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아 슈퍼마켓(사장 민병훈)이 캐나다에서는 업계 최초로 TTC 시내버스 쉘터(Shelter)를 이용한 모바일 스토어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TTC정류장 모바일 스토어는 현재 영&핀치 1곳과 다운타운 토론토대학 도서관 앞 등 모두 2곳에 설치됐다. 갤러리아는 앞으로 효과를 보아 점차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시내버스 정류장 모바일 스토어는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읽는 것만으로 간단히 상품 주문이 가능하다. 정류장벽에 설치된 스토어광고에 소개된 상품은 모두 20여개로, 원할 경우 갤러리아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 연결돼 한국 음식을 비롯한 다른 수백 종의 상품도 주문할 수 있다고 갤러리아는 설명했다. 바쁜 직장인이나 학생 등이 버스를 기다리는 짧은 시간에도 쇼핑이 가능해 시민들의 한식 혹은 한류상품 구입이 크게 늘 것이라고 갤러리아는 덧붙였다. 
한편 갤러리아 슈퍼는 지난 10월30일 개점 10주년 기념식을 겸한 ‘무한 고객지향 경영’선포식을 가졌다. 민병훈 사장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지난 10년간 고객으로부터 받은 사랑으로 인해 지금의 갤러리아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앞으로 더욱 고객지향적 사고를 바탕으로 고객중심 경영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11월 한달 간은 파격적인 고객 사은행사를 통해 감사의 뜻을 전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발표한 ‘고객 만족 헌장’과 함께 실시에 들어간 ‘넘버원 고객 서비스 제도’는 ▲한국산 식품이 타 식품점보다 비쌀 경우 차액환불 및 500 포인트 적립, ▲구매 상품에 불만족 경우100% 교환, ▲계산 착오 발생시 재 정산 및 $5 상품권 증정, ▲ 엄선 신선한 재료 사용 및 당일생산·당일판매 원칙. ▲정기적 방사능·대장균 검사, ▲고객과 약속을 지키지 못할 경우 $5 상품권 증정 등이다.
 
< 문의: 905-532-0325 >


관리 잘못하면 염증 유발, 빠르게 번져‥ 재시술해야
치실 등 사용 양치질 꼼꼼히… 주기적 수리·점검 필수

‘제3의 치아’라 불리는 임플란트는 대중의 잇몸 속에 빠르게 파고들었다. 자연 치아와 유사할 뿐 아니라 관리가 쉽고 수명이 길어 수많은 사람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중장년층을 넘어 20∼30대 연령층에서도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환자가 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인지도에 비해 정확한 상식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우선 임플란트는 영구적인 치아가 아니다. 임플란트도 일반 치아처럼 관리하지 않으면 썩는다.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보다 잇몸병에 훨씬 취약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자연 치아의 뿌리에는 염증을 막는 조직이 촘촘히 존재하지만 임플란트에는 없다. 일단 염증이 생기면 뿌리 끝까지 빠르게 퍼지기 때문에 이때는 임플란트를 뽑고 재수술해야 한다.
임플란트를 오래 사용하려면 양치질을 잘해야 한다. 치과보철 전문가들은 “임플란트의 성공 여부는 주위 뼈의 단단함에 달려 있다. 염증은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을 때, 찌꺼기가 오래돼 치석이 될 때, 이로 인해 세균이 서식할 때 잇몸 뼈를 약하게 한다. 꼼꼼하게 양치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임플란트는 뼈 속에 들어가는 부분과 잇몸 밖으로 나오는 부분으로 나뉜다. 수명이 긴 뼈 속과 달리 잇몸 바깥의 크라운은 주기적으로 수리해야 한다.
자연 치아에 비해 임플란트는 양치질이 어렵다. 뿌리 쪽 치아 크기가 머리 쪽에 비해 작기 때문에 일반적인 칫솔로는 닿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따라서 치간 칫솔이나 치실로 꼼꼼히 이를 닦고 주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아야 한다.
 
신경이 없는 임플란트 주변 잇몸은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뼈가 녹고 있어도 불편함을 모르는 것이다. 방치하면 잇몸이 크게 상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해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치아의 맞물림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보철물이 깨지거나 심하게 마모되지 않았는지, 주변 잇몸에 염증은 없는지, 임플란트 주변 뼈가 건강한지 등을 주기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좋다. 임플란트 주변 뼈의 건강 상태는 눈으로는 식별할 수 없다. 방사선 촬영(X-ray)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
전문의들은 “임플란트는 뼈 속에 들어가는 부분과 잇몸 밖으로 나와 있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뼈 속 부분은 재료의 수명이 길어 오래 사용할 수 있지만 잇몸 바깥 부분의 크라운(이를 덮는 금속관)은 주기적으로 수리하거나 다시 제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모기지 이자율 변동

지난 칼럼에서는 캐나다 달러의 대 원화환율에 대하여 언급하였던 것으로 기억되는군요. 
약 1개월이 지난 지금 원화 강세가 이어져 환율이 금요일(11월1일) 기준 C$1당 1,020원이하로 과거 5년 기록상 최저수준에 도달하였습니다. 모국에서 송금을 받으시는 분들이나 모국에 캐나다 상품을 수출하시는 분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여건이좋아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렇게 원화강세가 이어진다면 모국으로 부터의 유학생, 여행자, 신규 이민자들의 호주머니 사정이 좋아지고 모국자금의 유입여건도 호전되어 캐나다 한인 경제에도 다소나마 숨통이 트이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한편, 지난주에 나온 중앙은행의 캐나다 경제지표에서는 캐나다의 2013년도 경제성장율이 당초 예측치 보다 0.2% 낮아진 1.6%, 2014년에는 0.4% 낮아진 2.3%로, 2015년도는 0.1% 낮아진 2.6% 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의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이자율 변동에도 영향을 미쳐 당초 예상하고 있던 2014년도 하반기 0.5% 정도 인상 시기가 상당기간 늦춰져서 2015년 하반기까지 늦춰 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택 모기지의 경우 당분간은 고정금리(5년 기준 3.4 -3.5%) 보다는 변동금리(P-0.5% 내외) 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는 군요. 모기지를 새로 얻으시거나 갱신하시는 고객분들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요즈음 동포분들의 비지니스 여건과 경제상황이 갈수록 어려워 지고 있는 것으로 들립니다. 이럴 때 일수록 대출이자라도 절약할 수 있다면 빡빡해진 살림살이에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아무쪼록 필요한 자금도 넉넉히 융자 받을 수 있고 이자율도 저렴하다면 금상첨화가 되겠지요.
 
정부의 규제에 따라 금융기관들의 융자기준이 까다로워 지고 소득증명이 어려운 자영업자나 신규이민자에 대하여는 상당한 가산금리까지 적용하는 현실에서 금융기관으로 부터 좋은 조건의 융자를 받아내기가 예전과 같이 쉽지가 않습니다. 
좋은 조건의 융자를 받기 위하여는 융자를 신청 하기 전에 좋은 조건의 융자신청서를 만들어야 하겠지요. 그것은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모기지 신청 준비를 위하여는 늦기전에 미리미리 모기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를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 진화영 - 모기지 에이전트, Atlantic(HS) Financial >
모기지 상담 및 문의: 647-688-8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