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 글 마당]
우리는 음악적인 전문성과 함께 훈련을 받아 하나님을 찬양하는 일에 전념하는 교회의 조직을 ‘성가대’ 또는 ‘찬양대’라고 부른다.
정확한 통계를 내 보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찬양대’라는 말 보다는 ‘성가대’라는 말에 더 익숙해져 있지않은가 싶다.
그러나 간혹 ‘성가대’라는 말은 아예 잘못된 표현이니 ‘찬양대’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다. 그 주장의 확실한 근거는 알 수 없으나 여하튼 ‘성가대’라는 말은 일제시대 사용되던 일본식(?) 용어일 뿐만아니라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관이니 ‘찬양대’라는 용어가 보다 적절하지 않느냐는 주장이다.
그 외에도 “우리 말은 외국말과는 달리 존대어(尊待語)라고 하는 독특한 표현이 있는데 그냥 여늬 아이들 이름 부르듯 ‘예수’라고만 호칭해서는 안된다. ‘예수님’이란 존대어을 사용해야 한다.”는둥, 생각해 보면 교회에서 사용하는 언어에서도 꽤 많은 연구과제가 나올 것 같다.
교회 안에서 사용하는 언어중 ‘성전’ 이라는 낱말도 그 중의 하나일 것이다. 구약시대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성전’이라는 용어가 교회 안에서 너무 남용되고 있다는 말이다.
성전은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는 ‘제단’과 ‘성소’, 그리고 오직 대제사장만이 들어갈수 있는 ‘지성소’로 구분되어 있던 곳인데 그런 ‘성전’이란 용어와 신약시대의 ‘교회’를 마구 혼용해서 쓰고있다는 주장이다.
예를들면 ‘성전 건축’이란 말을 쓰는데 그것이 어떻게 ‘성전 건축’이냐는 말이다. ‘예배당 건축’ 또는 ‘교회당 건축’이라면 몰라도 ‘성전 건축’이란 말은 도무지 합당한 용어가 아니란다. 구약시대의 ‘성전’의 개념과 신약시대의 ‘교회’의 의미를 확연히 구분하여 사용하라고 그들은 주문한다.
이 주장들에 대한 반론 또한 만만찮다. 우선 그런 문제들은 본질적이 아닌 ‘비본질적(非本質的)’인 문제들이므로 그런 것들을 가지고 교회 안에서 시시비비(是是非非)를 할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다.
이제 이들의 주장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보자.
우선 ‘성가대’라는 말부터 생각해 보자. “이 단어를 풀어 보려면 ‘성가’의 의미를 먼저 알아야 하는데 그 의미를 국어사전에서는 ‘예수교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성부(천주), 성자, 성령(천신)을 찬송하는 노래’이고 이런 ‘성가’를 부르기 위하여 조직된 합창대’를 ‘성가대’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리고 ‘성가대’라는 말을 ‘찬양대’라는 말과 동의어(同意語)로 취급함을 볼 수 있다.
‘성가대’라는 말이 단지 일본에서 온 용어이기 때문에 부적격한 용어라는 주장에는 설득력이 없다...”는 이야기다.
그리스도의 명칭에 대해서는 “단순히 ‘예수’라고 부르는 것 보다는 ‘예수님’이란 존대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그리스도와 단순 비교할 수는 없어도 사도 ‘바울’을 ‘바울님’이라고 호칭하지는 않지 않는가? 그리고 성경 어디를 보아도 모두 ‘예수’ 라고만 씌어있지 ‘예수님’이라고 씌어있는 곳은 없다.
찬송가에서도 ‘예수’와 ‘예수님’이 혼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단지 ‘예수가…’라고 하는 등의 표현은 적절치 못하다. 이런 경우엔 ‘께서…’라는 높임말 토씨를 써야한다...”
“‘성전’의 사전적(辭典的) 의미는 ‘예배당’과 동일하다. ‘성스러운 전당’이란 의미이며, 영어로는 ‘church’라고 표기한다.
영어성경에는 ‘temple’로 되어있는데 이 의미에는 ‘신전’ ‘사원’이라는 뜻 외에 ‘(그리스도교의) 교회당, (프랑스 기타의) 신교도의 예배소’ 등도 있다. 물론 구약시대의 제단과 성소. 지성소가 있던 ‘성전’과는 구별이 되어야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예배당’의 의미로 쓰이는 데에는 무리가 없다...” 등등.
글쎄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바른 언어 생활을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복합문화 사회에서 그리고 시간을 아껴가며 살아야하는 바쁜 현대생활에서 바른말만 꼭 집어서 사용하는 것도 그리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