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평통)의 사무처(처장 석동현)가 최광철 미주지역회의 부의장의 직무를 정지시켜 미주지역 평통 안팎으로부터 비판이 거세다. 특히 평통 사무처가 내세운 직무정지 사유를 놓고도 논란이 커지고 있다.
평통 사무처는 지난 10일 최 부의장의 직무정지 사유와 관련해 '부적절한 직무 수행'과 그로 인한 미주지역의 '분란과 갈등'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무처는 또 지난 6일 미주지역에 보낸 공문에서는 직무정지의 주된 '사유'로 미주지역 이종원 뉴욕협의회장, 강창구 워싱턴협의회장 등 미국내 14명과 캐나다 김연수 토론토협의회장, 정기봉 밴쿠버협의회장 및 중남미의 박래곤 중미·카리브협의회장, 김요준 브라질협의회장 등 18개 협의회장들이 최 부의장의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
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었다는 입장문을 첨부했다.
그런데 입장문을 냈던 협의회장들이 "직무정지를 건의한 내용이 아니다"고 주장하자, 사무처는 이런 움직임을 '부적절한 직무 수행'과 '분란과 갈등'으로 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사무처는 지난해 11월 최 부의장이 대표를 맡고 있는 민간단체 '미주민주참여포럼(KAPAC)'이 워싱턴DC에서 주최한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를 문제 삼았다.
사무처는 지난달 6일 최 부의장에게 보낸 조사 질의서에서 '컨퍼런스가 평통의 공식 행사가 아님에도 협의회 간부와 자문위원들에게 참석 등을 협조한 경위'를 물었다. 또 그가 KAPAC 대표와 평통 부의장을 겸직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최 부의장은 사무처 조사에 응하지 않고 컨퍼런스는 한국계 미국인들(KAPAC 회원들)이 지역구 대표인 연방 의원들에게 한반도 평화에 관심을 가져달라는 유권자 운동이었다며 평통과는 무관한 행사였기에 사무처의 조사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주변 한국계 미국인들에게 행사를 홍보하고 참여를 권유한 것은 맞지만 그들의 참여는 자유의사에 따른 것이었고 평통 부의장이라는 지위도 그들의 행동을 제약할 실질적 권한이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KAPAC 대표와 평통 부의장 겸직 문제에 대해서도 평통 위원들은 무보수 명예직이기 때문에 대부분 겸직한다면서 겸직을 문제 삼는 것은 자가당착이라고 비판했다.
이같은 상황에 변호사인 LA 협의회 이승우 회장은 "사무처가 컨퍼런스를 문제 삼은 것은 미국 시민권자의 집회, 결사,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며 행사 참여자들에 의한 미국내 소송 가능성을 제기하고 “시민권자에게 한국정부 정책을 종용한다는 것은 미국 국내법 위반으로 민주평통이 해체될 수도 있는 사안"이라고 비판적 견해를 보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현장의 생생한 대면 음악회에 목말라 했던 음악 팬들이 모처럼의 연주회에 모여들어 예배당을 가득 메웠다. ‘클래식의 명가’ 예멜합창단(단장 이재수, 지휘 이민영)이 정기연주회를 가진 토요일 저녁시간에 800명 수용규모의 서부장로교회 베들레헴 성전에는 청중이 1층을 채우고 2층에도 다수가 자리잡고 합창 화음에 심취했다.
예멜합창단은 12월3일 저녁 7시부터‘The Gift of Christmas’라는 주제로 정기연주회를 열어 흥겨운 캐롤과 브라스 앙상블까지 다채로운 음악 선물보따리를 무대에 펼쳐 다소 쌀쌀해진 날씨에도 성탄절을 앞두고 연주회를 찾은 한인 동포들과 열혈 팬들의 마음을 따사롭게 녹였다.
금관 5중주단의 연주 ‘The First Noel’로 막을 올린 이날 연주회는 소프라노·알토 ·베이스 각 3인씩인 9인조 중창단이 그리스도 강림을 기다리는 찬송곡인 Zoltan Kodaly의 ‘Veni Veni Emmanuel’을 들려주면서 분위기가 고조됐다. 합창단은 ‘징글벨’과 ‘북치는 소년’(Carol of the Drum), ‘In the Black Midwinter’,‘산 위에 올라가서’‘The Twelve Days of Christmas’ 등을 불러 성탄의 기쁨을 전하고, 친근한 대중곡 ‘우리의 사랑이 필요한 거죠’를 이준영 테너의 감칠 맛 솔로와 함께 합창으로 선사해 청중의 마음을 샀다.
