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P 투어 단식 챔피언...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오픈 우승

1세트 타이브레이크 3-6 열세 뒤집고 호주선수 2-0 제압

 

     권순우 [카자흐스탄 테니스협회 소셜 미디어 사진]

 

권순우(82위·당진시청)가 한국 선수로는 18년 만에 남자프로테니스(ATP) 투어 대회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

 

권순우는 26일 카자흐스탄 누르술탄에서 열린 ATP 투어 아스타나오픈(총상금 48만 달러) 대회 마지막 날 단식 결승에서 제임스 더크워스(65위·호주)를 1시간 36분 만에 2-0(7-6<8-6> 6-3)으로 물리쳤다.

 

이로써 권순우는 2003년 1월 아디다스 인터내셔널에서 정상에 오른 이형택(45·은퇴) 이후 18년 8개월 만에 ATP 투어 단식을 제패한 한국 선수가 됐다.

 

이번 대회 우승 상금은 4만7천80 달러(약 5천500만원)다. 우승 랭킹 포인트 250점을 받은 권순우는 자신의 역대 최고 랭킹인 57위까지 오를 전망이다.

 

한국 선수가 ATP 투어 단식 결승에 오른 것도 2001년 US 클레이코트 챔피언십 준우승 이형택과 2003년 아디다스 인터내셔널 이형택에 이어 이번 권순우가 세 번째다.

 

2018년 호주오픈 4강에 올랐던 정현(282위·제네시스 후원)은 2017년 11월 신설 대회였던 넥스트 제너레이션에서 우승했으나 21세 이하 선수들이 출전하는 이 대회는 ATP 정규 투어가 아니다.

 

    권순우 [카자흐스탄 테니스협회 소셜 미디어 캡쳐]

 

이날 권순우의 결승 상대 더크워스도 권순우와 마찬가지로 이번에 처음으로 ATP 투어 단식 결승에 오른 선수다.

 

승부처는 1세트 타이브레이크였다. 3-3까지 맞서다가 더크워스가 연달아 3점을 가져가 3-6을 만들어 사실상 1세트를 따내는 듯했다.

 

한 포인트만 더 뺏기면 1세트를 그대로 내주는 위기에서 권순우는 거짓말처럼 5연속 득점에 성공하며 8-6으로 승부를 뒤집고 1세트를 따냈다.

 

기세가 오른 권순우는 2세트에서는 2-2에서 내리 3게임을 획득, 5-2로 달아나며 더크워스의 기세를 확실히 꺾어놨다.

 

더크워스는 지난주 투어보다 한 등급이 낮은 챌린저 대회에서 우승, 최근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은 선수였다.

 

이 대회 전까지 권순우는 올해 6월 영국에서 열린 바이킹 인터내셔널(총상금 54만7천265 유로) 4강이 자신의 투어 대회 최고 성적이었다.

 

또 다음 주 예상 랭킹은 57위로 지난해 3월 69위인 자신의 최고 랭킹도 경신할 전망이다.

24일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양크턴에서 치러진 2021 세계양궁선수권대회에서 여자단체전 우승을 차지한 안산(광주여대), 강채영(현대모비스), 장민희(인천대)가 금메달을 목에 걸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리커브 양궁이 2020 도쿄올림픽에 이어 2021 세계양궁선수권대회에서도 단체전 금메달을 싹쓸이했다.

 

안산과 김우진은 24일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양크턴에서 열린 대회 5일째 대회 혼성 단체전(혼성전) 결승에서 러시아의 옐레나 오시포바-갈산 바자르자포프 조를 6-0(38-36 39-36 37-33)으로 완파했다. 앞서 결승이 열린 남녀 단체전에서 금메달 2개를 수확한 한국은 혼성전 결승에서도 이겨 이 대회 단체전에 걸린 3개의 금메달을 모두 쓸어 담았다.

 

한국은 세계선수권에서 혼성전이 도입된 2011년 대회 이후 이번까지 6개 대회의혼성전 금메달을 다 가져왔다.

 

안산(광주여대)과 김우진(청주시청)은 남은 개인전에서 3관왕에 도전한다. 약 2달 전 일본 도쿄에서 사상 첫 올림픽 양궁 3관왕에 올랐던 안산은 2개 메이저 대회 연속으로 3관왕에 등극할 기회를 잡았다. 만약 안산과 김우진이 개인전 금메달까지 모두 가져온다면, 한국 양궁은 2009년울산 대회 이후 12년 만에 세계선수권 리커브 전종목 석권의 위업을 이룬다.

