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로 이동해 극지방 얼음에 쌓여 햇빛 반사

 

자동차 운행 중 타이어와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하며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이 북극에까지 날아가 쌓여 햇빛을 반사해 얼음을 더 빨리 녹게 한다.

 

운전할 때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은 전체 미세플라스틱의 30%를 차지하며 일부는 대기에 확산해 북극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로발 미세플라스틱은 북극 눈과 얼음 위에 쌓여 햇빛 반사를 감소시킴으로써 기후변화 속도를 가속화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노르웨이 대기연구소와 오스트리아 빈 대학 공동연구팀은 14자동차가 도로를 달릴 때 타이어와 지면 마찰에서 생기는 미세플라스틱과 제동할 때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이 전체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의 30%를 차지한다미세플라스틱들이 대기를 타고 북극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연구팀 논문은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이날 치에 실렸다.

세계의 연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18년 기준 35900t에 이른다. 플라스틱은 보통 화학회사들이 제조한 5이하의 플라스틱 알갱이(펠릿)를 녹여 만든다. 미세플라스틱을 1이하가 아닌 5이하로 분류하는 이유다. 하지만 미세플라스틱은 광분해나 물리적 마모, 가수분해 등 2차 원인으로 더 많이 생긴다.

연간 660t 발생, 전체 플라스틱 생산량의 1.8%

북극 눈 속의 타이어 마모 미세플라스틱(TWP) 농도는 PM2.5의 경우 눈 1110나노그램, PM10480나노그램이다. 브레이크 패드 마모 미세플라스틱(BWP) 농도는 PM2.5230나노그램, PM10270나노그램이다.

자동차가 도로를 달릴 때도 미세플라스틱이 생기는데, 타이어 접지면과 도로 바닥 사이의 마찰로 타이어 미세플라스틱이, 브레이크 패드와 드럼 사이 마찰로 브레이크 미세플라스틱이 생긴다. 연구팀은 세계적으로 인구 1인당 연간 810g의 도로발 미세플라스틱을 만든다연간 타이어 마모 입자 발생량은 610t, 브레이크 패드 마모 입자는 50t으로, 전체 플라스틱 생산량의 1.8%에 이른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오랫동안 공중에 떠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해보니, PM2.5(2.5이하) 타이어 마모 입자 연간 발생량의 28%8100t이 북극이나 고산 등지의 얼음과 눈 곧 빙권에 쌓이는 것으로 추정됐다. PM2.5 브레이크 마모 입자도 연간 3t이 빙권에 떨어진다. 남극에도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적은 양이지만 타이어 PM2.530t, PM1010t이 쌓이고, 브레이크 입자들도 비슷한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노르웨이 대기연구소의 니콜라오스 에방겔리우는 도로발 미세플라스틱들은 대기로 퍼져나간 뒤 먼 거리를 이동해 극지방 얼음과 눈 위에 쌓이는데, 색깔이 있는 미세플라스틱들이 표면 알베도(지표면으로부터 햇빛이 반사되는 양)를 감소시켜 얼음과 눈이 더 빨리 녹게 한다고 말했다. < 이근영 기자 >

 

 

16일부터 메모리얼 토너먼트 출전, PGA 투어 83승 도전


타이거 우즈(45·미국)가 돌아온다. 메모리얼 토너먼트가 무대다.

우즈는 1619일 미국 오하이오주 더블린의 뮤어필드 빌리지 골프클럽(72·7456야드)에서 열리는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메모리얼 토너먼트(총상금 930만달러)에 출전한다.

2월 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 이후 5개월 만의 복귀다. 5월 페이튼 매닝과 한 팀이 돼 필 미컬슨과 톰 브래디 짝을 꺾고 2천만달러의 코로나19 자선 이벤트 참가 뒤 2개월 만이다.

우즈는 지난달 시즌 재개 뒤 5개 대회에 나서지 않았다. 하지만 과거 5번이나 정상에 오른 메모리얼 토너먼트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투어에 가세한다. 우즈는 외신에서 다른 선수들과 몹시 겨루고 싶었다. 빨리 나가고 싶다고 밝혔다.

우즈는 지난해 10월 조조 챔피언십에서 우승해 샘 스니드(미국·2002년 사망)1965년 작성한 피지에이 투어 최다승(82)과 타이기록을 이뤘다. 이번 메모리얼 토너먼트에서 정상에 오르면 통산 83승의 신기록을 쓰게 된다. 메이저 대회에서는 15승을 거뒀다.

이번 대회에는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 욘 람(스페인), 저스틴 토머스(미국), 더스틴 존슨(미국), 웹 심프슨(미국) 등 남자골프 세계 15위가 출전한다. 디펜딩 챔피언 패트릭 캔틀레이(미국)와 브룩스 켑카(미국)도 나온다. 우즈는 매킬로이, 켑카와 한 조로 편성됐다.

한국의 임성재(22), 김시우(25), 안병훈(29), 강성훈(33)도 맏형 최경주(50)과 함께 출전한다. 최경주는 2007년 메모리얼 토너먼트에서 우승한 바 있다. 메모리얼 토너먼트는 잭 니클라우스(미국)가 주최하는 대회다.

한편 피지에이 투어는 2019~2020 시즌 모든 대회를 무관중으로 치르기로 했다고 14(한국시각) 발표했다. 9월 예정된 유에스오픈과 11월로 미뤄진 마스터스는 2020~2021 시즌에 열리기 때문에 관중 입장 여부는 나중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김창금 기자 >

뇌파 측정 결과, 의식불명 상태서도 소리에 반응

    

사람의 뇌는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주변의 소리에 반응한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제공)

           

통상 청각은 사람이 죽기 전 마지막까지 작동하는 감각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주로 의료 현장의 경험에서 나온 추정이지, 이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부족했다. 보통 심장박동이 정지된 뒤 근사체험(near-death experiences)을 경험한 사람들의 말이 확실한 증거라면 증거였다.

