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델비아 부모세미나에서 강의하는 송남순 교수.


빌라델비아장로교회 세미나서 송남순 교수 강연
부모세미나 ‘힐링과 변화’… “자녀는 하나님 것, 투자 아닌 헌신해야”

“자녀가 내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 ‘투자’가 아닌 ‘헌신’을 하게된다. 자녀를 위해 사랑과 인내로 헌신하라”
빌라델비아장로교회(담임 김경진 목사)가 가정의 달을 맞아 어버이 날인 5월8일 ‘부모와 자녀의 힐링과 변화’를 주제로 마련한 세미나를 인도한 송남순 교수(낙스 칼리지 기독교교육학)는 “자녀는 내 것이니 내 욕심대로 라는 생각을 버리고 하나님이 만드신 모습 그대로 살게 도와주면 행복할 것”이라고 자녀문제로 고민하는 부모들에게 조언했다.
‘어린 왕자’(생 텍쥐페리)의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 그림으로 자녀의 내면세계를 알지 못하는 부모들의 현주소를 예시하며 강의를 시작한 송 교수는 “힐링(치유)이 필요한 것은 인관관계에서의 상처와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상처의 원인으로 경쟁과 비교, 자연을 잃어버린 인공과 가공만능, 그리고 바쁜 일상의 기계적인 리듬상실의 삶에서 사람과 사람의 대면이 힘들어진 탓이라고 전한 그는 “자녀와 얼마나 대면하는지 돌아보라”고 질문을 던졌다.


송 교수는 “누구나 정도의 차이일 뿐 상처를 안고 살아가지만, 특히 아이들은 5~6세 이전 부모에게서 받은 상처가 무의식에 가장 깊이 오래 남는다”면서 “부모와 자녀는 절대권력과 절대의존자여서 부모의 무의식적인 언행이 상처를 주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송 교수는 무의식적인 상처 요인들로 자녀들에 대한 편애와 차별 및 무관심, 언어 혹은 신체적 폭력 등을 들고, “그 치유를 위해 먼저는 본인과 부모와의 관계가 자녀에게 투사된다는 사실을 깨달아, 나 자신과 부모와의 관계부터 용서와 화해의 힐링으로 해결하는 것이 자녀와의 힐링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녀를 보는 관점을 바꾸어 ‘내 것이 아닌 하나님 것’이라는 의식변화로 ‘내 욕심’을 버리고 자녀에게 주어진 생명력과 창조력을 펼쳐나가게 해야 하며, 아이들을 온전하게 자라도록 지성과 감성 못지않게 영성을 키워주어 셋이 조화를 이룰 때 건강한 자녀로 상처를 딛고 일어설 것”이라고 역설했다.


힐링이 이뤄지는 단계를 네 단계로 구분해 설명한 송 교수는 먼저 ‘반성의 단계’로 아이의 보이지 않는 상처가 무엇이며 왜 생겼는지 반성적인 질문을 많이 해보라고 권했다. 두 번째 ‘마주보기’단계에서 대면과 만남으로 아이들의 내면의 이야기를 들어주며 상처를 발견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밝힌 송 교수는 ‘사과의 단계’에서 자존심을 내려놓고 용기있고 진실되게 아이에게 용서를 구하며, 4단계는 사과 후의 ‘변화’로, 결단과 각오의 변화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아이들에게 불신을 주고 결국은 더 깊은 상처를 안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송 교수는 이어 힐링을 위한 부모의 자세와 각오에 대해 ‘탕자의 비유’에서 아버지와 탕자의 역할을 바꿔 생각해보기를 제안, ‘자녀에게서 빼앗은 게 무엇인가’‘어떻게 용서 받아야 하는가’‘큰 아들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보나’등 부모 된 우리 누구나 실수하는 문제들을 짚어보며 ‘부모로 불릴 자격도 없는 데 불리우는 게 감사하다’는 관점으로의 변화, 나아가 ‘자녀는 자녀의 삶을 살도록 하는 게 더 행복하다’는 변화를 통한 행복을 강조했다. 송 교수는 또 “자녀교육을 ‘투자와 헌신’의 개념으로 볼 때 아이가 내 것이 아닌 하나님의 것이라는 생각으로 헌신에 만족할 때 행복하다”면서 “그러기 위해 가정에 기독교적인 분위기가 필요하고, 무엇보다 사랑과 인내로 받아주며, 신뢰 가운데 기대와 꿈과 소망을 심어주면서 끊임없는 힐링의 노력과 훈련을 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부모들에게 권면했다.


