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쿼, 니그로, 레드맨 ... 인종차별 지명, 곳곳에 아직도 많아

원주민 여성 비하 지명 ‘스쿼’, 호수 · 계곡 등 799곳에 여전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종교, 사회적 회합인 파우와우(Pow-Wow) 모습.

 

미국 전역의 마을과 호수, 개울, 산 등 1000여 곳에 ‘스쿼’, ‘니그로’ 등 인종차별적인 지명이 남아있다고 현지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가 6일 내무부 산하 연방지명위원회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악시오스는 이날 보도에서 남북전쟁 당시 남부연합의 기념물을 제거하고 인종차별주의자의 이름을 딴 공공건물의 이름을 바꾸는 작업이 전국적으로 벌어지고 있지만, 곳곳에 이런 인종차별의 유산이 끈질기게 살아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자료를 보면,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을 비하하는 용어인 ‘스쿼’(Squaw)가 들어간 곳이 799곳으로 가장 많다. 미네소타에는 ‘스쿼 호수’가 있으며, 캘리포니아의 유명한 ‘스쿼 계곡 스키 리조트’는 1960년 겨울 올림픽이 열린 곳으로 지난해에야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항의로 이름이 바뀌었다.

 

또 아메리카 원주민의 피부색과 연관된 차별적 용어 ‘레드 맨’(Redman)은 82곳에, ‘레드 스킨’(Redskin)은 12곳에 남아있다.

 

흑인을 비하하는 ‘니그로’(Negro)란 말이 621곳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일리노이에 ‘빅 니그로 개울’이 있고, 버지니아에는 ‘니그로 발’이란 지명이 있다. 니그로 발은 노예가 도망가는 것을 막기 위해 발을 자른 끔찍한 사례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졌다.

 

흑인의 검은 살갗을 비아냥거리는 ‘다키’(Darkey)도 7곳에 남아있고, 흑인의 야간통행 금지를 뜻하던 ‘Ain’t No(N-words) Allowed’를 가리켰던 ‘애나’(Anna)란 말도 5곳에서 살아 있다.

 

중국계 미국인을 경멸적으로 표현한 ‘차이나맨’(Chinaman)은 29곳에서 사용하고 있다. 오리건에 ‘차이나맨 모자’란 곳이 있고, 콜로라도엔 ‘차이나맨스 협곡’이 있다.

 

멕시코인을 차별한 말도 남아있다. ‘그리저’(greaser)는 12곳에 남아있고, ‘웻백 탱크’(Wetback Tank)는 뉴멕시코 저수지의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 동부 유럽이나 남부 유럽 출신 백인들을 차별하는 용어도 남아있다. 폴란드 출신을 겨냥한 ‘폴락’(Polack)이 6곳, 이탈리아계를 가리키는 ‘데이고’(dago)도 20여곳에서 흔적을 남기고 있다.

 

정부는 과거 인종차별적 지명을 변경하려고 노력도 했다. 내무부 장관 스튜어트 유달은 1963년 지도상 모든 연방 지명에서 흑인 비하를 뜻하는 ‘N-word’를 없애도록 했다. 그는 나중에 일본인을 모욕하는 ‘잽’(Jap)이란 표현을 쓰지 말라는 지시도 내렸다.

 

미국 정부에는 사람들이 지명 변경을 제안할 수 있는 창구가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주민들은 기존 지명이 그들 집안이 몇 세대에 걸쳐 살아온 지역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킨다는 이유로 이들 지명의 본질적 의미를 외면하고 있다고 악시오스가 지적했다.

 

아메리카 원주민 권익옹호단체의 활동가 ‘크리스털 에코 호크’는 “미국은 원주민을 비인간화하고 원주민의 전통과 문화를 조롱하고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끊임없이 만들어낸 오랜 역사가 있다”며 “인종차별적 지명 변경은 시작이며 더 나아가 원주민을 보는 미국인의 시각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병수 기자

    이스라엘 12∼15세 아동·청소년 코로나19 백신 접종 개시 [A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전으로 감염 확산을 통제한 이스라엘이 마지막 남은 방역 조치인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도 해제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율리 에델스타인 이스라엘 보건부 장관은 6일(현지시간) 오는 15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지침을 해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에델스타인 장관은 이날 코로나19 치료에 투입됐던 의료진의 노고를 치하하는 행사에서 "낮은 감염률이 계속 유지됨에 따라 보건부 고위 관리들과 협의해 이런 결정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5개월 전 감염률이 최고일 때 하루 신규 확진자가 1만 명이 넘었지만, 어제는 4명뿐이었다. 또 감염이 최고조일 때 중증 환자가 1천288명까지 치솟았지만, 지금은 37명뿐"이라고 말했다.

 

에델스타인 장관은 "모든 경제활동이 재개된 상황에서 이런 성과가 나왔다는 점이 놀랍다"며 "예전에 기대할 수 없었던 상황이 현실이 되었다. 우리가 해냈다"고 덧붙였다.

다만, 보건부는 아직 백신 접종이 이뤄지지 않은 16세 미만 아동·청소년이 생활하는 학교는 실내 마스크 착용을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다.

 

보건부는 코로나19 감염 지표가 지속해서 개선되고, 이날 시작된 12∼15세 아동·청소년에 대한 백신 접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학교에서의 실내 마스크 착용도 해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변이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출입국 통제도 계속 유지된다.

 

정부의 코로나19 대유행 초기 대응 부실로 이스라엘에서는 인구(약 930만 명) 대비 누적 확진자(83만9천여 명) 비율이 9%가 넘고, 사망자도 6천400여 명에 달한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지난해 12월 19일부터 화이자-바이오 엔테크 백신을 들여와 대국민 접종을 시작했으며, 지금까지 전체 인구(약 930만 명)의 55%가 넘는 513만여 명이 2회차까지 접종을 마쳤다.