 

앞서 1997년 빅토리아(캐나다) 대회와 2005년 마드리드(스페인) 대회, 2009년 대회에서 한국 양궁은 총 3차례 전종목 석권을 해낸 바 있다.

 

전세계적으로 양궁 평준화가 가속화한 2010년대부터 '최강' 한국 양궁에도 세계선수권 전종목 석권은 매우 어려운 일로 여겨졌다. 특히 2019년 스헤르토헨보스 대회에서 혼성전 금메달 1개에 그쳤던 한국 양궁은 이번 대회에서 최소 3개의 금메달을 확보하며 자존심을 회복했다.

 

안산과 강채영(현대모비스), 장민희(인천대)로 이뤄진 여자 대표팀은 단체전 결승에서 멕시코를 5-3(53-54 55-54 55-53 56-56)으로 제압했다.

 

한국 여자 양궁은 2017년 멕시코시티 대회 이후 4년 만에 정상에 복귀했다.

 

남자 단체전 결승에서는 김우진과 오진혁(현대제철), 김제덕(경북일고)이 미국을 6-0(54-53 56-55 57-54)으로 완파했다. 남자 양궁이 세계선수권 단체전 금메달을 따낸 것은 2015년 코펜하겐(덴마크) 대회 이후 6년 만이다. 개인전에서 16강 탈락해 그랜드슬램 달성에 실패한 오진혁은 개인 통산 5번째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거머쥐며 아쉬움을 달랬다.

 

개인전 금메달 주인공은 26일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치러 가린다. 여자 개인전에서는 안산과 장민희가, 남자에서는 김우진과 김제덕이 도전한다. 한편, 컴파운드 양궁 혼성전 동메달결정전에서 김종호(현대제철)와 김윤희(현대모비스)가 덴마크에 152-148로 이겨 동메달을 따냈다. 연합뉴스

 

성적은 5오버파로 부진 "도움 주고 싶었는데…초반에 호흡 안 맞아"

 

김효주와 유현주 [KLPGA 제공]

 

지난주 국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여자골프 세계랭킹 5위 김효주(26)가 이번 주엔 '캐디'로 투어 대회에 등장했다.

 

김효주는 24일 경기도 안산의 아일랜드 컨트리클럽에서 열린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엘크루-TV조선 프로 셀러브리티 1라운드에서 유현주(27)의 일일 캐디로 나섰다.

 

도쿄올림픽 출전 이후 휴식기를 보내다 최근 국내 대회에 나섰던 김효주는 19일 끝난 OK저축은행 박세리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을 차지한 뒤 미국 복귀를 준비하던 중 이날 하루 유현주의 캐디백을 멨다.

 

KLPGA 2부 투어에서 뛰는 유현주는 화려한 패션과 외모로 많은 팬을 두고 방송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는 선수로, 이번 대회엔 초청을 받아 출전했다.

 

김효주와는 지난해 한 방송의 이벤트 경기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것을 계기로 친분을 쌓았는데, 그때부터 김효주가 유현주에게 캐디를 맡아보고 싶다고 말해왔다고 한다.

 

1라운드 후 기자회견에서 답변하는 김효주(왼쪽)와 지켜보는 유현주

 

1라운드를 마치고 기자회견에서 유현주는 "어젯밤에도 김효주가 백을 메고 싶다고 해서 저녁 8시 반쯤 급히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기자회견에 함께 참석한 김효주는 "유현주 선수와 같이 라운드해 보면 정말 샷이 좋은데 성적이 조금 아쉬워서 왜 그런지 알고 싶었다"고 말했다.

 

세계 5위 선수를 캐디로 대동했으나 유현주의 1라운드 결과는 좋지 못했다. 버디 2개, 보기 5개, 더블보기 하나를 묶어 5오버파 77타에 그쳐 기권자 2명을 뺀 106명 중 공동 92위에 그쳤다.

 

유현주는 "신나게 출발은 했지만, 김효주가 힘들거나 다칠까 봐 염려하면서 쳤다. 초반에 미스가 많아서 힘든 경기를 했다"면서 "아쉬움이 많이 남지만, 좋은 추억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나는 탄도가 있는 스타일인데, 효주는 굴려서 공략하는 스타일이다. 효주의 조언을 듣고는 싶은데, 내 나름의 치고 싶은 느낌도 있어서 어중간했던 것 같다. 전반에는 호흡이 좀 안 맞았던 것 같다"고 자평했다.

