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연 등 국제 공동연구팀, 백조자리 X-1 위치·질량 정밀 측정

VLBA 망원경 측정 "지구에서 7천200광년, 질량은 태양의 21배"

 

백조자리 X-1 쌍성계 상상도: 별질량 블랙홀(오른쪽)과 청색 초거성(왼쪽)이 쌍성계를 이루며 서로 공전하고 있는 모습 [국제전파천문연구센터 제공]

 

인류가 처음으로 발견한 블랙홀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고 무거운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10개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한 미국 초장기선 간섭계(VLBA) 망원경을 이용해 백조자리 X-1 블랙홀의 정밀한 위치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1964년 처음으로 발견된 백조자리 X-1 블랙홀은 X선 선체이다.

블랙홀과 동반성인 청색 초거성(질량은 태양의 최대 100배, 광도는 태양의 최대 100만배에 이르는 높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별)이 쌍성계를 이루며 5.6일을 주기로 서로 공전하고 있다.

    백조자리 X-1의 제트 분출 이미지(오른쪽)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청색 초거성의 물질은 중력장이 강한 블랙홀로 유입되는데, 이렇게 유입된 물질이 블랙홀 주변을 빠르게 회전하면서 강력한 X선을 방출하게 된다.

연구팀은 백조자리 X-1 블랙홀에서 나오는 전파 신호를 관측하는 한편 삼각 시차 측정법을 이용해 지구로부터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백조자리 X-1의 위치와 삼각 시차 측정법 [국제전파천문연구센터 제공]

그 결과 지구에서 백조자리 X-1 블랙홀까지의 거리는 그동안 알려졌던 6천100광년보다 먼 7천200광년으로 확인됐다.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21배로,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50% 더 무겁다는 것을 알아냈다.

백조자리 X-1 블랙홀은 별의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탄생하는 '별질량 블랙홀'로, 무거운 별이 진화해 블랙홀이 되기까지의 성장 과정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인 일리아 맨델 호주 모나쉬대 교수는 "기존 가설보다 질량이 훨씬 무거운 것으로 볼 때 진화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었을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계산하면 백조자리 X-1 블랙홀은 수만 년 전 태양 질량의 60배에 달하는 별이 붕괴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태현 천문연 박사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4개 주파수 대역을 동시 관측할 수 있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이용해 후속 블랙홀인 백조자리 X-3에 대한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전날 자에 실렸다. 연합뉴스

 

경찰 사랑제일교회 압수수색: 2020년 12월1일 오전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에서 경찰이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 경찰은 지난달 명도집행 과정에서 일부 관계자들이 화염병을 동원한 일 등 불법행위를 수사하기 위해 교회 본관과 별관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서울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방역수칙을 어겨 대규모 집단감염을 일으킨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성북구 사랑제일교회·강서구 성석교회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진행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배영근 서울시 법률지원담당관은 이날 오전 온라인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의 구상권 청구 소송 경과를 설명했다.

시가 신천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의 변론 기일은 추후 지정될 예정이다. 이는 최근 형사 1심 판결이 나와 손해배상 소송의 기일이 조만간 지정될 것이라고 배 담당관은 전했다.

시가 성석교회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은 '수취인 부재'라는 이유로 소장이 계속 반송돼 아직 송달되지 않아 진행이 더딘 상태다. 시는 재판이 제대로 진행되도록 주소 보정작업을 하기로 했다.

시는 신천지예수교와 성석교회 상대로 한 소송에서 배상 청구액을 각각 2억100원으로 정했으며, 향후 손해배상 내역을 정리해 증액할 예정이다. 사랑제일교회를 상대로는 46억여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낸 상태다.

서울시가 손해배상을 청구한 3개 종교 단체 관련 집단감염의 규모는 신천지 5천214명, 사랑제일교회 1천173명, 성석교회 258명이다. 연합뉴스

15분만에 구출해 병원으로 옮겼으나 숨져

 

 이글루

 

스위스에서 눈으로 만든 집인 이글루가 무너져 아버지와 함께 놀던 7살 소년이 깔려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17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눈이 많이 내린 전날 오전 11시쯤 타라스프 지역에 사는 한 부자가 함께 만든 이글루 안에서 시간을 보내던 중 갑자기 무너진 이글루에 깔리게 됐다.

소년의 아버지는 눈 속을 빠져나와 바로 아들을 구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필사적으로 눈을 파기 시작했다. 소년은 15분 뒤에 겨우 구출돼 헬기를 타고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사망했다.

