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 아버지학교 제20기

● 교회소식 2012. 2. 18. 19:43 Posted by SisaHan

▶12일 주일 오후 이글스필드 교회에서 열린 아버지학교 준비모임 스탭들의 기도 모습.


3월16일부터 이글스필드 교회


‘가정을 세우는 사람들’을 기치로 내건 두란노 아버지학교의 ‘토론토 제20기’ 강좌가 3월16일(금)~17일과 토요일인 24일, 31일 각각 오후 5시30분부터 10시30분까지 이글스필드 한인교회(담임 고영민 목사: 2501 Eaglesfield Dr., Burlington, L7P 3Z7)에서 열린다.
아버지학교 운동본부 토론토 운영위원회(위원장 김민규 나아이가라한인교회 장로) 주관으로 개최하는 이번 20기 강좌는 ‘아버지가 살아야 가정이 산다’’이 세상의 어떠한 성공도 가족의 소중함을 대신할 수 없다’는 슬로건 아래 아버지의 사명과 영성, 바람직한 가정 등을 주제로 3주에 걸쳐 나흘간 총 20시간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통상 2주 동안 주말 이틀씩 개강해온 아버지학교가 3주에 걸쳐 진행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참가자들의 생업 등 시간적 편의를 고려해 토요일 개강을 늘린 것이다. 
이번 강좌에도 그동안 아버지학교를 수료한 30여명이 스탭으로 참여해 프로그램 진행을 돕는다. 
참가자는 80명을 모집하며, 등록비는 교재와 식사비를 포함해 $150이다.
아버지학교는 그리스도 안에서 성경적인 아버지상을 제시하고 가정과 교회 및 사회에서 사명을 감당해 나갈 수 있도록 격려와 훈련으로 삶과 가치관을 변화시켜 나가는 영적운동으로, ‘강력한 성령운동’ ‘삶의 실천운동’ ‘평신도 운동’을 3대 특징으로 한국은 물론 세계 각지에서 개강해 큰 반향을 얻고있다.
아버지학교 운동본부는 이번 20기 강좌를 위해 지난 5일 주일부터 매 주일 오후 이글스필드 한인교회에서 봉사자 준비모임과 기도회를 열고있다.

< 문의: 905-704-8046, 905-482-9676 >


영적 기드온 300 청년 용사로!

● 교회소식 2012. 2. 18. 19:39 Posted by SisaHan

▶제3차 청년연합 기도회가 3월2일 저녁 염광교회에서 열린다. 사진은 지난 해 11월 큰빛교회에서의 2차 기도회,


3월2일 저녁 염광교회서 청년연합 3차 기도회


토론토 청년연합 제3차 기도회가 오는 3월2일(금) 저녁 7시30분 염광교회(담임 이요환 목사)에서 열린다. 
이번 기도회는 지난해 5월 토론토 영락교회에서 열린 첫 기도회에 이어 11월 큰빛교회에서 뜨겁게 열린 바 있는 2차례 청년연합 기도회를 잇는 3차 기도회로, ‘기드온의 300용사’(삿 7,8장)라는 동일 주제로 각 교회 청년들과 코스타 및 유스코스타 팀장, 스태프 등을 중심으로 청년 사역자들이 모여 시대적 사명을 일깨우고 토론토 성시화의 불길을 댕기며 조국과 열방을 품고 기도하는 비전으로 열린다.
 
