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개혁장로회 신학교 캐나다분교(분교장 정관일 박사)는 2013 가을학기 종강예배를 지난 5일 낮 가든교회 소재 분교캠퍼스에서 재학생과 교수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드렸다.
장영일 교무처장(사랑의 교회 원로목사) 사회로 드린 예배는 이중재 목사(빌라델비아 장로교회)가 기도하고 박원철 목사(늘사랑교회 담임목사)가 ‘기뻐하라’(빌 4:4)는 제목으로 설교했다. 예배는 정관일 분교장(가든교회 담임목사)의 축도로 마쳤다. 내년 봄학기는 새해 1월30일 개강한다. 
동부신학교는 지난 2005년 캐나다분교 개교 이래 지금까지 6회의 졸업식을 거행, 모두 41명의 졸업생을 배출해 목회자와 전도사, 선교사 등으로 교계 각 부문에서 사역하고 있다.
 
< 문의: 416-554-7495, www.reformedpse.ca >

 

인종차별 철폐 교계와 적극 협력

● 교회소식 2013. 12. 16. 18:21 Posted by SisaHan


국가폭력 피해 치유‥ 용서와 화해로 과거사 청산
교계도 만델라 추모

95세를 일기로 소천한 남아공의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은 그의 자서전 제목처럼 ‘자유를 향한 길고도 먼 여정’을 지나 삶의 굵은 흔적을 남겼다. 세계복음연맹(WEA)과 세계교회협의회(WCC) 등 전세계 기독교계는 물론 한국교회도 그의 위대한 삶을 기리면서 무엇보다 인종분리정책 철폐를 위해 교계와 협력하며 혼신을 다 했던 일은 그의 삶에서 반드시 기억되어야 할 중요한 사역이었다고 회고했다.
 
만델라는 실제로 대통령에 취임한 뒤 첫 번째 해외 순방지로 스위스 제네바의 WCC 본부를 선택했으며, 1998년 아프리카 짐바브웨에서 열린 WCC 8차 총회 때는 총회장을 찾아 인종분리철폐를 위해 수고해준 WCC에 깊은 감사인사를 전한 뒤 총회 참석자들과 춤을 추며 기쁨을 나누기도 했다고 교계인사들이 전하고 있다.
1918년 남아공 동남부 음베조에서 마을 족장의 아들로 태어난 만델라는 백인 정권의 인종분리정책에 맞서 ‘아프리카민족회의’(ANC. 현 집권당)를 이끌며 투쟁하다 투옥돼 무려 27년 동안 옥살이를 했다. 남아공 정부는 1990년 국내외적인 저항과 국제사회의 압력에 인종분리정책를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만델라를 석방한 뒤 ANC도 합법조직으로 인정했다. WCC는 오랜세월 이 ANC에 큰 자금을 지원해 인종분리정책 철폐 운동을 지원해 왔으며, 전 세계 교회와 국제사회의 인종분리정책 철폐의 필요성을 끊임없이 호소하며 힘을 모으는 중심에 섰었다. 특히 WCC는 ANC를 지원한 일로 “공산 게릴라들에게 자금을 지원했다”는 오해를 사기도 했다는 것이다.
 
그가 이끄는 ANC는 1994년 4월 27일 실시된 선거에서 62%를 득표했으며, ANC의 지도자인 넬슨 만델라는 1994년 5월 2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일생을 백인 정부에 의해 상상하기 힘든 고난을 당했던 그였지만 대통령 취임 이후 진실과 화해위원회(TRC)를 결성하고 용서와 화해를 강조하면서 과거사를 모두 청산했다. TRC는 성공회 주교인 데스몬드 투투 주교가 참여해 활동했으며, 수많은 과거사 관련 자료들을 수집해 조사한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인종분리 시절 흑인들의 인종분리 반대투쟁에 대해 화형이나 총살 등의 잔악한 방법으로 탄압했던 가해자들이 진심으로 죄를 고백하고 뉘우치면 사면했다. 또한 피해자 가족들의 요청에 따라 피해자 무덤에 비석을 세워줌으로써, 인종분리정책이 있던 시절 국가폭력에 의한 피해자들이 역사 속에서 잊혀지는 일이 없도록 조치하기도 했다. 
이런 노력을 통해 만델라 대통령은 이른바 ‘무지개 국가’를 건설한 지도자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퇴임 이후에도 남아공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존경을 한 몸에 받아왔다.



한국의 ‘김장문화(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가 인류무형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등재됐다.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지난 5일 열린 제8차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는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세대를 거쳐 내려온 김장이 한국인들에게는 이웃간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는 한편 그들 사이에 연대감과 정체성, 소속감을 증대시켰다”면서 “김장의 등재는 비슷하게 자연재료를 창의적으로 이용하는 식습관을 가진 국내외 다양한 공동체간의 대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한국이 제출한 등재신청서가 “무형유산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영감을 주는 모범 사례(an inspirational model)”라고 극찬했다.
이로써 한국은 종묘제례·종묘제례악, 판소리, 강릉 단오제 등에 이어 총 16건에 이르는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무형유산위 의장단 회의는 한국의 김장문화를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영문 명칭에 ‘in the Republic of Korea’라는 말을 붙이기로 결정해 정확한 등재 명칭은 ‘김장, 한국에서의 김치 만들기와 나누기’가 됐다. 이번에 같이 등재된 중국의 주판이나 일본의 음식문화인 와쇼쿠(和食) 또한 ‘Chinese zhusuan’ ‘Japanese Washoku’와 같이 영문표기에서는 소속 국가를 명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