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혜경씨 증언 “미래한국연구소에 돈내...전부 공천 못 받아”

 

 
 
강혜경씨가 2024년 11월1일 서울 김포국제공항 근처 한 사무실에서 한겨레21과 인터뷰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사건 핵심인물인 명태균씨가 지방선거 공천을 미끼로 돈을 받은 사람이 검찰 조사에서 이미 드러난 3명 외에 최소 8명이 더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영선 전 국민의힘 국회의원의 회계책임자였던 강혜경씨는 13일 한겨레와의 전화 통화에서 “이미 드러난 배아무개(구속영장 청구), 이아무개(구속영장 청구), 허아무개 3명 외에도 2021년 말부터 2022년 초 사이에 최소 8명이 2022년 지방선거 공천을 부탁하며 미래한국연구소에 각각 1천만~3천만원의 돈을 냈다”고 말했다. 강혜경씨는 2022년 3월 대통령선거 때까지 명태균씨가 실소유주인 것으로 알려진 미래한국연구소의 부소장으로 근무했다.

강씨는 “미래한국연구소는 지방선거 출마자들에게 유권자 500~1천명 대상 여론조사를 해주고 300만원 정도 받았다. 그런데 이들 8명에게는 1천만~3천만원을 받았다. 여론조사를 내세워 공천 청탁금을 받은 것”이라며 “실제로 명씨가 이들의 공천을 위해 위쪽에 상당히 노력한 것으로 안다. 하지만 8명 모두 2022년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으로부터 공천을 받지 못했고, 미래한국연구소에 찾아와 돈을 돌려달라며 항의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말했다. 앞서 수사를 받고 있는 배씨 등 3명도 공천을 받지 못했다.

또 강씨는 “명씨는 이들에게 윤석열 대통령 부부를 비롯해 유력 정치인과의 친분을 과시하며, 윤 대통령 선거캠프에서 국민민생안전특별본부장을 맡았던 김영선 전 의원을 소개해줬고, 일부에게는 국민민생안전특별본부 지역간부 자리를 줬다. ‘명씨에게 청탁하면 공천을 받을 수 있겠구나’라고 믿게 만들려는 의도였다”고 말했다. 명씨는 앞서 배씨와 이씨 등에게도 이처럼 정치인들과의 친분을 과시하며 돈을 받았다고 검찰이 명씨에게 청구한 구속영장에 적시돼 있다.

명태균씨가 지난 9일 조사를 받기 위해 경남 창원지검에 출석해 차에서 내리고 있다. 최상원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예비후보 시절이던 2021년 10월20일 당시 윤석열 후보 선거캠프는 추가 인재영입을 하며 김 전 의원을 조직총괄본부 국민민생안전특별본부장에 임명했다.

이들 8명 중 지방선거 당시 경북의 한 지역 예비후보였던 박아무개씨는 대선 당시 명씨 주선으로 부산 김해공항에서 윤석열 후보를 직접 만나 명함을 주고받으며 인사한 사실이 박씨 선거캠프 관계자가 촬영한 유튜브 영상을 통해 확인됐다. 이 자리에는 윤한홍 의원 등 국민의힘 당직자도 있었다. 또 박씨는 해당 지역 국민민생안전특별본부장을 맡았고, 2022년 3월 미래한국연구소에 여론조사를 의뢰하며 수백만원을 송금한 것으로 확인됐다.

역시 이들 중 부산의 한 지역에서 지방선거 출마를 준비했던 송아무개씨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명태균씨를 잘 알지 못하고, 신뢰할 수도 없었다. 그래서 의뢰하지 않았다”며, 미래한국연구소 쪽과 접촉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공천 청탁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명씨에게 돈을 주고 공천 부탁을 한 혐의로 이미 검찰 조사를 받은 3명도 모두 국민민생안전특별본부 지역간부를 맡은 것으로 확인됐다.     < 한겨레  최상원  김영동 기자  주성미 기자 > 

언론인보호위원회, 국경없는기자회, 언론자유재단 각각 ‘언론자유 위축’ 성명 발표

 
 
▲ 국경없는기자회(RSF) 6일 나온 성명.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자 국제 언론단체인 언론인보호위원회(The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국경없는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와 미국 언론단체인 언론자유재단(Freedom of the Press Foundation) 등이 연달아 성명을 내며 언론자유 위축을 경고했다.

언론인보호위원회(CPJ)는 지난 6일 <트럼프 2기 대통령 임기 동안 언론의 자유를 확고히 지켜야 한다>(Press freedom must be staunchly defended during second Trump presidency) 성명을 냈다.

CPJ는 “오랫동안 언론인에 대해 무자비한 공격을 자행해온 도널드 트럼프가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민주주의의 핵심 축인 언론자유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언론인에 대한 위협과 거짓말은 공화당 대선 캠페인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언론자유에 대한 명백하고 직접적인 위험”이라고 했다.

