맵 오브 더 솔 원첨단 기술의 향연

 

쇼는 계속돼야 한다.” 그룹 퀸의 보컬 프레디 머큐리는 1991년 세상을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발표한 곡 더 쇼 머스트 고 온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공연장이 문을 닫고 멈췄지만, 머큐리의 노래처럼 쇼는 온라인을 타고 이어져 팬들을 다시 한번 열광시켰다.

방탄소년단(BTS)10~11일 연 온라인 콘서트 맵 오브 더 솔 원’(MAP OF THE SOUL ON:E)은 비대면 공연의 기술적인 도약을 확인하는 시간이었다. 증강현실(AR) 등의 기술을 통한 무대 구성과 전세계 수백명 팬들의 모습을 실시간으로연결한 영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콘서트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기 충분했다.

이날 공연 시작을 알리는 곡은 ’(ON)이었다. 지난 2월 발표한 이들의 정규 4<맵 오브 더 솔 : 7>의 타이틀곡이다. 멤버들은 강렬한 힙합 사운드에 맞춰 특유의 칼군무를 선보였다. 이어 .’(N.O) ‘위 아 불렛프루프 파트2’ ‘상남자등을 연달아 선보이며 분위기를 달궜다.

공연은 제목처럼 앨범 <맵 오브 더 솔> 시리즈에 담긴 곡을 중심으로 꾸며졌다. ‘작은 것들을 위한 시를 비롯해 디오니소스’ ‘블랙스완’ ‘’ ‘00:00’ 등의 노래가 대표적이다. ‘페르소나’(알엠·RM), ‘섀도’(슈가), ‘시차’(정국), ‘필터’(지민), ‘’(), ‘이너 차일드’(), ‘에고’(제이홉) 등 일곱 멤버의 솔로 무대도 펼쳐졌다.

10일 열린 온라인 콘서트 맵 오브 더 솔 원’(MAP OF THE SOUL ON:E)에서 방탄소년단(BTS)이 화려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공연은 첨단 기술의 향연이었다. 증강현실과 가상현실(VR) 등을 도입해 오프라인 공연에선 즐길 수 없는 차별화된 무대를 선보였다. 3차원(3D) 화면으로 거인 알엠을 만들거나(‘페르소나’), 순식간에 주변 공간을 별이 가득한 우주로 바꿔 무대가 마치 우주 속에 떠다니는 것처럼 꾸민 것(‘디엔에이’)이 대표적이다. 화면도 관객이 원하는 대로 각기 다른 앵글의 6개 화면을 실시간으로 선택해서 볼 수 있도록 했다. 다만 화면을 바꿀 때 일시적으로 화면이 끊기는 문제는 다소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었다.

이번 공연에서 특히 눈에 띈 것은 관객의 함성과 얼굴이 공연장에 고스란히 전해졌다는 점이다. 지난 6월 첫 온라인 공연 때 팬들이 가수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은 채팅창에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유일했다. 하지만 이번 공연에선 사전에 선정된 수백명의 팬을 화상으로 연결하면서, 실제 콘서트장과 비슷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소리 질러라는 멤버들의 요청에 관객의 환호성이 이어지고, 가수와 관객이 함께 노래하는 이른바 떼창도 더해졌다. 진은 지난 온라인 공연과 달리 이번엔 화면으로 여러분의 얼굴과 목소리를 보고 들을 수 있어 힘이 난다고 말했다.

10일 열린 온라인 콘서트 맵 오브 더 솔 원’(MAP OF THE SOUL ON:E)에서는 사전에 선정된 수백명의 아미를 공연 장에 마련된 스크린으로 연결하면서, 실제 콘서트장과 비슷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구체적인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방탄소년단의 소속사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6월 온라인 공연인 방방콘 더 라이브에 견줘 8배가 많은 제작비를 이번 공연에 투입했다고 밝혔다. 6월 공연은 전세계 756600여명의 동시 접속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세웠다. 백댄서들이 공연 내내 마스크와 복면 등으로 입을 가린 것도 코로나 시대에 달라진 모습이었다.

코로나19 탓에 어렵게 공연이 이뤄진 만큼 가수와 팬이 감격해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지민은 앙코르 무대를 마친 뒤 코로나19로 준비해온 대면 공연을 하지 못한 상황을 이야기하며 무대에서 멤버들이 즐겁게 뛰어노는데 울컥했다고 흐느꼈다. 그 모습에 수많은 팬들도 눈물을 닦았다.