스위스 그라우뷘덴주 경찰은 어떻게 이글루가 붕괴하게 됐는지 조사하고 있는데, 모래나 눈으로 집을 지어 사람이 들어갈 때는 붕괴 위험이 있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심리적으로 큰 충격을 받은 가족들은 병원 치료를 받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럽과 미국 등 지구 북반구에는 북극의 한파가 몰아치고 폭설이 내려 쌓이면서 관련 사고들도 잇따르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눈으로 국토의 4분의 3이 뒤덮였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2014소치 동계올림픽 폐회식 후 남 선수 강제 키스

일본 주간지 "성추행 더 있다"…'깜깜이 인사' 지적도

  

모리 요시로(森喜朗·84)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회장(조직위원장)이 '여성 멸시' 발언으로 사임한 데 따른 후임 인선을 놓고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논란이 가라앉지 않을 경우 올 7월로 개막이 다가온 도쿄올림픽 개최 준비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0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18일 이사회를 열어 하시모토 세이코(橋本聖子) 올림픽담당상을 새 회장으로 선출했다.

 

조직위가 여성 각료인 하시모토를 선택한 것은 '여성이 많은 이사회는 시간이 걸린다'라고 한 모리 전 회장의 여성멸시 발언으로 실추한 이미지를 복원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그의 부적절한 과거 행동이 논란을 낳고 있다.

18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하시모토 신임 회장은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1천500m에서 3위에 올라 일본 여성으로는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메달을 딴 인물이다.

하계올림픽에도 사이클 종목으로 3차례 출전하기도 했다.

1995년 참의원 선거를 통해 정계에 처음 진출한 뒤 5선을 이뤘다.

2019년 9월 아베 내각에 입각한 뒤 작년 9월 출범한 스가 내각에서도 올림픽 담당 장관으로 계속 일해 왔다.

주간지 '슈칸분슌'(週刊文春)에는 2020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신임 회장으로 선출된 하시모토 세이코(橋本聖子) 올림픽담당상이 성희롱 상습범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슈칸분슌 2월 25일호 촬영 화면]

올림픽 관련 경험은 풍부하지만, 과거 행동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그는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당시 폐막식 후 열린 뒤풀이 행사에서 술에 취한 채 피겨스케이팅 선수인 다카하시 다이스케(高橋大輔·35)에게 무리하게 키스해 물의를 빚었다.

하시모토는 당시 일본 스케이트연맹 회장이자 선수단장이었기 때문에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사실상의 성폭력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일본 주간지 '슈칸분슌'(週刊文春)이 폭로한 이 스캔들은 AFP통신 등을 통해 전 세계로 알려졌다.

링크 법률사무소 소장인 기토 마사키(紀藤正樹) 변호사는 하시모토에 대해 "성희롱 문제가 있기 때문에 성 차별로 문제가 된 모리의 후임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트위터로 지적했다.

트위터에는 하시모토가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 회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될 단계부터 다카하시로 추정되는 인물을 끌어안고 키스하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잇따라 게시됐다.

 하시모토 세이코 2020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신임 회장이 과거에 남자 스케이트 선수에게 무리하게 키스해 성희롱했다고 지적하는 게시물이 18일 트위터에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트위터 검색 결과 캡처] 

슈칸분슌은 17일 발매된 최신호에서 "하시모토 씨의 성추행은 다카하시 한 건이 아니다"며 피해자 중 한 명인 전직 여성 의원이 하시모토는 술에 취하면 주변 사람들에게 입을 맞추는 버릇이 있다는 증언을 했다고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일각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정상 개최가 어려워진 도쿄올림픽의 부정적 이미지가 '성 차별'에서 '성 추행' 문제로 옮아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온라인 매체인 JB프레스는 18일 한 관계자를 인용해 "하시모토가 조직위 회장으로 취임하면 일본은 더 신용을 잃어 그렇지 않아도 어려워진 대회 개최가 한층 심한 암초에 걸려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는 수렁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매체는 이어 "하시모토 신임 회장의 수완은 솔직히 말해 기대할 것이 없다"면서 앞으로 대회 취소를 정식 결정하는 일과 더불어 하시모토 회장과 올림픽이 함께 망가지는 운명을 맞을 수 있다고 혹평했다.

    성차별 발언으로 위원장직에서 물러난 모리 요시로

하시모토를 회장으로 임명하는 것이 적절한지와 별개로 조직위의 인선 방식이 불투명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도쿄신문에 따르면 조직위는 후보를 하시모토 1명으로 좁혔다는 보도에 관해 침묵으로 일관했다.

인선에 관한 브리핑이나 회견도 하지 않고 후보자 검토를 위한 두 번째 회의가 17일 열렸고 18일에 세 번째 회의가 열린다는 내용만 기재된 자료를 배포했을 뿐이다.

앞서 모리는 사직하기에 앞서 자신의 측근인 가와부치 사부로(川淵三郞·만 85) 전 일본축구협회장을 후임으로 내정하려 했다가 밀실 인사라는 반발에 직면해 포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