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신임 16일만에 재집권에 성공한 스웨덴의 스테판 뢰벤 사민당 대표가 7일 의회 의장으로부터 총리 인준 통과 서류를 받고 있다. 스톡홀름/TT 로이터 연합뉴스
스웨덴 사상 처음으로 의회에서 불신임을 당해 사퇴했던 스웨덴의 스테판 뢰벤 전 총리가 7일 불신임 16일만에 재집권에 성공했다.
스웨덴 의회는 이날 뢰벤 사민당 대표에 대한 총리 인준 투표에서 찬성 116, 반대 173, 기권 60으로, 인준안을 통과시켰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전했다. 스웨덴의 경우 과반이 반대해야만 총리 인준이 부결된다.
뢰벤 총리는 녹색당과 연정을 구성해 집권해왔는데, 연정에 참여하진 않았지만 현 정부를 지지하던 좌파당이 지지를 철회한 직후인 지난달 21일 불신임안이 의회를 통과하자 자진 사퇴했다. 좌파당은 뢰벤 내각이 신규 건설 주택의 경우 임대료를 시장 상황을 고려해 책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데 반발해 지지를 철회했다. 스웨덴에서는 집 주인이 임대료를 마음대로 정하지 못하고 ‘적정한 가격’만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현지 매체 <더 로컬>이 전했다.
뢰벤 총리는 불신임안이 의회를 통과하자 조기 총선 실시 대신 사퇴를 선택했다. 이에 따라 제1 야당인 온건당이 내각 구성 기회를 얻었지만, 울프 크리스테르손 온건당 대표는 내각 구성에 실패할 것으로 판단해 집권 기회를 포기했다.
야당이 내각 구성을 포기하자 뢰벤 전 총리에게 다시 기회가 왔고, 이날 의회에서 표결을 통해 재집권에 성공했다. 뢰벤 총리의 재집권은 온건당과 좌파당이 기권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사민당이 좌파당 출신 무소속 의원과 협상을 벌여 반대표를 과반(175표) 아래로 낮춘 덕분이었다고 <더 로컬>이 전했다.
뢰벤 총리가 어렵사리 재집권에 성공했지만, 좌우 주류 정당 어느 쪽도 의회를 장악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좌파당과 이민자에 적대적인 국가주의 정당 ‘스웨덴 민주당’의 입지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실제로 불신임안이 통과된 이후 좌파당의 지지율이 급상승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신기섭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아마존 선장 자리를 내려놓은 시점에 자산 세계 신기록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은 6일 아마존의 주가가 4.7% 뛰어오르면서 베이조스의 자산도 84억 달러(약 9조5천256억원) 증가해 순자산이 총 2천110억 달러(약 239조2천740억원)에 이르렀다고 보도했다.
아마존의 이날 주가 급등은 미 국방부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맺었던 100억 달러(약 11조3천77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사업 계약을 철회한다고 발표한 데 힘입은 것이다.
이 사업은 애초 아마존이 가장 유력한 수주업체로 꼽혔으나 최종적으로 MS가 선정되자 아마존은 국방부를 상대로 이의 소송을 제기하는 등 수주 업체 선정을 놓고 논란이 계속돼 왔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세계 최고 갑부의 자리를 두고 경쟁해왔으나 베이조스가 주가상승에 힘입어 선두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블룸버그 억만장자 인덱스 캡처]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세계 최고 갑부의 자리를 두고 경쟁해왔으나 베이조스가 주가상승에 힘입어 선두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블룸버그 억만장자 인덱스 캡처, DB 및 재판매 금지]
블룸버그가 자체 집계하는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지금까지 최고 순자산 기록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월에 세운 2천100억 달러였다. 당시 머스크는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서 3년 넘게 1위였던 베이조스를 제치고 순자산 1위로 등극했다.
하지만 지난 3월 중순 이후부터는 아마존의 주가가 20% 가까이 오르면서 다시 베이조스가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특히 베이조스의 이번 신기록은 지난해 팬데믹 영향으로 아마존 주가가 급등하면서 베이조스의 순자산도 한때 2천69억 달러까지 치솟았던 기록을 넘어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지난 2월 아마존 경영 일선에서 손을 떼겠다고 선언한 베이조스는 이달 5일부로 CEO직을 공식적으로 내려놨다. 하지만 여전히 회사 주식 11%를 보유한 최대 주주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6일 기준으로 베이조스에 이어 머스크가 순자산 총 1천808억 달러(약 205조272억원)로 2위 자리를 유지했다. 3위는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회장으로, 순자산 1천685억 달러(약 191조790억원)를 기록했다.
지난 2일 미국 기업 카세야의 원격관리 소프트웨어 서비스망을 통해 전세계로 번진 사상 최대의 랜섬웨어 공격 피해가 4일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추가로 확인됐다.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원격관리 서비스 회사 카세야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난 2일 전세계로 번진 사상 최대의 랜섬웨어 공격(컴퓨터를 마비시킨 뒤 돈을 요구하는 해킹 수법) 피해가 4일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추가로 확인됐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날까지 해커들이 피해를 입은 기관들에게 요구한 액수가 500만달러(약 55억원)에 이르는 걸로 집계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스웨덴의 슈퍼마켓 체인에서 지난 2일 피해가 처음 확인된 데 이어 독일과 네덜란드에서도 피해가 구체적으로 확인됐다. 독일 연방 온라인 보안 당국은 이날 수천 곳의 고객에게 정보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업체가 이번 해킹 피해를 당했다고 밝혔다. 네덜란드에서는 대형 정보기술 서비스 업체인 벨즈아트와 호펜브라우에르가 랜섬웨어 공격을 당했다고 <에이피> 통신이 전했다.
이번 공격은 원격관리 서비스용 네트워크를 통해 퍼지는 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카세야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먼저 감염되고 이어 다시 고객들의 컴퓨터로 피해가 번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카세야의 프레드 보콜라 최고경영자는 정보기술 시스템이 뚫린 기관들이 자사 고객 중 50~60곳 정도이며 900여 고객 기관에 랜섬웨어 탐지 도구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보콜라 최고경영자는 해커들이 자사 소프트웨어의 허점만 공격한 것이 아니라 고객들이 이 소프트웨어와 연계해서 쓰는 다른 소프트웨어의 허점도 노린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영국 보안 소프트웨어 업체 소포스그룹은 이번 랜섬웨어 공격 피해가 가장 큰 나라는 미국과 독일로 파악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피해 규모는 미국의 연휴가 끝나는 6일 이후 추가로 계속 확인될 전망이다. 보안 전문 기업 에셋(ESET)은 두나라 외에 영국, 캐나다, 멕시코, 인도네시아 등 적어도 15개국에서도 공격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피해를 가장 많이 본 기관들은 학교, 도서관 등 소규모 공공기관, 여행·레저 업종, 치과나 성형외과 병원 등 자체적으로 정보기술 관리 업무를 하지 않고 외주 업체에 업무를 맡기는 중소 기관들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특히, 이런 기관은 자신들의 서비스에 어떤 소프트웨어가 사용되고 있는지도 잘 모른다고 보안 전문가들은 말했다.
지난 2일 이번 공격을 초기에 탐지해 경고한 보안 회사 ‘헌트리스 랩스’는 해커 집단이 암호화된 자료를 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가로 최소 4만5천달러(약 5천만원) 이상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공격의 배후에는 2019년부터 활동을 하고 있는 해커 집단 ‘레빌’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 집단은 러시아와 연계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신기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