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관계 규명 연구 논문 잇따라비타민D가 과잉 면역반응 억제

          

비타민디(D)는 뼈를 튼튼하게 하는 칼슘 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면역력을 높이는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비타민디가 포함된 영양제를 찾는 이들이 많아진 것도 이 때문이다. 비타민디가 부족하면 코로나19에 감염됐을 경우 사망 위험도 높아질까? 둘 사이에 강력한 상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나왔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진은 한국을 비롯해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이란, 스페인, 스위스, 영국, 미국 10개국의 코로나19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탈리아 등 치사율이 높은 나라의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나라에 비해 비타민디 수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진은 우선 의료시스템의 질, 연령별 인구 구성, 검사율 등이 원인일 가능성을 살펴봤다. 그러나 "이런 요인 중 어떤 것도 뚜렷한 영향을 끼치는 것같지는 않다"고 판단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우선 "이탈리아 북부의 의료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에 속한다." 또 같은 연령대라도 나라별 치사율이 다르게 나온다. 검사 방식과 규정은 나라별로 다양하지만 검사율을 비슷하게 적용하면 나라별 치사율은 여전히 큰 차이가 난다.

코로나19 치사율 절반까지 줄여주는 듯

연구진은 마지막으로 면역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디와 상관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비타민디의 체내 농도와 사이토카인폭풍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사이토카인폭풍이란 면역체계가 과잉반응해 일으키는 과도한 염증을 말한다.

사이토카인폭풍은 환자의 폐에 심각한 손상을 주고 급성호흡곤란을 일으켜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환자 사망의 대다수는 바이러스 자체에 의한 폐 손상이 아니라 바로 이것, 즉 면역계가 잘못된 지시에 따라 일으키는 합병증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비타민디가 백혈구 세포의 면역 과잉반응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적정한 농도의 비타민디가 사망을 포함한 합병증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걸 뜻한다. 연구를 이끈 바딤 배크먼(Vadim Backman) 교수는 "분석 결과 비타민디는 감염자의 치사율을 절반까지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그렇다고해서 모두가 비타민디 보충제를 섭취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의학분야 사전출판 논문집 `메드아카이브'(medRxiv) 48일치에 실렸다.

과도하게 복용해선 안돼적정수치는 추구 연구 과제로

영국 앵글리아러스킨대와 퀸엘리자베스병원 연구진이 유럽 20개국의 코로나19 환자 치사율을 분석한 결과도 비슷하게 나왔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탈리아와 스페인 사람들은 북유럽국가 사람들보다 비타민디 수치가 낮다. 이는 남유럽 사람들의 피부색소가 비타민디 합성을 저해하는데다, 강한 햇빛을 피해 그늘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반면 대구 간유, 비타민디 보충제를 섭취하고 햇빛 쪼이기를 즐겨하는 북유럽 사람들의 비타민디 수치는 매우 높다. 스칸디나비아반도는 유럽에서 인구당 감염자와 치사율이 가장 낮은 지역이다. 노인의 경우 평균 혈청 비타민디 수치가 스페인 26nmol/L, 이탈리아 28nmol/L, 북유럽 45nmol/L이었다. 이 논문은 저널 `노화임상실험연구'(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56일치에 실렸다.

노스웨스턴대의 배크먼 교수는 비타민디와 코로나19 사망률의 상관관계는 아직 후천적 면역체계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어린이 감염자들의 사망률이 낮은 이유도 설명해준다고 덧붙였다. 선천적 면역체계만 있는 어린이들한테선 사이토카인폭풍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다. 배크먼 교수는 그러나 비타민디를 과도하게 복용해선 안되며 어느 정도 수치가 코로나19 합병증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지는 추가로 연구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 곽노필 기자 >


 

                        

자연사진 공모전 빅픽처 2020’ 수상작 발표

그 어느 때보다 지금 세상에 필요한 모습

                     

미국 캘리포니아과학아카데미가 주최하는 자연사진 공모전 ‘2020 빅픽처’(The Big Picture 2020) 수상작이 6일 발표됐다.

올해의 대상은 영국 사진작가 앤디 파킨슨(Andy Parkinson)토끼공’(Hare Ball)이 차지했다. 위스키 산지로 유명한 스코틀랜드 토마틴에서 촬영한 산토끼 사진이다. 북극 바로 아래쪽에서 매섭게 휘몰아치는 겨울폭풍에 맞서 몸을 동그랗게 말아 웅크리고 있는 모습이다. 스코틀랜드 고원지대에서 10년 넘게 아름다우면서도 복잡한 동물세계를 사진에 담고 있는 파킨슨은 지난 3년 동안 이 산토끼를 집중 탐구해 왔다고 한다.