< 문의: 416-444-1716 >



[기쁨과 소망] 진실된 기도

● 교회소식 2015. 5. 15. 17:13 Posted by SisaHan

예수님의 가르침 중에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기도에 관한 것이다. 제자들이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 물었을 때 주기도문을 가르쳐 주셨다 (마 6:9-15). 그래서 크리스천들은 주기도문을 기본적으로 다 외우고 있고, 종종 함께 외운다. 이 기도문을 가르쳐 주시기 전에 주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두 가지 진실된 기도자의 마음 자세를 강조하셨다.

첫째, 외식하는 자가 되지 말 것 (마6:5). 그 당시 외식하는 사람들은 회당이나 길거리 모퉁이에 서서 기도하기를 좋아했다. 기도 자체 보다는 기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 과시욕이 있었기 때문이다. 주님은 그런 기도보다는 골방에 들어가 은밀하게 드리는 ‘골방 기도’를 하라고 말씀하셨다. 주님은 여기서 진실성을 강조하셨다. 기도하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하나님 앞에서 진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타인에게 나의 기도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원하는 사람이라면 진실성이 없는 사람이다. 왜냐하면, 기도는 나와 하나님 사이에 일어나는 일이지 타인하고는 전혀 상관이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도가 나의 영성을 알리는 광고수단이 된다면 그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런 영성은 썩은 영성이고 파탄한 믿음에서 나오는 것이다. 진실성이 결여된 삶을 계속 살면, 결국 외식자가 된다. 그래서 진실된 기도자라면 반드시 ‘골방’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그 골방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믿음의 비밀’이 되는 것이다.

둘째, 중언부언하지 말 것 (마6:7). 이방인들은 말을 많이 해야 하나님께서 들으신다는 착각 속에 살았다. 그래서 한 말을 또 하고 또 하며 지속적인 반복을 했다. 그런데 주님은 무엇이라고 말씀하셨는가? 우리가 구하기도 전에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구할 바를 이미 다 알고 계시다고 하시지 않았는가? 그렇다면 우리의 접근 방법이 달라야 한다. 하나님은 귀머거리가 아니시다. 우리의 기도는 좀 더 간결해야 하고, 그 대신 하나님의 뜻을 더 깨닫기 위한 ‘듣는 시간’이 늘어나야 한다. 우리의 기도를 살펴보면 너무나 일방적일 때가 많다. ‘주시옵소서’ 하며 너무나 일방적으로 우리가 하고 싶은 말만 한다. 그러나 이제 우리가 진심으로 추구해야 할 것은 듣는 기도다. 복잡한 심경을 내려놓고, 진실된 마음으로 하나님의 뜻과 인도하심을 묻는 기도를 더 많이 드려야 한다.
 
주기도문을 살펴보면 그 간결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군더더기가 없는 아주 짧은 기도이면서 참된 기도의 정신이 무엇인지를 가르쳐 준다. 하나님의 이름과 나라에 대한 것으로 시작하고, 일용할 양식, 죄 사함의 은총, 그리고 악에서의 보호를 구하고 난 다음, 다시 하나님의 나라와 권세와 영광을 구하며 끝을 맺는다. 그러므로 기도란 내가 원하는 것을 구하기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그 뜻 안에 녹아지기 위해서 있는 것이다. 이런 마음 자세를 잘 유지한다면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진실된 기도를 드릴 수 있다.

< 송민호 목사 - 토론토 영락교회 담임목사 >



리노베이션된 집을 살 때

대체로, 지은지 30년이 넘는 주택들은 Open Concept개념이 없이 뭔가 답답하고, 시원한 느낌이 들지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집 구조를 바꾸기위해 Modern Style로 전체적인 리노베이션을 하는데, 이때 건드려선 안될 부분인 지지벽(Supporting Wall)을 허물어 버렸을 때에 당장은 느끼지 못한다해도 서서히 시간이 지나며 안전문제에 비상이 걸리게 된다. 또한 이런 집을 모르고 샀을 경우에 그 피해에 대한 보상은 누구에게서 받을 수 있는 것인가?


사례) Katherine씨 부부는 2년 전 미시사가에 있는 아름다운 주택을 구입했다. 중개인 말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15만불 이상을 들여 리노베이션을 한, 현대적 감각의 탁 트인 구조였으므로 Katherine씨 부부의 매우 흡족해 했던 구매였다 한다. 그러나 문제가 발생했다. 작년 여름부터 1층의 천장이 조금씩 경사가 지듯이, 휘어짐(Sag)이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구조물 전문가( Structural Engineer)에게 검사를 받아 본 결과, 전 주인에 의해 리빙룸과 다이닝룸 사이의 지지벽(Supporting Wall)이 제거되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임시로라도 Construction Jack을 설치하지 않는다면 안전문제로 인하여 그 집에서의 거주가 불가능한 상태였다.


