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이상 체류할 경우에 한 해14일간 의무 자가격리

          

캐나다국경관리국은(CBSA)9일부터 캐나다 시민권자 및 영주권자의 직계가족이 15일 이상 가족과 캐나다에 체류할 목적인 경우 입국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직계가족은 배우자, 부양자녀, 부양자녀의 자녀, 부모양부모, 가디언튜터 등이다. 그러나 입국시 14일 의무 자가격리를 이행해야 하며, 시민권자 및 영주권자의 직계가족이더라도 여전히 15일 이내의 단기 체류 목적은 캐나다 입국이 불가능하다.

당초 연방정부는 지난 318일 외국인의 캐나다행 항공기 탑승 규제를 할 때 캐나다 시민권자나 영주권자의 직계가족의 입국을 허용하는 등 여러 예외대상을 두어 허용을 한다고 발표 했었다.

그러나 외교부와 CBSA는 가족을 의료적으로 돌보기 위한 경우 이외 단순 상봉은 허용하지 않는다고 발표해 결과적으로 금지하는 조치가 취해졌다. 다만 미국은 금지 예외 대상으로 하고고 육로 통행만 막아 왔다.

이에 대해 미국시민권자들이 캐나다의 가족을 만나기 힘들다는 불만이 나오자 쥐스탱 트뤼도 연방총리는 미국과의 가족 상봉을 허용한다고 지난 68일 발표했고, 이어 CBSA14일 이상 체류 직계가족 상봉을 허용한다고 범위를 넓혔다.

결국 이번 가족상봉 허용도 미국인의 입국에는 관대할 지 몰라도 다른 나라의 입국자의 경우 많은 제약조건을 제시하지 않을지 우려된다. 15일 이상 체류 목적이라 해도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았고, 코로나19 증상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 등을 명시해, 입국 심사 시 이에 대한 임의적 판단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평화지도. 색깔에 따라 불안도를 표현한다.

      

호주 경제평화연구소 '세계 평화지수' 아이슬란드 13년째 1

"폭력에 따른 경제적 비용, 전세계 GDP10.6%"

 

한국이 전 세계 '평화로운 나라' 순위에서 48위를 차지해 전년보다 9계단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호주 싱크탱크인 경제평화연구소(IEP)가 발표한 '세계 평화 지수(GPI) 2020'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1.829점을 받아 163개국 중 48위에 올랐다.

GPI'진행 중인 대내외 분쟁', '사회 안전 및 안보', '군사화' 등 평화와 관련한 3개 부문에서 23개 지표를 점수화한 것으로, 총점이 1점에 가까울수록 평화로운 상태로 평가된다.

163개국 중 81개국이 전년보다 평화로워졌고, 80개국은 그렇지 못했다.

북한은 2.962점으로 151위를 차지해 1계단 하락했다.

가장 평화로운 나라로는 아이슬란드(1.078)2008년부터 1위를 지켰고, 이어 뉴질랜드, 포르투칼, 오스트리아, 덴마크가 순서대로 25위를 차지했다.

가장 평화롭지 않은 나라로는 아프가니스탄(3.644)이 지목됐고, 시리아, 이라크, 남수단, 예멘이 하위권으로 꼽혔다.

특히 전 세계에서 테러 및 내전 상황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테러 활동이 증가한 국가는 97개국, 감소한 국가는 43개국이었다.

다만 테러로 인한 사망자는 시리아 내전이 극에 달했던 2014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서 4년 연속 줄었다.

반면 군사화 부문은 2008년 이후 최고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무장 군인 비율이 감소한 국가가 113개국에 달했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군비 지출도 100개국에서 감소했다.

시민 소요 사태가 한차례 이상 발생한 국가는 96개국에 이르렀다.

특히 폭력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145천억 달러(17284조 원)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전 세계 GDP10.6%에 해당하는 것이자 인구 1인당 1909달러(227만원)를 부담한 셈이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 평화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IEP는 진단했다.

IEP는 이날 발표한 'Covid-19와 평화' 보고서에서 전염병의 대유행 이후 평화 및 경제 회복성이 높을 나라로 노르웨이, 호주, 뉴질랜드 등을 꼽았고, 그렇지 못할 나라로는 이탈리아, 그리스, 라트비아, 폴란드 등을 제시했다.

한국은 미국, 중국, 체코, 리투아니아 등과 함께 중간 수준 회복성을 보이는 나라로 꼽혔다.


국제종교자유보고서'종교자유 특별우려국' 재지정도 명시

         

미국은 10일 북한이 헌법에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실제로는 종교 활동을 가혹하게 처벌해왔으며 이런 상황은 바뀌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 국무부는 이날 발표한 '2019 국제종교자유 보고서'에서 북한 정부는 종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처형하거나 고문, 구타, 체포 등을 통해 계속 가혹하게 다뤄왔다고 밝혔다.

또 한국 비정부기구의 2013년 보고서를 인용, 북한 수용소에는 812만명의 정치범이 수용돼 있으며 일부는 종교 활동으로 인해 갇혀 있다고 말했다. 국무부는 이들이 가혹한 조건의 외딴 지역의 수용소에 구금된 것으로 추정했다.

보고서에는 지난해 11일부터 1231일까지 파악된 내용이 담겼다.