심사위원장인 수지 에스테르하스(Suzi Eszterhas)는 이런 산토끼 사진은 처음이라며 공처럼 웅크린 토끼의 모습이 하얀 빛을 받으며 목욕하는 조각작품을 보는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폭풍에 굴하지 말라고 말하는, 그 어느 때보다 지금 세상에 필요한 이미지"라며 기술적 완성도와 예술적 세련도, 행동 모든 면에서 완벽한 사진이라고 평가했다.

7회째를 맞은 올해 공모전엔 전 세계에서 6500여명이 참가했다. 각 부문별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남극바다의 얼어붙은 모바일주택’/수중생물 부문 수상작/Greg Lecoeur(프랑스)

케냐 마사이마라국립공원의 사냥하는 치타’/육상 야생동물 부문 수상작/Yi Liu(중국)

모잠비크 고롱고사국립공원의 박쥐 한모금’/날개동물 부문 수상작/Piotr Naskrecki(미국)

네덜란드 한 국립공원의 끈끈이주걱’/육상·수상풍경 및 식물 부문 수상작/Edwin Giesbers(네덜란드)

스페인 리오틴토의 눈막이’/자연예술 부문 수상작/Juan Jesús González Ahumada(스페인)

미국 캘리포니아 산라파엘 와일드케어야생동물병원의 고양이한테 당했어요’/자연과인간 부문 수상작/Jak Wonderly(미국)

케냐 레테티코끼리보호구역의 보호감시인’/사진이야기 공존 부문 수상작/Ami Vitale(미국)

 < 곽노필 기자 >


인류가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를 계속 배출할 경우 적도 부근 검게 표시된 지역과 같은 연평균 기온 29도 이상인 환경이 50년 뒤 그 주변 빗금 친 지역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2070년 이 지역에는 약 35억명의 사람들이 거주할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제공

미국·유럽·중국 연구팀의 경고 기후변화, 코로나처럼 예측 불가
온실가스 배출 현재 추세 유지 땐 섭씨 29도 웃도는 지역 19% 확대
산업화 이전 대비 체감온도 7.5도 상승, 탄소 배출량 빠르게 줄여나가야

인류가 기후변화 대응에 실패하면 세계 인구의 3분의 1 50년 안에 사하라 사막과 같은 기온에서 살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거주지의 기온이 연평균 섭씨 29도를 웃돌 것이란 암울한 관측이다.

미국과 유럽, 중국 등의 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은 5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이런 내용의 논문을 발표하고 국제사회에 신속한 온실가스 감축 행동을 촉구했다. 인류는 수천년 동안 대부분 연평균 기온 섭씨 11~15도 사이의 매우 좁은 기후대에 거주해왔다. 과학기술을 통해 자연조건을 극복해왔지만, 모든 생물종이 환경적으로 적합한 조건을 선호하는 것에는 인간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 온도 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온실가스가 현재 추세로 계속 배출될 경우 50년 안에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는 지역의 연평균 기온이 섭씨 29도를 넘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런 기후 환경은 사하라 사막에서도 가장 더운 지역과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전체 육지의 0.8%에 해당하는 이런 기온대가 아프리카 중북부, 남아메리카 북부, 인도 대부분은 물론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까지 확산해 19%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연구팀이 대규모 이주 등은 고려하지 않고 인구 증가만을 따져봤더니, 2070년에 이런 환경에 놓이게 될 인구는 전체의 30% 35억명이 될 것으로 추산됐다.

