서부터 휴대폰 등 이동통신, 기상관측, 재해감시, 자원탐사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활용 범위가 넓어져가고 있다. 나로호는 지금까지 국가 수요 사업으로 추진돼온 우주개발 사업이 민간 산업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위성을 유지만 하는 데도 수명이 10~15년인 정지궤도위성을 5~7년마다 1기, 수명이 3~5년인 저궤도위성을 3~5년마다 4기씩 쏘아올려야 한다. 최소 1년에 1기 이상의 위성 수요가 발생한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경제 규모에 비춰 이 수요는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형 발사체 개발 등 자력 발사체계 구축을 통해 해외 의존도를 낮추는 것은 기술력 확보를 넘어 경제력 향상을 위해 필수불가결하다.

“지구는 인류의 요람이다. 우리가 언제까지 요람에 머물 수는 없다”고 한 러시아 우주 로켓 개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말처럼, 우주개발은 인류 전체의 지혜와 힘이 결집해야 하는 분야로 꼽힌다. 국내 우주과학자들은 나로호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이 기상·해양위성에서부터 행성 탐사에 이르기까지 우주개발 국제협력에 우리나라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밑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애초 자력 발사체 개발 대신 외국의 발사체 도입을 결정하는 과정에 드러난 정책의 혼선, 정책 담당자의 잦은 교체, 연구진에 대한 외부 세력의 간섭 등 나로호 사업을 추진하면서 드러난 우주개발 정책의 한계들을 극복해야 진정한 자력 우주개발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1조5000억원이 들어가는 한국형 발사체 사업처럼 대형 국책사업의 경우 일관된 정책 집행이 필수적인데 현재처럼 정책 책임자들이 수시로 바뀌는 구조에서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일부에서 미국 항공우주국(나사)처럼 우리나라도 독립적인 항공우주청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배경이다.


세계교회협의회(WCC) 부산총회를 앞두고 교계 내부에서 또다시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지난 13일 공동선언을 통해 보수·진보 교단이 WCC 개최 적극 협조와 화합의 모양새를 취했으나 발표된 공동선언문 내용이 문제가 되고있다. 즉 ‘개종 전도 금지주의 반대’를 비롯한 일부 조항이 교회의 연합과 일치를 표방하는 에큐메니컬 정신을 훼손할 만한 일이라는 데 있다. 일각에서는 교계의 화합도 중요하지만 대형 교회를 중심으로 한 보수 교단에 밀려 WCC와 에큐메니컬의 근본정신에 상충하는 선언문을 내놨다는 비난이 나오고 있다. 또한 보수교단 내부에서도 “한기총이 WCC 부산 총회 개최를 용인하는 것은 스스로 정체성을 의심할 일”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의 지난 17일 실행위원회에서 지적이 잇따르자 공동선언문에 서명한 NCCK 김영주 총무는 “10개월 앞으로 다가온 WCC 총회를 한국교회가 함께 축하하는 분위기에서 개최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너무 앞섰다”며 책임을 통감하고 사과의 뜻을 밝히기도 했다.
성공회대 신학과 교수들은 24일 입장문을 내고 “선언문은 에큐메니칼 운동의 정신을 본질적으로 부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