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KBO 복귀 철회 글 남겨, 향후 계획은 아직 미정

 

케이비오(KBO)리그 복귀를 추진했던 전 메이저리그 야구선수 강정호(33)가 결국 복귀 의사를 철회했다. 거세지는 비난 여론을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강정호는 자신의 SNS긴 고민 끝에 히어로즈 구단에 연락해 복귀 신청 철회 의사를 전했다29일 밝혔다. 팬 여러분들에게 용서를 구하고 팬들 앞에 다시 서기엔 제가 매우 큰 잘못을 저질렀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느꼈다제 욕심이 야구팬 여러분과 KBO리그, 히어로즈 구단 그리고 야구선수 동료들에게 짐이 됐다는 걸 너무 늦게 깨달았다고 복귀 철회의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이어 복귀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피해를 받은 모든 관계자분에게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재차 사과의 뜻을 밝혔다.

향후 계획에 대해선 결정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그는 아직 앞으로 어떤 길을 갈지는 결정하지 못했다. 어떤 길을 걷게 되든 주변을 돌아보고 가족을 챙기며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다봉사와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조금이나마 사회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하겠다. 다시 한번 죄송하고 감사드린다라며 글을 마무리했다.

강정호가 국내 복귀 의사를 철회한 배경엔, 사그라들지 않는 국내 비난 여론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강정호는 지난 23일 국내 복귀 의사를 밝힌 뒤 첫 기자회견을 열어 첫해 연봉 전액을 음주운전 피해자에게 기부하고 음주운전 캠페인에 꾸준히 참여하겠다. 은퇴할 때까지 기부하고, 비시즌에는 재능 기부를 하겠다고 반성의 뜻을 밝혔으나, 복귀 반대 여론은 더욱 거세졌다.

이 과정에서 키움 구단을 담당했던 한 스포츠 매체의 여성 기자가 과거 키움 소속 선수의 음주운전 사실을 지적하는 기사를 쓴 것에 대해 강정호 등 선수가 기자를 둘러싸고 위협했다는 내용의 칼럼을 써 논란이 되기도 했다.

강정호는 미국프로야구 피츠버그 파이리츠에서 뛰던 2016년 서울에서 음주운전 뺑소니 사고를 일으켰고, 조사 과정에서 2009년과 2011년에도 음주운전을 했던 사실이 추가로 드러나 물의를 빚었다.

그 뒤 사실상 메이저리그에서 방출 당한 강정호는 지난 5월 케이비오에 임의탈퇴 복귀 신청서를 내며 국내 복귀를 추진했다. 이 때 케이비오 상벌위가 1년 실격 처분을 내리면서 사실상 국내 복귀 가능성을 열어줬고, 솜방망이 처분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 이정국 기자 >


     


이란 테헤란주의 알리 알거시메흐르 검찰청장은 29(현지시간)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부됐다고 밝혔다.

알거시메흐르 청장은 "트럼프는 순교자 가셈 솔레이마니 장군을 살해한 혐의를 받는다"라며 "살인과 테러 조직 혐의로 트럼프와 이 범죄와 연루된 공범 30여명 대해 체포영장이 발부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인터폴에 트럼프 대통령을 '적색수배'해 달라고 공조를 공식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이란 군부의 거물인 솔레이마니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전 사령관은 올해 13일 이라크 바그다드 공항에서 미군의 무인기 폭격으로 살해됐다.

알거시메흐르 청장은 이어 "트럼프가 대통령 임기를 마친 뒤에도 그를 끝까지 추적해 체포한 뒤 기소하겠다"라고 강조했다.



 

40, 포르투갈아르헨티나까지 85일간 홀로 풍랑헤

 

지난 3월 포르투갈의 작은 섬에 체류하던 후안 마누엘 바예스테로(47)가 기댈 것은 길이가 9m도 안 되는 작은 보트밖에 없었다.

90세 생일을 앞둔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고향인 아르헨티나에 가고 싶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탓에 아르헨티나행 모든 항공편이 끊겼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28일 이처럼 난감한 상황에서 혼자 힘으로 대서양을 건너기로 결심한 바예스테로의 사연을 소개했다.

그는 아버지를 따라 배를 타기 시작한 선원이었다. 18세부터 어선을 타고 전 세계를 돌면서 경험을 쌓았고, 유럽 부자들이 소유한 요트의 항해사로 일하기도 했다.

그런 바예스테로에게도 작은 보트로 혼자 적도를 넘어 유럽에서 남미로 가는 것은 크나큰 모험이었다.

포르투갈 당국도 만류했다. 항해 도중 무슨 일이 생겨도 재입항을 허가하지 않을 테니 항해를 포기하라고 할 정도였다.

그런 경고도 그의 집념을 꺾지는 못했다.

첫 위기는 아프리카 서안 섬나라 카보베르데의 입항 거부였다.

음식과 연료를 채워야 하는 상황에서 입항 자체가 거부됐지만, 돌아갈 곳이 없어 계속 남쪽으로 나아갔다.

술을 마시기도 했지만, 매일 30분간의 라디오 뉴스와 기도로 고독한 항해를 이겨냈다. 보트 주변에 모여드는 돌고래 떼로부터 위안을 얻기도 했다.

물론 마지막 순간까지 위기는 계속됐다.