 

빠른 백신 접종의 성과로 1월 중순 한때 1만 명을 넘기도 했던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최근 10∼20명대로 줄었다. 전체 검사 수 대비 확진자 비율은 0.1% 선이다.

검사 수가 평일보다 큰 폭으로 줄어든 5일에는,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지역 감염 사례 없이 입국자 중 4건의 신규 확진 사례만 보고됐다고 보건부는 밝혔다.

5일 대규모 시위… 2024년 개교 예정

중국서 1조7천억 빚내 중 회사가 건설

 

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시민들이 중국 푸단대 분교 건립 계획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부다페스트/AP 연합뉴스

 

헝가리 수도에 중국 국립대학 분교를 세우려는 계획에 반대해, 헝가리 시민 1만명이 시위를 벌였다.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SCMP) 등의 5일 보도를 보면, 이날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에서 시민 1만여명이 모여 ‘노(No) 푸단’, ‘중국 대학 분교 설치는 반역’ 등이라고 쓴 팻말과 깃발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중국 상하이의 국립대학인 푸단대학의 분교를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에 설립하려는 것에 대한 반대다.

 

부다페스트 시장인 게르겔리 카라소니도 이날 중국 톈안먼(천안문) 사태의 이른바 ‘탱크맨’ 사진을 들고 시위에 동참했다. 1989년 6월4일 톈안먼 사태 당시 광장 한복판에서 시위대 청년 한 명이 탱크의 진입에 맞서 홀로 서 있는 장면을 담은 사진이다.

 

헝가리 정부와 중국 당국은 지난 4월 부다페스트에 푸단-헝가리 대학을 설립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중국의 고등교육기관이 해외에 분교를 설립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지 언론인 <다이렉트36>이 입수해 보도한 내용을 보면, 2024년 개교 예정인 푸단대 분교는 부다페스트를 가로지르는 다뉴브 강 동편 신시가지 쪽에 연면적 52만㎡로 조성되며 인문, 사회, 과학, 의학 등 4개 학부가 개설된다. 총 18억 달러(2조원)가 투자되고, 이 가운데 15억달러(1조6700억원)를 중국이 헝가리에 차관으로 제공한다.

 

상대국에 거대한 차관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투자하는 중국의 ‘일대일로’ 외교 방식이 재연됐다. 게다가 학교 건설은 입찰 없이, 중국 국유기업인 중젠이 맡고, 중국 건설자재와 중국인 노동자를 쓰게 되는 것도 시민들의 분노를 키웠다. 시민들은 굳이 2조원 가까운 빚을 내 중국 국립대학의 분교를 설립하는 것에 의아해하며, 이 빚이 향후 시민들에게 막대한 세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비판한다.

 

대학 조성 비용은 헝가리의 한 해 고등교육 예산을 웃도는 수준으로, 최근 수십 년 동안 헝가리 교육 분야에서 이뤄진 투자 중 최대 규모로 꼽힌다. 또 헝가리 분교가 중국의 인권탄압과 폭력 등을 정당화하는 용도로 활용될 것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카라소니 시장은 “우리는 지금 우리 독재자들과 싸우고 있다”며 “우리가 원하는 것은 대학생들의 도시이다. 우리는 5천억 포린트(약 16억달러)나 되는 시민들의 세금을 중국의 엘리트 대학 캠퍼스에 퍼붓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지난달 실시한 헝가리 퍼블릭 리서치 여론조사에서는, 이 프로젝트에 찬성하는 비율이 20%에 불과했다.

 

푸단대 분교 건립 계획은 헝가리를 통해 유럽 진출의 교두보를 만들려는 중국 당국의 요구와 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확대하려는 빅토르 오르반 총리의 생각이 맞아떨어진 결과다. 미국과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중국은 유럽을 우호 세력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투자협정 비준 등 유럽에 지속적인 화해 손길을 내밀고 있다.

 

반이민, 권위주의 정책을 앞세운 극우파 포퓰리스트 오르반 총리도 서방 세계와는 선을 그으면서 중국,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가고 있다. 헝가리는 세르비아와 함께 유럽에서 드물게 중국에 우호적인 국가다.     최현준 기자

미 플로리다서 졸업파티 총기난사…8명 사상

● WORLD 2021. 6. 7. 10:41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마이애미 도심 최근 총기난사 잇따라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에 있는 마이애미데이트칼리지 켄들캠퍼스 인근 쇼핑몰에서 6일 새벽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인근 교차로를 통제하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마이애미헤럴드/AP=연합뉴스]

 

미국 플로리다주(州)에서 6일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해 3명이 숨지고 최소 5명이 다쳤다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번 총기난사 사건은 이날 오전 2시께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 도심의 대학 캠퍼스 인근 쇼핑몰에서 발생했다.

 

피해자들은 쇼핑몰에 있는 한 식당에서 졸업을 축하하는 파티를 즐긴 뒤 식당에서 나오기 시작했을 무렵 총격을 당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마이애미데이드 경찰 알프레도 프레디 라미레스 국장은 "1대 이상의 차량이 (피해자들 앞에) 서더니 탑승자가 총을 쐈다"라고 말했다.

 

피해자들 신원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사망자 한 명은 20세 교도관으로 확인됐다.

다른 사망자는 용의차량 중 1대에서 나왔다.

 

플로리아주 마이애미지역에선 최근 총기난사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메모리얼데이(미국의 현충일)였던 지난달 31일에는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 북서부 한 연회장에서 총기난사가 벌어져 3명이 숨지고 20명이 다쳤다.

지난달 28일에는 윈우드 지역에서 총기난사로 1명이 죽고 6명이 부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