기도회는 청년연합 찬양팀(염광교회 안형준 목사 인도)의 찬양과 경배에 이어 말씀의 시간, 그리고 중보기도의 시간으로 이어진다. 중보의 시간은 4명의 사역자가 인도해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위해 (가족, 직장, 학교, 교회 등), △토론토와 캐나다를 위해, △조국을 위해 (남한과 북한), △열방을 위해 (지역교회를 넘어 하나님의 Kingdom Church) 합심 기도한다. 중보기도 후 찬양하며 헌신과 결단의 시간을 갖고 축복과 파송의 시간으로 마무리 한다.
이날 기도회는 3월13~15일로 예정된 Youth KOSTA 2012 준비와 성공 개최를 위한 기도도 함께 드린다.  
코스타 총무인 김지연 목사(토론토 유학생선교회 대표)는 “기드온 300을 통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냈을 뿐만 아니라, 민족을 하나로 만들었던 하나님의 놀라운 섭리가 청년 연합 기도회를 통해 지속되고  ‘마중물’이 되어 지기를 소망하며 ‘영적 기드온 300 용사’로 나아가는 기도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 문의: 647-800-0481 >  


▶성도들을 위해 안수기도하는 예영수(오른쪽)·김석재(왼쪽 2번째)·이숙무(3번째) 목사 등.


“포기할 때 축복, 역설적 진리”


“예수 그리스도를 위해 모두 포기할 때 축복받고 영생을 얻는 것이 기독교의 역설적 진리다”
라이프 선교신학원 토론토 캠퍼스와 국제크리스천학술원(CAI)이 주최한 영적 대각성 특강성회(1월31일~2월4일)에서 초청강사로 말씀을 전한 예영수 박사는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하고 싶어 하시며, 함께 하실 때 능력 주시고 역사하신다”면서 “하나님과 함께하는 축복을 위해 버리고 낮아지라”고 도전을 주었다.
축복교회(담임 이숙무 목사: 80 Regent Rd., M3K 1H3)와 순복음 영성교회(담임 김석재 목사: 1 Westside Dr., #1, Etobicoke, M9C 1B2)에서 각각 사흘과 이틀씩 열린 특강성회에서 라이프 선교신학원 총장이며 철학·신학·영문학·교육학 등 5개의 박사학위를 지닌 예영수 박사는 목회자와 평신도 지도자 등을 대상으로 수준높은 강의와 말씀을 전해 큰 깨달음과 은혜를 안겼다.

예 박사는 “역사에 이름을 날린 이들은 모두 하나님과 함께 한 사람들이었다”며 아브라함과 모세 등 선지자들을 예를 들고 “하나님은 그들이 다 버리고 포기하며 명령에 순종했을 때 함께 하셨고, 변화시켰고 귀하게 쓰시며 구원사를 열고 기독교의 시작을 알렸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하나님은 임마누엘 신앙, 즉 당신과 함께 하시려고, 또 제자삼아 전도하게 하시며, 권능을 주심으로 표적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역사가 일어나게 하시려고 함께 하시기를 원한다”고 덧붙이고  “누구든지 음성을 듣고 문을 열면 하나님은 부르시고 함께 하신다”고 깨우쳤다.

< 문의: 416-993-1161, 905-762-0191 >


김진경 총장 등 보고대회 열어

● 교회소식 2012. 2. 10. 18:39 Posted by SisaHan
“연변·평양과기대, 화해와 협력·미래 번영의 씨앗”
“하나님 역사하시는「시온의 대로」닦는 일 동참을”

▶사역의 주역들: 보고대회 후 함께 한 김진경 총장(오른쪽 3번째)과 정진호 교수( 4번째), 한석현 이사장(5번째), 주병돈 교수(왼쪽 2번째), 김화 교수( 왼쪽 첫번째) 등 연변·평양과기대 교수진.