국무부는 북한 헌법이 종교 신앙의 자유를 규정하지만,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2014년 보고서는 북한 정부가 사상, 양심, 종교 및 표현의 자유를 거의 완전히 부정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고 말했다.

이어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의 인권 상황이 극도로 심각하다고 보고했다고 부연했다.

국무부는 1998년 미 의회가 제정한 국제종교자유법에 따라 매년 세계 각국의 종교자유를 평가해왔다. 이 법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악명 높은 종교적 자유 침해에 관여하거나 용인하는 국가를 종교자유 '특별우려국'으로 지정토록 한다.

국무부는 지난해 1218일 북한을 종교자유 특별우려국으로 재지정했다고 이번 보고서에서 밝혔다. 앞서 국무부는 작년 1220일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 명의로 성명을 내고 북한과 중국, 이란 등 9개국을 1218일 자로 특별우려국으로 재지정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보고서는 매년 나오는 연례보고서이지만 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에 빠지고 미국의 대북 제재는 유지되는 가운데 최근 북한이 남북간 통신 연락 채널을 단절하는 등 대남 압박에 나선 상황에서 나와 주목된다.



미 경찰 "60대 한인폭행, 노인학대 중죄증오범죄 불확실"

한인 남성 "흑인 가해자가 폭행 후 말 없이 도주" 진술

손녀 '한인 이유로 구타' 글 삭제"한흑 대결 조장 안 돼"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알토에 거주하는 60대 한인 남성이 길거리에서 흑인으로부터 불의의 폭행을 당한 사건이 발생하자, 현지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리알토 경찰은 10일 공식 보도자료를 내고 "노인 학대라는 중범죄로 이 사건을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다만 "이번 사건이 인종적 동기에 따른 것이라는 정보가 온라인에 돌고 있지만, 용의자의 (범행) 동기를 확정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인종적 동기에 따른 범죄인지를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60대 한인 폭행 사건과 관련해 미 경찰이 낸 보도자료

경찰은 앞서 이번 사건과 관련한 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의 문의에도 "60대 한인 남성이 증오 범죄를 당했는지와 사건의 구체적인 발단이 무엇인지는 아직 아무것도 확실하지 않으며 조사 중"이라고 답변했다.

경찰은 보도자료에서 이 사건이 당초 알려진 것과 달리 가해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과 관련한 인종차별적 발언을 피해자에게 한 것은 없으며 버스 안에서 구타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사건은 전날 오전 630분께 리알토 시내의 버스 정류장 앞에서 벌어졌다.

피해자인 한인 남성은 경찰에서 누군가가 자신을 뒤에서 밀쳤고, 인도와 차도 사이 경계석에 부딪혀 얼굴이 찢어지는 큰 상처를 입었다고 밝혔다.

한인 남성은 또 가해자가 자신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바로 도주했으며, 검은색 후드가 달린 상의와 흰색 바지를 입은 흑인 남성이라고 진술했다.

이번 사건은 피해를 본 할아버지의 사진을 손녀가 소셜미디어에 공유해 알려졌다.

피해자의 손녀(아이디 meadow)는 전날 트위터에 글을 올려 자신의 할아버지가 버스에서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차이나 바이러스'를 원치 않는다는 이유로" 구타당했다고 썼다.

이에 대해 리알토 경찰은 보도자료에서 "소셜미디어에 오보를 게재한 가족도 실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알게 됐다"고 밝혔다.

앞서 손녀는 이 사건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자 할아버지의 폭행 피해 글과 사진을 트위터에서 삭제했다.

대신 손녀는 "이번 일로 한인과 흑인 간 대결을 조장해선 안 된다""많은 사람이 이번 일을 아시아계와 흑인의 대결로 바꾸려 하고 있다. 제발 모두가 서로를 미워하는 것을 중단해달라"고 말했다.

손녀는 사실관계 확인을 위한 인터뷰 요청에 "더는 할아버지와 관련된 보도를 원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알려왔다.

재미교포 손녀 트위터로 실상 고발네티즌 분노·슬픔

            

최근 미국에서 흑인 사망 항의 시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에서 한인 노인이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폭행을 당하는 인종차별 사건이 벌어졌다고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가 10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재미교포인 피해자의 손녀가 트위터를 통해 자신의 할아버지가 지난 9일 버스에서 한국인이라서 폭행을 당해 크게 다쳤다는 내용을 올렸다고 전했다.

사건이 발생한 곳은 로스앤젤레스(LA)에서 멀지 않은 리알토 지역으로 이 노인을 폭행한 사람은 흑인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손녀는 트위터에 얼굴에 피멍이 든 할아버지의 사진을 올렸다.

이와 함께 "그들은 차이나 바이러스를 원치 않았다면서 내 할아버지가 한국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버스에서 구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바이러스라고 칭하고 모두 아시아인을 쫓아내기 시작했다"는 글을 올렸다.

이 트위터를 본 많은 네티즌은 댓글을 통해 이 한인 노인의 고통에 대해 분노와 슬픔을 표했다.

한 네티즌은 "트럼프 대통령은 오랫동안 존재해온 미국인의 인종 차별 감정을 성공적으로 불러일으켰다"고 비꼬았다.

다른 네티즌은 "아시아인들은 인종 차별에 맞서 싸우기 위해 단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중국 네티즌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 차별받는 아시아인들을 포함해 모두의 인종 평등을 위해 중국, 한국, 일본이 연대를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