예컨대 영국 사우샘프턴종합병원 의료진이 심정지 상태에서 소생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10%가 근사체험에 해당하는 기억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의료진이 시행한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자신에게 시행된 인공소생술을 기억하고 설명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 연구진이 이번에 청각에 대한 통설을 뒷받침해주는 실험 결과를 국제 학술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사망 직전의 의식불명 상태에서도 청각이 여전히 작동하는 증거를 포착한 것. 연구 결과대로라면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따뜻한 위로와 사랑의 말을 해주는 것이야말로 죽음을 맞는 사람에 대한 마지막 소중한 선물이 될 수 있다.

연구진은 건강한 실험 참가자와 말기 환자의 뇌파를 측정해 비교했다. 주로 암환자들인 말기 환자들에 대해서는 의식이 있을 때와, 의식불명에 빠졌을 때로 나눠 두 차례 뇌파를 측정했다. 실험에 참가한 환자들은 밴쿠버의 세인트 존 호스피스 시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실험에는 가족 동의 아래 13명의 환자가 참가했다.

연구진은 2차 테스트를 하기 전에 숨지거나, 상태가 호전된 환자를 빼고 5명의 환자로부터 사망 직전 무반응 상태에 빠졌을 때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었다.

실험에 쓰인 것과 같은 종류의 뇌파측정장치(EEG).

사랑해요마지막 위로 중요...전화 목소리도 OK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전극과 전선이 빼곡한 뇌파측정장치(EEG) 모자를 씌우고 소리에 대한 뇌의 반응을 모니터링했다. 늘상 접하는 소리, 낯선 소리를 주파수를 바꿔가며 5가지 패턴으로 들려줬다. 그 결과 숨지기 몇시간 전까지 일부 말기환자들의 뇌가 젊고 건강한 참가자들과 비슷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제1저자인 심리학과 박사과정 엘리자베스 블런든 연구원은 대개의 경우 사망하기 마지막 몇 시간 동안 무반응 상태에 빠진다""뇌파 데이터로 보아 의식이 전혀 없는 생의 마지막 순간에도 뇌가 소리에 반응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실험 결과는 임종 순간을 함께하는 가족과 지인들에게 적잖은 의미가 있다.

의식 있을 때()와 의식불명일 때의 말기환자 뇌파 활동. 사이언티픽 리포츠

실험에 함께 참여한 30년 호스피스 근무 경력의 로메인 갤러거 박사는 "말기 환자들을 돌보면서 사랑하는 사람이 마지막 순간에 말을 건네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장면을 지켜봤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청각이 마지막 감각인지 궁금했었다""이번 연구는 사랑하는 사람의 목소리가 죽음을 맞는 사람들에게 위안이 된다는 호스피스 의사와 간호사들의 인식을 신뢰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마지막 순간에 직접 또는 전화로 사랑한다는 말과 작별 인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그러나 뇌파가 움직인다는 것 자체는 청각이 살아 있다는 걸 말해 주지만, 자신이 듣는 소리가 무슨 소리인지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선 확인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엘리자베스 블런든은 보도자료를 통해 "아직도 풀어야 할 질문들이 많다""하지만 처음으로 얼핏 들여다본 정도의 이번 연구는 죽음을 맞는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말을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해준다"고 말했다. 죽어가는 사람들의 뇌 속에서 뭔가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 곽노필 기자 >

 


WP “잘못된 주장 빈도 점점 높아져이민·외교정책·무역 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36개월 간 2만번 넘는 거짓말과 잘못된 주장을 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13일 보도했다.

WP 팩트체크팀은 취임 1267일째인 지난 9일 기준으로 거짓이거나 사실을 오도하는 주장이라고 판단한 사례가 누계로 255회에 달했다고 전했다. 하루 평균 16건에 해당한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의 거짓 주장 등의 빈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1만회를 넘어서는 데는 827일이 걸렸다. 하루 평균 12건이었다.

그러나 이후 2만회까지 도달하는 기간은 440일이었다. 하루 평균 23건으로, 1만회를 넘어선 이후 거짓과 사실 오도 주장이 거의 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스캔들'에서 촉발된 의회의 탄핵 추진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사태,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이후 미 전역의 시위 사태가 벌어졌다.

주제별로는 이민 관련이 2635회로 가장 많았고, 외교정책(2282), 무역(1965), 경제(1860), 러시아(1562), 일자리(1464), 우크라이나 스캔들(1165), 보건(170), 코로나19(977) 등 순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잘못된 주장을 3번 이상 반복한 사례도 거의 500건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코로나19 사태의 경우 겨우 몇 달 만에 거의 1천건에 달하는 잘못된 주장을 했다는 새로운 기록을 만들었다고 WP는 말했다.

가장 많은 360번에 달하는 주장은 미국 경제가 역사상 최고라는 것이지만, 드와이트 아이젠하워나 빌 클린턴 전 대통령 등이 재임하던 시절에 미치지 못한다는 게 WP의 평가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남부 국경에 장벽이 건설되고 있다고 261회 주장했지만 WP는 기존에 오래되고 낡은 장벽을 대체하는 공사이고 실제로 신규로 장벽이 건설되는 구간은 3마일(4.8km)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 중 역대 최대의 감세안을 통과시켰다고 210회 주장했지만 국내총생산 대비 규모로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 때에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100일간 거짓 및 사실오도 주장이 하루 평균 5회여서 4년 기준으로 2만회를 넘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로 여겼다며 거짓말의 쓰나미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