브라질 중부 비토리아에서 240떨어진 해상에선 험한 파도로 보트가 파손됐고, 브라질에서 10일간 보트를 수리해야 했다.

90세 아버지(왼쪽)와 만난 바예스테로

그가 천신만고 끝에 고향인 아르헨티나의 마르 델 플라타 항구에 도착한 것은 지난 17.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뒤 72시간 후에 가족들과 재회했다.

당초 예상보다 10일이 늘어난 85일 만에 항해를 마쳤기 때문에 아버지 생일에 참석할 수는 없었지만, 아르헨티나 '아버지의 날'621일을 부친과 함께 보낼 수 있었다.

바예스테로의 아버지는 "아들이 항해 도중 50여일간 연락이 끊겼을 때가 가장 힘들었지만, 무사히 항해를 마칠 것이라고 믿었다"고 말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10일 황해남도 신천박물관 앞에서 진행된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여맹) 간부들과 여맹원들의 대북전단 살포 항의 군중집회를 소개했다. "역적무리들을 송두리째 불태워 버리자!" "민족반역자이며 인간쓰레기인 탈북자들을 찢어죽여라" 등의 구호가 보인다.

                 

"북에 남은 가족, 한 달째 연락 두절"탈북민, 남북 긴장에 애태워

대북전단 사태로 북한 내부서도 탈북민 가족에 대한 반감 커질 듯

 

북한이 탈북민 가족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그동안 지방 보위기관에서 해오던 탈북민 가족에 대한 감시 업무를 중앙 보위기관이 직접 담당하도록 통제를 강화했다.

사실 그동안에는 탈북민 가족 관리업무를 지역의 보위기관이 담당했는데 느슨한 형태였다. 남쪽에서 송금이 이뤄지면 이 중 일부를 같은 지역에 거주해 안면이 있는 보위원에게 건네는 방식으로 감시를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제 중앙의 보위기관이 직접 업무를 관장하면서 강화된 통제가 이뤄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고위층 출신 탈북민 A씨는 "중앙기구가 총괄 관리한다는 건 지역 보위부에서만 관장했던 탈북민 가족 관리를 중앙에서 다 보고받고 엄격히 통제하겠다는 것으로 감시 통제 체계를 중앙으로부터 지역까지 세운 것"이라며 "감시 통제 강도가 엄청나게 세지고 각 지역에 중앙의 파견관이나 검열그루빠(단속반)도 항시 상주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다른 탈북민 B씨는 "함북 무산군 등 북·중 접경지역에 현재 중앙 보위기관의 '검열 그루빠'가 파견됐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감시와 통제가 강화함에 따라 탈북민이 북쪽의 가족에 대한 송금과 전화 통화 등이 사실상 차단됐다.

함경북도 출신의 탈북민 C씨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북한에 있는 가족에게 돈을 보내기로 약속했는데 한 달째 연락이 끊겨 송금하지 못하고 있다""최근 몇 년 새 이런 적이 없었는데 대북전단 사태로 경계가 심해진 것 같다"고 말했다.

탈북민의 상당수는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활·의료·교육비 등을 지원하기 위해 브로커(중개인)를 통해 북쪽으로 송금을 한다.

북한인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으로 조사 대상 탈북민 431명 가운데 61.3%(264)는 북한에 있는 가족에게 송금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대북 송금자의 1회 평균 송금액은 1618557원이었으며 연간 최고 송금액은 2300만원, 최저 송금액은 25만원으로 집계됐다.

탈북민이 브로커에게 송금하면 이중 2030%를 수수료 명목으로 떼고 북쪽의 가족에게 전달하는데, 브로커는 이 과정에서 가족이 돈을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북중접경지역에서 직접 통화를 연결해준다.

또 최근 들어 통제가 강화하면서 가족과 연락이 닿지 않는 탈북민도 크게 늘었다.

각종 집회를 통해 사회적으로 탈북민 가족에 대한 혐오 정서가 확산하면서 그동안 남쪽에서 받은 송금으로 부러움의 대상이었던 데서 감시와 신고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그동안 북한은 고향을 떠나 남쪽에 정착한 가족이 있는 주민이라도 느슨한 감시를 해서 생활에 큰 불편을 느끼지 않았다. 오히려 남쪽의 가족이 보내오는 돈으로 시장활동 등으로 다른 북한주민보다 나은 삶을 사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2014년 출판된 북한의 장편소설 '2009'에는 사실상 탈북민을 겨냥한 것으로 보이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발언도 소개됐다.

소설에서 김 위원장은 "이제 선거공시가 나가면 집을 떠났던 사람들이 다 돌아 올거요사람들이 돌아오더라도 그들이 보고없이 살길을 찾아 타향을 헤매다 그 어떤 경계선을 넘었더라도 찾아오는 인민들을 조금도 문제시하면 안되겠소. 따뜻이 맞아주고 힘을 주어 안착시켜야 합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대북전단 살포를 문제 삼으며 남북관계 단절을 공언한 이달 초부터 북한 내부에서 탈북민을 규탄하는 군중 집회가 동시다발적으로 열리면서 북한 내 탈북자 가족들의 입지를 더욱 축소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탈북민은 "북한의 가족들과 남측 탈북민, 브로커들까지 연락과 송금을 중단한 채 극도로 조심하는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