충격 속에서 변호사를 찿은 Katherine 씨 부부는 전 주인에게 배상 청구는 불가능하다는 말을 듣는다. 전 주인이 일부러 감추려 했던 Hidden Defect(숨긴 결함)가 아니기 때문이란다. 결국 그의 Title Insurance Company인 Stewart Title 사에 배상을 청구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Insurance Policy(보험 약관) 에는 매우 애매한 규정이 있어 배상이 이루어 질 수 있는지는 장담할 수 없는 법정 다툼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것이었다. Insurance Policy 에 의하면, 주택 구조물 중의 일부가 Building Permit(건축허가) 이 없이 지어지거나 개조되었고, 시당국이 이를 알고 시정을 명령하였다면 보험사는 이를 배상해 주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만일 주택이 Building Code(건축법규)에 맞지 않게 지어지거나 개조되었다 하더라도 시당국이 이를 모르고 있거나 시정명령을 발동하지 않았다면 보험처리가 될 수 있을까? 하는 문제이다. (그렇다고 시당국이 사후에 시정명령을 발동하여 주지는 않는다)


2011 년도에는 서드버리 지역에서 전 주인이 Building Permit이 없이 리노베이션을 하였다가 Foundation(기초) 에 심각한 손상을 입었던 집을 $110,100 에 구매하였던 집주인에게 시당국은 집 구매 후 바로 시정명령을 발동하였고 집주인은 Title Insurance 로부터 $105,000 의 배상을 받은 일도 있다.
Katherine 씨 부부는 현재 배상청구 후 재판을 기다리고 있는 형편이지만 어떠한 낙관적인 기대도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현재 온타리오주에서는 이런 사례에 대한 확실한 배상 기준이 없이 그때 그때의 사안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이 되기 때문이란다.


결론) 1.주택 구매시 괄목할만한 리노베이션의 흔적을 찿아 볼 수 있다면 반드시 Building Permit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2. 요즘과 같은 복수 오퍼 상황에서는 건물검사의 컨디션을 가지고 집을 구매하기란 매우 어렵다. 그렇다면 위와같은 심각한 문제를 가진 집을 구매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고 항상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할 것이다.

< 김종욱 - 부동산 리얼터, Golden Ridge Realty Inc. >
문의: 416-409-9039



북, 인민무력부장 현영철 공개처형

● COREA 2015. 5. 15. 16:56 Posted by SisaHan

지난 2월 금수산궁을 참배할 때의 김정은과 현영철.


북한 군부 서열 2위인 인민무력부장 현영철이 4월30일경 비밀리에 숙청돼 공개 처형됐다고 국가정보원이 13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했다. 국정원은 현영철이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에 대한 불경·불충죄로 평양 순환구역 소재 강건 종합군관학교 사격장에서 고사총으로 총살됐다는 첩보도 입수됐다며 수백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공개 처형했다는 내용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보고했다.


현영철 숙청은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대한 불만 표출과 김정은의 지시에 수차례 불이행과 태만, 그리고 김정은이 주재한 인민군 훈련일꾼 대회에서 졸고 있는 불충스러운 모습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반역죄로 처형됐다는 첩보도 입수됐다. 지난 26일 사진에는 김 제1위원장과 그 옆에 황병서, 그 옆에 현영철이 앉아있었는데, 눈을 감고 조는 게 보인다. 현영철은 4월 27~28일 진행된 모란봉 악단 공연을 관람했으나, 30일 훈련일꾼대회 기념 촬영에는 불참했고, 이후 공개석상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김정은은 모든 간부들의 동향을 앉아있는 모습까지 모두 일일이 체크하며 핵심 간부에 대한 불신감이 심화하고 있고, 절차를 무시한 채 숙청하는 등 공포 통치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어 간부들 사이에도 내심 김정은의 지도력에대한 회의적 시각이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북한은 최근 6개월 동안 현영철 외에 국방위 설계국장 마원춘, 총 참모부 작전국장 변인선, 당 재정경리부장 한광상 등 김정은을 가까이서 보좌했던 핵심 간부들을 숙청 또는 처벌하는 등 김정은 제1위원장 집권 이후 총살한 간부가 70여명에 달한다고 국가정보원이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