 

캐디백 멘 김효주

 

김효주 역시 "처음 호흡을 맞추다 보니 초반에 서로 사인이 안 맞았다"며 "잘 치는 선수가 성적이 안 나는 게 아쉬워서 도움을 주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정말 긴장을 많이 해서 잠도 못 잤다. 한 시간 간격으로 깼다. 아침에 밥도 안 넘어가더라"고 털어놓기도 한 김효주는 "다들 체력적으로 힘들 거라고 하던데 생각보다는 괜찮았다"고 덧붙였다.

 

김효주는 이번 주말 미국으로 돌아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대회 출전을 준비한다.

 

그는 "제일 잘하는 건 캐디보다는 선수지만, 대회에 나오지 않거나 쉴 때 또 캐디를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이 대회서 12년 만에 한국 선수 챔피언, 박성현은 공동 15위

 

고진영 우승 [LPGA 투어 소셜 미디어 사진]

 

고진영(26)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캄비아 포틀랜드 클래식(총상금 140만 달러) 우승을 차지했다.

 

고진영은 19일 미국 오리건주 웨스트 린의 디 오리건 골프클럽(파72·6천478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3라운드에서 버디 3개로 3언더파 69타를 기록했다.

 

최종 합계 11언더파 205타를 친 고진영은 공동 2위인 이정은(33)과 교포 선수 오수현(호주)을 4타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올해 7월 VOA 클래식에 이은 시즌 2승, LPGA 투어 통산으로는 9승을 달성했다. 이 대회 우승 상금은 21만 달러(약 2억4천만원)다.

 

이번 우승으로 올해 한국 선수들은 LPGA 투어에서 4승째를 따냈다. 고진영이 혼자 2승을 거뒀고, 박인비(33)와 김효주(26)가 1승씩 기록했다.

 

또 이 대회에서 한국 선수가 우승한 것은 2009년 허미정(32) 이후 올해 고진영이 12년 만이다.

 

이 대회는 원래 4라운드 72홀 경기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전날 폭우로 인해 대회를 진행하지 못하고 3라운드 54홀로 축소됐다.

 

고진영의 경기 모습.[LPGA 투어 소셜 미디어 사진]

  

2라운드까지 2위에 1타 앞선 단독 1위였던 고진영은 이날 보기 없는 깔끔한 플레이로 한때 5타 차 선두를 달리는 등 비교적 편안한 우승을 거뒀다.

 

1타 차 2위였던 제마 드라이버(스코틀랜드)가 초반 6개 홀에서 1타를 잃었고, 고진영은 7번과 11번 홀에서 버디를 잡아내며 타수를 벌려 나갔다.

 

8번 홀(파3) 티샷이 그린을 벗어나며 이날 유일한 위기를 맞았던 고진영은 이 홀을 파로 막았고, 중반 이후로는 2위 선수들을 줄곧 3∼5타 차로 앞서며 순항했다.

 

3타 차 1위로 여유 있게 시작한 마지막 18번 홀(파5)에서는 6m 정도 중거리 버디 퍼트를 넣고 우승 기쁨을 더했다.

 

8월 초 도쿄올림픽 이후 약 1개월 반 만에 공식 대회에 나와 곧바로 우승한 고진영은 경기 후 현지 방송 인터뷰에서 "올림픽 이후 영국에서 열린 AIG 여자오픈에 나가고 싶었지만 한국에 머물며 충전하는 시간을 보냈다"며 이후 우리 말로 "한가위 선물을 드리게 돼 영광이다. 송편 많이 드시면서 좋은 명절 보내시면 좋겠다"고 국내 팬들에게 인사했다.

 

동명이인인 이정은 두 명은 모두 10위 안에 들었다.

 

이정은 [LPGA 투어 소셜 미디어 사진]

 

언니인 이정은이 7언더파 209타로 공동 2위에 올랐고, LPGA 투어 신인왕 출신 이정은6(25)은 3언더파 213타로 공동 8위다.

 

이정은6 [LPGA 투어 소셜 미디어 사진]

 

최근 부진했던 박성현(28)은 2언더파 214타로 허미정 등과 함께 공동 15위로 대회를 마쳤다.

 

박성현이 20위 내에 든 것은 지난해 10월 KPMG 여자 PGA 챔피언십 17위 이후 이번이 약 1년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