국경없는기자회(RSF)도 6일 <트럼프가 언론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고 차기 행정부에선 언론 자유를 위한 새로운 페이지를 열 것을 촉구>(RSF urges Trump to cease attacks on the media and turn a new page for press freedom in his next administration) 성명을 통해 “그의 재선은 미국 저널리즘을 넘어 전 세계 언론자유에 위험한 순간을 의미한다”고 했다.

RSF는 “트럼프는 정계 입문 이후 자신에 비판적인 모든 미디어를 ‘가짜뉴스’라 불렀다. 첫 대통령 임기 동안 이 용어를 무려 2000번 사용했다”며 “2024년 대선을 앞둔 선거 유세에서도 계속 언론을 비난했다. 놀랍게도 연방통신위원회(FCC)에 특정 방송사의 면허를 취소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해리스 민주당 후보의 인터뷰 방송이 편향됐다며 미국 CBS의 면허 취소를 주장한 바 있다.

▲ 언론자유재단(FPF) 6일자 성명 갈무리.
 

언론자유재단(FPF)은 8일 <언론을 파괴하려는 트럼프의 권한을 제한하는 방법> 성명에서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 전에 조 바이든 대통령과 의회는 언론 자유를 파괴하려는 트럼프의 권한을 최대한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6일 나온 <트럼프는 언론의 자유를 파괴하려 할 것이다. 우리는 그를 가만두지 않을 것> 성명에서도 FPF는 “지난 임기 때와 마찬가지로 소셜미디어 매체를 검열하고 언론사의 편집 재량에 간섭할 가능성이 높다”며 “지역 수준에서도, 트럼프의 ‘반언론’ 레토릭은 이미 주지사부터 카운티 수준의 정치인까지 마음에 들지 않는 언론에 대한 보복에 나서게 만들었다”고 했다. 이어 “전국의 트럼프 지망생들은 언론을 괴롭힐 수 있는 더 큰 힘을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미디어연구 교육기관 포인터는 미국 저널리즘잡지 ‘마더존스’의 줄리안 맥쉐인을 인용해 “이 모든 일은 공화당원과 젊은 세대가 전국 뉴스 매체를 신뢰하는 것만큼 소셜미디어를 신뢰하는 시기에 벌어졌다”며 “트럼프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출범시키고 기성 언론 대신 우익 팟캐스트와 인터뷰했다. 이는 트럼프가 올해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 엄청난 지지율을 얻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다. 신뢰를 되찾고자 하는 미디어의 경쟁 상대는 팟캐스트와 소셜미디어뿐 아니라 트럼프 당선인”이라고 했다.              < 미디어오늘 박재령 기자 >

 

“상황 예의 주시” 신중 반응.. 미 정부 발표 하루 뒤 입장

 

 
 
러시아 국방부가 11월 7일(현지시각) 공개한 동영상에서 갈무리한 사진으로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의 러시아 군인들. AP 연합
 

미국 정부에 이어 한국 국가정보원이 13일 러시아 쿠르스크로 파병된 북한군의 전투 참여를 공식 확인했다. 다만 정부는 “상황을 예의 주시한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우크라이나전 조기 종식’을 원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정부가 ‘관망 모드’에 들어간 것이란 진단이 나온다.

 국정원은 이날 저녁 언론 공지문을 통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지난 2주간 쿠르스크 지역으로 이동에 전장 배치를 완료했고, 이미 전투에 참여 중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 공지는 미 국무부가 12일(현지시각) “러시아 동부로 파견된 1만명 이상의 북한 병사 대부분이 쿠르스크주로 이동해 러시아군과 함께 전투작전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하고 하루가 지난 뒤에 나왔다. 대통령실은 이날도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았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이날 오전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이 문제는 대한민국 혼자 움직이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국제사회와, 동맹인 미국과 충분히 협의해가며 진전시키고 대응해야 할 과제”라는 입장을 내놓았을 뿐이다.

 이는 미국 등이 북한군 파병 여부를 확인해주지 않았을 때인 지난달 18일 윤석열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곧바로 국정원이 러시아 파병 사실을 알릴 때와는 온도 차가 크다. 정부의 달라진 반응은 취임 뒤 24시간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겠다고 공약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를 의식한 결과로 보인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부가 무기 지원을 언급하며 섣부르게 앞서나갔는데,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이걸 주워담기 어렵고 난처한 상황이 됐다”며 “미국의 차기 행정부와 보조를 맞추는 데 중점을 두는, 속도 조절이나 눈치 살피기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북한군 활동 여하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 공급을 검토해 나갈 수 있다”고 했다. 북한군이 전투를 개시하면 무기 지원 가능성 검토 등 ‘다음 단계’를 밟겠다는 뜻이다. 대통령실 역시 “전투가 시작되느냐 아니냐를 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정부가 당장 행동에 나설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북한군이 본격적으로 전투에 참여했는지, 공식적으로 대규모 교전이 있었는지 등을 살펴봐야 한다”며 “아직은 그렇게 볼 상황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 한겨레 이승준  김원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