6000년 전 호수였다가 말라붙은 길이 500, 150, 깊이 160m인 사하라 사막 남부의 보델레 함몰지 위성 사진. 연간 100일 동안 모래폭풍이 일어난다. 사진=미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계속될 경우 50년 뒤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3도의 상승 폭을 보이게 되지만, 인류가 체감할 상승 폭은 2.3배 높은 7.5도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인간이 주로 거주하는 육지가 해양보다 빨리 더워질 뿐 아니라, 인구 증가가 기온이 높은 곳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기획한 바헤닝언대학 마르턴 셰퍼 교수는코로나바이러스는 불과 몇달 전에는 예측할 수 없었던 변화를 몰고 왔다. 기후변화도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지구의 광범위한 지역들이 사람이 살 수 없는 수준으로 더워지고 기온은 다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재앙을 막을 유일한 방법은 빠르게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에 의한 인간 활동 위축은 지구 온난화에는 일단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된다. 세계에너지기구(IEA)는 최근 발표한 ‘2020 세계 에너지 검토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에너지 소비량이 6% 감소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도 8%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 배출량 감소 폭은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더 커질 수도 있지만 결국 경제가 회복되면서 급반등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 김정수 기자 >

 

·미 트위터 이용자 게시물 분석 결과

내내 압도하던 공포슬픔에 자리 내줘

부정 감정 비중, 40%대서 60%대로 껑충

 코로나19 팬데믹 사태가 장기화하며 사람들의 감정 상태도 변화해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의 폭발적인 감염력에 놀라 `멘붕'에 빠진 사람들의 마음은 조금씩 진정돼 가고 있을까?

이탈리아 인공지능 업체 엑스퍼트 시스템(Expert System)이 지난 3월 이후 영어권(영국과 미국) 트위터 이용자들의 게시물을 분석한 결과, 애초 공포에 짓눌렸던 마음이 최근 슬픔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팬데믹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부정적인 감정은 오히려 더 확산됐다. 이들 지역은 한 달 이상 강력한 전국적 봉쇄 조처가 지속되고 있어 사람들이 받는 감정 스트레스가 한국에 비해 훨씬 더 심한 편이다. 따라서 사회적 격리를 제외하곤 이동과 생활이 자유로운 한국에 이 지역의 조사 결과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하지만 팬데믹 사태 장기화에 따른 사람들의 보편적인 감정 흐름을 들여다보는 데는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엑스퍼트는 코로나19에 대한 사람들의 감정 상태를 들여다보기 위해 트위터 4~6만개의 게시물을 24시간 간격으로 분석했다. 코로나 퇴치를 위해선 개인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분석 대상은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한 해시 태그(#coronalockdown, # covid19, #stayathome )가 포함된 게시물이었다.

 부활절이 감정 변화 계기로긍정 감정 대상은 의료진

엑스퍼트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람들의 감정 분포 상태를 보여주는 감정지도를 일일 단위로 만들었다. 4월 초 감정지도에선 공포(fear)가 압도적이었다. 이어 슬픔(sadness), 불안(anxiety) 차례였다. 월트 메이요 엑스퍼트 대표는 초기엔 하루빨리 정상 생활로 돌아가고 싶은 욕구가 강해, 사회적 격리 지침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강한 질책이 많았다고 말했다. 417일 조사에서도 공포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의료진을 향한 사랑, 희망을 포함한 긍정 감정도 하루 사이에 21.6%에서 23.9%로 늘어났다.

메이요 대표는 부활절(412)이 긍정 감정을 자극하는 전환점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했다. 부활절을 계기로 바이러스에 대항해 싸우자거나 의료진을 격려하고, 과학을 신뢰하는 표현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긍정 감정에선 희망(hope)1위였으며, 이어 사랑(love)2위였다. 긍정 감정을 표현하는 대상은 주로 의료진이었다.

 ■슬픔은 사태 장기화 따른 미래 걱정 반영

그러다 22일 조사에선 공포가 1위 자리에서 물러났다.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은 슬픔이었다. 엑스퍼트는 여기서 슬픔은 감염자가 받는 고통에 대한 슬픔, 외출하지 못하고 집에 갇혀 있어야 하는 것에 대한 슬픔, 가족과 친구를 만날 수 없다는 것에 대한 슬픔, 실직에 따른 슬픔을 모두 포괄한다고 밝혔다. 엑스퍼트는 슬픈 감정이 번지는 것은 전국적 봉쇄 조처가 장기화하면서 미래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했다.

공포심에서는 벗어났지만 전체적인 감정 분포에서 부정 감정이 차지하는 비중은 부쩍 높아졌다. 4월 초 이후 40%대에 머물던 부정 감정은 22일 조사에서 62.4%로 껑충 뛰었다. 긍정 감정은 1주 사이에 23.9%에서 17.2%, 중립 감정은 33.6%에서 20.4%로 감소했다. 코로나19 확산 추세와 대응에서 아직 별다른 반전의 조짐이 보이지 않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곽노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