공연의 끝자락에서 멤버들이 팬들에게 전한 것은 희망의 메시지였다. 알엠은 우리 언어는 음악이고, 우리 지도는 꿈이라며 우리 행진은 아주 작은 꿈에서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였다. “방탄소년단은 7명이 아니고 나, , 그리고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우린 강하고, 우린 반드시 길을 찾을 것이다.” 이 말을 뒤로하고 2시간40분의 공연은 끝이 났다. 창밖에는 짙은 어둠이 내려앉아 있었다. ‘비티에스를 외치는 팬들의 함성이 오래도록 이어졌다. 김경욱 기자

 


방탄소년단(BTS) 온라인 콘서트 '맵 오브 더 솔 온'  2시간 첫 공연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전 세계에서 약 75만 명의 관객을 모은 '방방콘 더 라이브'보다 8배가량 많은 제작비를 투입한 대규모 온라인 콘서트로 다시 찾아온다.

방탄소년단은 10일 오후 7(EST 오전 6)부터 약 두시간 동안 온라인 콘서트 'BTS 맵 오브 더 솔 원'(MAP OF THE SOUL ON:E) 첫 공연을 연다.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이번 온라인 콘서트는 방탄소년단이 지난 6월 개최한 '방방콘' 때보다 약 8배 많은 제작비가 들어갔다.

우선 4개의 대형 무대를 마련해 관객들이 각기 다른 네 곳의 대형 공연장에서 펼쳐지는 공연을 관람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증강현실(AR), 확장현실(XR) 등 첨단 기술을 적용했으며 관객들은 4KHD의 고화질로 감상할 수 있다.

6개의 서로 다른 앵글을 실시간으로 선택해 감상할 수 있는 '멀티뷰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도 선보인다.

아울러 방탄소년단은 지금까지 한 번도 공개하지 않았던 무대를 선사하고, 이날과 둘째 날인 11일 오후 4시 공연 세트 리스트에 변화를 줘 다양한 퍼포먼스를 꾸밀 예정이다.

준비하는 데만 1년이 걸린 이번 공연은 당초 오프라인 콘서트도 병행할 예정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만 하게 됐다.

빅히트는 "'맵 오브 더 솔 원'이라는 콘서트 이름이 단 하나(ONE)뿐인 온라인 에디션(ONline Edition) 공연이라는 의미를 지닌 만큼 한층 더 웅장하고 볼거리가 풍성한 콘서트가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방탄소년단은 앞서 처음으로 연 온라인 콘서트 '방방콘'으로 세계 107개국에서 약 756600여 명의 동시 접속 시청자를 모아 '최다 시청자가 본 라이브 스트리밍 음악 콘서트' 기네스 세계 기록을 세운 바 있다.

BTS의 '방방콘 더 라이브'



가황’(歌皇) 나훈아가 추석 연휴 비대면 콘서트에서 70대 나이가 무색한 화려한 무대들을 선보인 가운데 전국적인 화제를 모으며 일부 곡 스트리밍이 370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훈아가 지난 8월 발매한 '2020 나훈아 아홉 이야기' 앨범 수록곡들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그 중에도 신곡 '테스형!'이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6일 지니뮤직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나훈아의 전체곡 스트리밍이 추석 연휴 전과 비교해 264.9% 증가했지만 그 중에서도 '테스형!' 스트리밍은 가히 폭발적으로 3,733%나 증가했다.

음원사이트 순위도 급등해 10 1일 멜론에서 일간 차트 95위를 기록해 순위권에 진입했다. 지니뮤직 일간 차트에서는 49위까지 오른 뒤 나흘 연속 일간 차트 80∼90위권 대를 유지했다.

’테스형!‘은 새 앨범 수록곡으로 고대 철학자 소크라테스에게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 천국은 있던가요라는 기발한 가사로 관심을 모았다. 온라인에서는 새로운 밈(meme·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콘텐츠)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앞서 30 KBS가 방영한 비대면 콘서트 ‘2020 한가위 대기획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는 가수 나훈아의 16년 만의 지상파 방송 출연으로 연휴 내내 화제를 모았으며 29%라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미 버라이어티 지, 표지 기사로 BTS 현상 다루며 다각도 조명

기생충이어 BTS 성공 한국이 창의력의 새 중심 가능성 신호

BTS의 정치적 영향력도 주목팬들, 글로벌 시민권 감각 키워

 

미국의 유명 연예 잡지 '버라이어티'(Variety)가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 오른 방탄소년단(BTS)'주식회사'에 빗대며 "BTS가 세계를 차지할 것"이라는 미국 음악산업 종사들의 전망을 소개했다.