인터미션에 이은 후반부에는 먼저 크리스마스 찬송곡 ‘천사 찬송 하기를’(Hark! the Herald Angel Sing)을 1절은 청중과 함께, 2절은 합창단이, 그리고 다시 3절은 이민영 지휘자가 합창단과 객석을 번갈아 지휘하며 청중과 호흡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대미는 브라스 앙상블이 협연한 존 루터의 ‘Gloria’3악장 모두를 웅장하고 섬세한 연주와 합창으로 들려주면서 막을 내려 우레같은 박수와 앙코르 세례를 받았다. 2악장에서는 이재수 조혜령 한선영 소프라노가 화음을 과시했다.
이민영 지휘자는 청중 성화에 못이기는 척,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와 ‘우리의 사랑이 필요한 거죠’두 곡을 앙코르 선물로 내놓아 큰 박수를 덤으로 받았다.
이날 피아노 반주는 이현탁 피아니스트가 수고했다. 발랄한 신세대 이민영 지휘자와 33인의 예멜단원들은 애정어린 청중의 호응에 고무된 듯 오랜 연습의 피로도 잊은 채 모두들 상기된 얼굴에 웃음꽃을 피우며 자리를 뜰 줄 모르고 팬과 어울렸다. < 문의: 647-285-7395 >
‘착한 목자-게일의 삶과 선교’ 등을 펴낸 유영식 토론토대 은퇴교수(Ph.D)가 최근 방대한 분량의 새 책 ‘한국과 캐나다 나눈 역사(Canada and Korea A Shared History)’를 출간했다. 한글과 영어 이중언어로 구성해 국배판 사이즈로 제책됐으며 페이지수도 839쪽에 달하는 묵직한 책으로 도서출판 진흥을 통해 나왔다.
유 교수가 이번에 펴낸 ‘한국과 캐나다 나눈 역사’는 한국(조선)과 캐나다의 인연을 거슬러 올라가 캐나다 선교사들에게 처음 소개된 조선말기의 상황과 인물들을 보여주는 수많은 자료들부터, 대표적인 선교사들의 활동상과 그들이 본 한국문화와 사회상에 관한 사진과 서한 및 사적지 등을 1부에 빼곡이 담았다. 여기에는 6.25 한국동란 때 참전했던 캐나다 병사들의 이야기와 전사자 명단, 그들을 기념하는 사업과 장소 등 데이터도 포함하고 있다.
2부에서는 캐나다에 온 한국사람들의 이야기 편으로, 1896년 캐나다를 거쳐간 민영환의 여행기 ‘해천추범’이라는 책자의 소개부터 1898년 인두세를 내고 캐나다에 발을 디딘 한인 이민자들의 기록 등 이민사를 전한다. 아울러 저자의 시각에서 선별한 한인사회 인물과 단체 등의 내력과 활동에 대한 자료들도 수록했다.
저자는 이 책을 ’편저’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창작서라기 보다는 수많은 데이터를 모아 정리하고 항목별로 채록한 하나의 방대한 자료집 성격이 강하기 때문인 듯 하다.
유 교수는 “2023년은 제임스 게일 선교사 탄생 160주년, 한국도착 135주년이고 올리버 에이비슨과 윌리엄 맥켄지 한국도착도 130주년이며, 인두세 지불한 한인 이민 125주년, 한-캐 수교 60주년”이라고 언급, 두 나라의 역사적 인연에 관한 자료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토론토 한인회(회장 김정희)는 대한라인댄스연맹과 공동으로 제1회 토론토 라인댄스 마라톤 축제(The 1st Toronto Line Dance Marathon Festival)를 새해 2023년 3월18일(토) 오후 1시 한인회관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해를 준비하며 동포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건전한 여가생활을 도울 생활체육의 일환으로 개최할 라인댄스마라톤 축제는 안무가 정해져 있는 15개의 곡을 마라톤처럼 계속 이어서 추면서 우열을 가리는 실내 스포츠 이벤트다. 참가자들은 한인회 홈페이지에서 안무 영상을 보고 연습해서 참가할 수 있으며, 챌린지 5, 10, 15곡 중 선택이 가능하다. 15곡 종목에 참가해 완벽하게 안무를 소화한 우승자에게는 상금 $1,000가 주어진다. 10곡은 $300, 5곡은 $150을 상금으로 수여한다. 참가자는 오는 12월 말까지 선착순 60명을 신청받으며 참가비는 $50이다. 12월15일까지 신청자는 Early Bird로 간주해 $5 할인해준다. 대회장에서는 식사와 음료를 제공한다. 안무영상의 곡명, 난이도 및 안무가는 토론토 한인회 웹사이트 (www.kccatoronto.ca)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인회는 이번 대회 참가신청에 대해 “3개월 간의 준비 기간이 있는 만큼 많은 동포들의 참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문의: 416-383-0777, 박영주 647-894-1289, 비비안 윤 647-400-27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