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군 안보 태세 점검했다’고 밝혀... 군 일정 차질빚어가며 골프 연습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8월9일 충남 계룡대 전시 지휘시설을 방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8월 여름휴가 당시, 휴장일을 맞아 시설을 점검해야 하는 군 골프장을 찾아 골프를 즐긴 사실이 추가로 드러났다. 당시 대통령실은 ‘대통령이 휴가기간 군 안보 태세를 점검했다’고 밝혔는데, 군의 일정 차질까지 빚어가며 골프 연습을 강행한 것이다.

27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인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확인한 제보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여름휴가 때인 8월8일 충남 계룡시 구룡대 체력단련장(골프장)을 찾아 골프 라운딩에 나섰다. 당시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8월8~9일 이틀간 계룡대 전시지휘시설을 찾아 ‘2024년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 준비 상태를 점검하고, 장병들을 격려했다”며 “육·해·공군 장병들을 격려하고 안보 태세를 점검하는 ‘안보 휴가’였다”고 밝혔는데, 이틀 중 상당한 시간을 골프 연습에 할애한 것이다. 통상 18홀 골프장의 라운딩 시간은 4시간가량이다.

문제는 윤 대통령이 방문한 8월8일은 구룡대 골프장이 두 달에 한번 시설과 장비 등을 정비하려고 문을 닫는 휴장일이었다는 점이다. 대통령경호처 쪽은 7월에 ‘대통령 행사가 있다’며 골프장 이용을 문의하고 7월 하순께에야 일정을 확정해 통보했다는 게 추 의원 쪽 설명이다. 군 골프장 내부의 일정과 운영 계획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윤 대통령의 휴가 일정에 맞춰 업무를 진행한 셈이다. 당시 구룡대 골프장의 배정 현황을 보면, 8월8일은 새벽 5시대부터 일정이 빼곡하지만 오전 8시24분 이후부터는 일정이 통째로 비어 있다. 정확한 시간대는 확인할 수 없으나, 윤 대통령은 이후 라운딩에 나섰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과 여당은 그간 윤 대통령의 부적절한 골프 라운딩 사실이 알려진 뒤 ‘대통령의 골프 연습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의 대화를 위해 8년 만에 재개한 것’이라며 거짓에 가까운 해명을 하거나 “1997년 아이엠에프(IMF) 시절 박세리 선수로부터 국민들이 큰 힘을 얻었다”며 궤변에 가까운 방어를 펼쳐왔다. 그러나 미국 대선 일정이 마무리되기 전부터 윤 대통령이 휴장한 골프장까지 열어가며 라운딩을 즐겨온 사실이 추가로 드러난 것이다.

추미애 의원은 “8월초 군 골프장 이용이 공식 확인되었으므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와의 외교 골프를 위해 골프 연습을 했다는 대통령실의 해명은 거짓으로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 한겨레 엄지원 기자 >

검찰, 미래한국연구소-PNR 채무이행 각서 확보

 

 
 
                                            김건희 씨(왼쪽)와 명태균씨. 
 

명태균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한 것으로 알려진 미래한국연구소 쪽이 여론조사업체인 피플네트웍스리서치(PNR)에 작성해 준 채무이행 각서에 김건희 여사가 언급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검찰은 이 각서에 김 여사의 이름이 담긴 경위 등을 확인하고 있다.

창원지검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지난 26일 미래한국연구소에서 일했던 이 사건의 핵심 제보자 강혜경씨를 조사하면서 작성일자가 2022년 7월 날짜로 작성된 채무이행 각서를 제시했다. 이 각서에는 미래한국연구소가 피엔알 쪽에 진 부채 6000여만원을 ‘김 여사에게 돈을 받아 갚겠다고 약속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한다.

이어 각서에는 ‘미래한국연구소 쪽이 김 여사에게 받을 돈이 있다는 내용이 거짓이면 사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2022년 12월까지 채무를 상환하지 않을 경우 사기죄로 고소해도 이의제기를 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각서를 작성한 것은 피엔알 대표인 서아무개씨고 강씨는 채무이행 각서에 지장을 찍었다.

이와 관련해 강씨는 검찰 조사에서 ‘2022년 3월부터 피엔알 쪽이 여론조사 비용 등을 달라고 독촉했고 그때마다 명씨가 김 여사에게 받을 돈이 있으니 그 돈을 받으면 갚겠다는 식으로 말을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계속 채무상환이 이뤄지지 않자 서씨가 강씨에게 각서를 받았다는 것이다. 강씨는 명씨가 이런 사실을 나중에 알고 ‘왜 개인적으로 각서를 써줬냐’며 질책했다고도 진술했다.