“민족의 참된 화해와 협력, 미래 번영을 이끄는 불씨가 될 아름다운 유산을 남기는 하나님의 역사에 여러분 모두 사랑의 동역자가 되어달라”
한인교계의 재정적 후원을 밑거름으로 중국과 북한 땅에 교육을 통한 믿음의 씨앗을 뿌리고 있는 연변 과학기술대학(1992. 9.13 개교)과 개교 1년여를 맞은 평양 과학기술대학(2010. 10.25 개교)의 김진경 총장을 비롯한 교수진의 귀국보고 및 북한 어린이 돕기 사역 보고대회가 지난달 29일 부터 4일까지 토론토(본 한인교회: 2월4일)와 런던(한인교회: 1월29일), 키치너-워터루(주님의 교회: 2월1일) 등 3개 지역에서 개최됐다. 이어 5일 주일 오후에는 과학기술자협회와의 간담회도 열렸다.
캐나다 동북아 교육협력재단(이사장 한석현 본한인교회 담임목사) 주최로 열린 이번 보고대회는 김진경 총장과 주병돈 평양과기대 상경대 학장(큰빛교회 장로), 정진호 연변 과기대 교수 겸 평양과기대 설립부총장, 연변과기대를 졸업하고 미국에 유학했던 김화 평양과기대 교수 등 4명이 강사로 나서 ‘불가능이 현실로 나타난’ 두 학교 설립과 운영, 그리고 파급효과 등 ‘후원의 결실들’을 현장의 목소리와 영상으로 전하며 적극적인 협력과 동참을 호소했다.

4일 저녁 본 한인교회에서 열린 토론토 보고대회에서 김진경 총장은 ‘기적’으로 여겨지는 연변과기대와 평양과기대가 실현되기까지 겪은 고충과 곡절들을 소개하고 “하나님은 일찍부터 연변, 그리고 평양을 준비시키셨다”면서 “처음 불신과 핍박으로 일관하던 공산당 사람들이 이제는 예수주의자라고 외치는 나를 신뢰하며 ‘당신들이 믿는 하나님을 우리도 존경한다’고 말하게 됐다”고 전했다. 김 총장은 “우리가 진정 예수님의 모습을 보이면 감동받지 않을 사람이 없다”면서 “하나님이 우리를 쓰시는 이유는 예수님 심부름을 충실히 하기 때문이며, 세상 사람들 말과 정치가들 말을 듣지 않고 예수님 말씀 따라 살려고 하는 때문일 것”이라고 전했다. 김 총장은 얼마 전 세계 지도자들 모임에 연사로 선정돼 사역을 소개하자 곳곳에서 대학을 세워달라고 요청하더라며 자신은 ‘미국시민이고 한국과 중국·북한의 명예시민인 글로벌 시민이며, 하나님을 믿는 사랑주의자’라고 말했다.  
김 총장은 “이제 공산주의가 망하고 자본주의도 대체론이 비등한 것을 볼 때 평양과 연변과기대는 새 시대 새로운 사랑주의자(love-ist)들을 길러내는 비전이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두 학교를 통해 교직원들이 사랑과 감동으로 헌신하며 △서로 이해(Understanding), △서로 화해(reconciliation), △서로 용서(Forgiveness), △서로 존경(Respect), △희생(Sacrifice), △사과(Apologize & Sorry), △감사(Thank you)를 심어주는 데 목적이 있다며 “중국에서 28년, 북한에서 26년 일할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은혜와 여러분의 후원 덕분”이라고 밝혔다.  그는 끝으로 “매월 10달러면 북한 어린이 1명을 살릴 수 있다”면서 따뜻한 동포애로 동참해 줄 것을 권했다.  


▶연변·평양과기대 보고대회 장면.


정진호 교수는 “연변과기대는 여러분의 기도와 동역으로 놀랍게 변화해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수많은 교직원이 전세계에서 몰려들어 예수님의 제자들을 양육하고 그들이 중국전역으로 퍼져나가 사역을 하고 있다”고 전하고 “학생들은 허무함 속에서 입학해 십자가를 알고 자신의 존재이유를 발견한 뒤 전혀 다른 비전을 가지고 졸업해 나아간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이는 복음의 물류가 동북아에서 중앙아로, 그리고 세계로 흘러감을 보여주며, 이제 오직 한군데 막힌 곳인 북한이 평양과기대라는 게이트를 통해 민족 화해와 번영과 통일을 위한 프로젝트로 발돋움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반드시 해내야 할 사역으로 여러분의 수고와 헌신이 실상으로 나타나리라고 믿는다”고 전했다. 정 교수는 “통일은 하나님 나라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북한은 우리가 먼저 변하고 품고 들어가 변화시키고 동방의 예루살렘을 회복하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길을 닦아야 한다”면서 “우리 디아스포라에 주어진 사명을 깨달아 시온의 대로를 닦는 동역자로 참여해달라”고 후원을 당부했다. 