버라이어티는 1'BTS와 팬클럽 아미(ARMY)는 음악 산업을 어떻게 바꿨는가'라는 제목의 커버 스토리(표지 기사)를 게재했다.

버라이어티는 BTS가 창출하는 경제적 가치를 "BTS 주식회사"(BTS Inc.)의 성과로 비유하면서 "영화 '기생충'의 오스카상 수상에 이어 BTS의 세계적인 성공은 한국이 창의력의 새로운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이 매체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BTS와 팬들의 소통, 관련 콘텐츠 등은 "서양의어느 아티스트도 성취하지 못한 것"이라며 "BTS의 성공은 (미국) 음반 회사가 가수의 팬층을 만들고 유지하는 방법을 다시 생각하게끔 했다"고 전했다.

게펀 레코드 사장을 지낸 닐 제이컵슨은 버라이어티에 "이제는 아티스트가 팬들에게 직접 말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겼다""이런 구조가 (BTS에는) 엔진이 되면서 히트곡이 더 많은 히트곡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소니 레코드 임원이자 BTS '다이너마이트'(Dynamtie)의 보컬 프로듀서를 맡은 제나 앤드루스는 "노래와 춤에서 BTS와 같은 아티스트를 본 적이 없다""BTS가 세계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캐스린 로프턴 예일대 종교학 교수는 BTS와 팬들의 끈끈한 유대감은 "단합과 참여, 공동체의 기쁨"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BTS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BTS와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지난 6'흑인 목숨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BLM) 운동에 100만달러를 기부했다.

그러자 '아미'도 같은 금액을 모으는 '매치 어 밀리언(Match A Million) 캠페인을 벌여 100만달러 이상의 성금을 모아 BLM 운동단체에 전달한 적이 있다.

캔디스 엡스 로버트슨 노스캐롤라이나대 조교수는 "BTS 노래 가사와 긍정적인 내용이 단순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수백만 명의 팬들에게는 글로벌 시민권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BTS, 두 번 째 경복궁 무대경회루에서 반짝인 '소우주'

NBC '지미 팰런쇼' 넷째날 퍼포먼스밤하늘 '아미' 로고

 

그룹 방탄소년단(BTS)'소우주'(Mikrokosmos)를 열창하는 동안 경회루 위 밤하늘에 '아미(방탄소년단 팬)'를 상징하는 로고가 새겨졌다.

방탄소년단이 경복궁 근정전에 이어 경회루에서도 특별한 무대를 펼쳤다. 미국 NBC 프로그램 '더 투나잇 쇼 스타링 지미 팰런'(팰런쇼)을 통해서다.

방탄소년단은 2일 오후(한국시간) 방송된 팰런쇼에서 지난해 발매한 '맵 오브 더 솔 : 페르소나' 미니앨범 수록곡 '소우주'를 불렀다. 팰런쇼가 닷새간 특별 편성한 'BTS 위크'의 넷째 날 무대다.

국보 제224호인 경회루에 선 방탄소년단 멤버들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감미롭게 '소우주'를 열창했다.

밤하늘 아래 경회루가 불을 밝히고, 연못에 비친 누각 그림자가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이 연출됐다. 노래 말미에는 '아미'를 상징하는 로고가 CG를 통해 하늘에 빛으로 수놓아진 뒤 방탄소년단의 상징 로고로 바뀌었다.

방탄소년단은 지난달 29일에는 한복을 재해석한 무대 의상을 입고 경복궁 근정전 앞에서 '아이돌'(IDOL) 무대를 선보여 화제가 됐다.

방탄소년단은 닷새간 예정된 'BTS 위크'를 통해 지난달 29일부터 매일 다른 퍼포먼스를 공개해왔다. 게임과 인터뷰 등을 통해 유쾌한 매력도 보여줬다.

한편, 방탄소년단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돌비 시어터에서 오는 14일 열리는 '2020 빌보드 뮤직 어워드(BBMA)'에 출연해 '다이너마이트'를 부른다.

빌보드 뮤직 어워즈는 미국 3대 음악 시상식 중 하나로, 방탄소년단은 2017년부터 4년 연속 출연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올해 '톱 듀오/그룹''톱 소셜 아티스트' 2개 부문 수상 후보에도 올라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