검찰은 조사 과정에서 ‘김 여사로부터 돈을 받겠다는 내용이 허위였냐’고도 강씨에게 물었다. 이에 강씨는 실제 돈을 받기 위해 청구서도 만들었고, 명씨도 돈을 받을 것이라고 이야기를 여러 차례 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피엔알은 지난 대선 시기 미래한국연구소가 윤석열 대통령과 관련해 실시한 81건의 여론조사 중 공표 조사 58건을 의뢰한 업체다. 채무 역시 이 과정에서 발생했다.

미래한국연구소와 피엔알 각서에 김 여사가 등장한 만큼 명씨 등이 실제 당시 김 여사에게 받을 돈이 있었는지, 채무변제를 미루기 위해 둘러댄 단순한 거짓말에 불과했는지 수사가 불가피해 보인다. 한편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를 압수수색하며 2022년 재보궐선거와 지방선거 공천 심사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 한겨레  정혜민  배지현  김완 기자  >

 

‘오 시장 지인’ 김한정씨 “명씨에 돈 주고 여론조사” 주장
김종인 “비서가 여론조사 책상 위에 올려 뒀다는데 못 봐”

 

 
 
오세훈 서울시장이 26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 기자설명회를 마친 뒤 명태균·강혜경씨 관련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
 

‘오세훈 서울시장 지인’으로 알려진 김한정씨가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오 시장 후보자를 위한 여론조사 비용을 대납한 의혹을 받는 가운데, 여론조사 내용이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전달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김 전 위원장과 김씨, 명씨의 관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종인 전 위원장은 27일 시비에스(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명태균씨가 비공표 여론조사를 자신에게 전달했다는 주장을 두고 “과거에 있었던 비서한테 물어봤더니 그런 여론조사를 출력해서 내 책상 위에 놔뒀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비공표 여론조사가 전달된 건 맞으나, 자신은 중요하지 않게 생각했다는 취지다. 다만 김 전 위원장은 이 여론조사를 봤는지는 명확하게 답하지 않았다.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오세훈 서울시장 쪽 후원자였던 김한정씨는 최근 명씨에게 비공표 여론조사 비용으로 3300만원을 대납했고 이 조사 결과가 김 전 위원장에게 전달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그 여론조사는 아예 보지도 않았냐’는 질문에 김 전 위원장은 “솔직히 얘기해서 그 당시에 하도 바쁘고 왔다 갔다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걸 전혀 잃어버리고 아무 생각이 없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김 전 위원장은 “(명씨가 전달한 비공표 여론조사) 자체는 오 (당시 서울시장 후보를) 시장으로 만드는 데 아무런 영향력이 없었다”며 “그건 여러가지 여론조사 중 하나에 불과하다. 그 자체가 명씨가 얘기하는 식으로 ‘자기가 오세훈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고 하는 건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했다.

‘김한정씨가 명씨에게 3300만원을 주고 여론조사를 돌린 이유’를 두고는 “그거는 왜 그랬는지 잘 모르겠다”며 “자기네들끼리 알아서 하는 일이기 때문에 여론조사를 의뢰하고 돈을 줬는지 전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6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연합
 

이와 관련해 오 시장과 명씨, 김씨와의 관계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오 시장은 지난 26일 기자회견에서 ‘김씨가 명씨 쪽에 3300만원을 보낸 것을 알았느냐’는 질문에 “명씨가 2021년 김영선 전 의원 소개로 (서울시장 보궐선거) 캠프에 찾아왔는데 싸움이 일어나 (명씨와) ‘다시 볼 수 없는, 만날 수 없는 상태로 헤어졌다’고 보고받은 뒤 잊어버렸다”며 “김(한정) 사장이란 분이 추후 3300만원을 줬다, 혹은 그 이상의 액수가 갔다는 것을 저로선 관심도 없고 알 수도 없다”고 말했다.

오 시장의 측근 ㄱ씨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김씨는 예전에 철강 대리점을 했던 분으로 재력이 좀 있었다.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 캠프에 오셔서 가끔 밥도 같이 먹었다. 그러나 캠프에서 공식적인 직책을 갖고 있거나 그런 건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김씨 고향이 창원이라 명씨와 속된 표현으로 의기투합한 것”이라고 전했다.

김씨가 이사장을 맡았던 사단법인 ‘공정과 상생학교’(공생학교)는 이사진 대다수가 오 시장 당선 직후부터 서울시 유관기관의 임원으로 취업해 논란이 일었다. 당시 공생학교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공생학교에 오세훈 사람들이 많았다. 공부하는 프로그램 비슷하게 (운영)해서 1기수 정도 하고 문을 닫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한겨레 허윤희 장수경 손현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