중국서 태어난 조선족 출신이라고 소개한 김화 교수는 공산당원 집안에서 자라 연변과기대가 기독교학교라는 것을 알고 경계심 속에 입학했음에도, 방황하다 자원봉사 교수들을 통해 예수님을 영접하고 인생의 의미를 깨달아 ‘나도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해주는 사람이 되겠다’고 결심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김 교수는 유학한 미국생활에서 하나님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인데 나를 배반해 패역하고 황폐한 땅이 되었다』는 마음을 주셔서 교직 헌신을 결심, 2010년 평양과기대에 영어교수로 합류하게 됐고 학생들과 수업을 통해 비전과 사랑, 정직, 감사, 헌신 등에 대해 비전을 나누면서 북에서 가장 우수한 학생들이 충격을 받고 조금씩 변화하는 모습을 느낀다고 전했다. 그는 “당장은 아니지만 앞으로 그들이 크게 변화되고 복음의 씨앗이 자라 열매를 맺는 날이 올 것을 확신한다”면서 “여러분의 많은 중보기도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주병돈 교수는 “처음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가르치려니 그들의 공산주의 계획경제와 상충될 것 같아 걱정했으나, 그들이 오히려 시장경제를 확실히 가르쳐달라고 해서 어안이 벙벙했다”고 밝혔다. 주 교수는 “전국에서 선발된 우수 학생들은 정말 열심히 공부한다”고 전하고 “그 것은 다른 학교 학생들이 공부 대신 노동현장에서 힘들어 하는 것을 알기에, 탈락해서 쫒겨나지 않으려는 것 같다”며 “그래서 치팅(Cheating)도 많았는데 이제 근절되었다”고 전하고 “앞으로 북의 지도자 될 젊은이들이 시장경제와 합리주의를 열심히 배운다는 게 정말 중요하고, 하나님이 역사하시는 일이라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의 학교에서 정말 힘들지만 숙소 바로 앞 토마스 선교사 순교지를 아침 마다 바라보며 힘을 얻어 신나게 가르치고, 하나님이 하시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힘들어도 돌격이라는 각오로 임한다.”고 말했다. 

보고대회를 마무리한 한석현 목사는 “스코필드 박사의 영향을 받은 김근태·정운찬 같은 분들이 나라의 재목들이 된 것처럼 평양과기대의 꿈도 바로 그런 것”이라고 부연하고 “10년, 20년 후 나라를 구하고 민족의 앞날을 개척할 인물들이 나오기를 기도하며 어떤 도전, 시련에도 낙망하지 않고 기도하며 주님을 믿고 나아가기를 소망한다”고 밝혔다. 한 목사는 이어 “평양과기대 운영에 하루 3천$이 소요되는 데, 3백개 교회가 참여해 준다면 1년은 운영할 수 있다”며 많은 교회들의 동역을 요망하고, “10$이면 북의 어린이 한 명이 한 달을 먹을 수 있어 년 $120이면 한 생명을 1년간 살린다”고 지적, 뜻있는 많은 성도들의 참여와 동참을 호소했다. 
한편 5일 오후 본 한인교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자 협회와의 간담회에서 김 총장과 교수들은 연변과 평양과기대 현황을 설명하고 동북아재단을 통해 교수진으로 헌신 봉사해 줄 것을 요망했다.
 
< 문의: 647-269-3603, 후원: NEAFEC, 200 Racco Parkway, Thornhill, ON L4J 8X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