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락교회서 다민족 집회로

동성애자들의 축제 ‘Toronto Pride’ 에 대항하는 한인을 포함한 다민족 교계 연합 24시간 연속 기도집회가 지난 6월30일 저녁부터 7월1일 오후까지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목사)에서 열렸다. 10여곳의 한인교회와 주요 선교단체는 물론 원주민교회 등 타민족 교회와 기독단체들도 릴레이 참여한 기도집회는 각자 많지 않은 인원에도 불구하고 뜨겁게 열정적인 부르짖음이 이어져 동성애 행사를 압도하는 ‘기도의 축제’로 열기가 넘쳤다.

< 사진= Ignite Toronto 제공 >

기도집회는 개회예배를 시작으로 Ian Genties 틴데일 신학교 교수의 동성애문제 강연과 David Lynn 목사(Christ’s Forgiveness Ministries)의 간증에 이어 David Lynn 목사, 토론토 전도대학 순으로 ‘동성애자들을 향해’ ‘이 땅의 청년들을 위해’ ‘교회와 교단들을 위해’ 등 10가지 기도제목을 놓고 한 시간씩 철야 합심기도를 1일 오후까지 계속했다. 기도회에는 영락교회 청년부 Ignite Toronto멤버와 찬양팀 Upstream, 새로운 교회, 시온성교회, 토론토 한인장로교회, 성산교회, 만남의 교회,함께 기도하는 치유모임, 페르시안교회, YWAM, Branches Ministry 선교회,Abundant Life Church 등 다수가 참여했다. 집회는 역대하 7장14절 “내 이름으로 일컫는 내 백성이 그들의 악한 길에서 떠나 스스로 낮추고 기도하여 내 얼굴을 찾으면 내가 하늘에서 듣고 그들의 죄를 사하고 그들의 땅을 고칠지라”는 성구를 주제로 하여 참여하는 각 교회와 단체가 약 1시간 씩 기도를 인도, 철야로 18시간여 이어졌다.

집회는 김지연 목사(토론토 커넥트교회 담임: KOSTA실행이사)가 인도하는 폐회집회로 동성애자 훈련 전문가 David Lawson 씨(Journey Canada)의 강연과 찬양, 합심기도로 마쳤다.

< 문의: 647-215-0852, 647-287-5348 >


여름이면 교회 성도님이 운영하는 식당에 가서 즐겨 먹는 음식이 있다. 물냉면인 듯한 비빔냉면, 이른 바 ‘반반면’이다. 원래 비빔냉면을 좋아 하늗 터에, 여름이다 보니 얼음가루가 된 육수를 자작하게 해서 먹는 맛이 그만이다.
‘Flexitarian’ 이라는 말이 있다. Semi-Vegetarian 이라고도 하는데, 반채식주의자라는 뜻이다. 이들은 채식을 하되 몇 가지 예외를 두는 사람들이다. 주로 채식을 하지만, 소시지와 같은 자기들이 좋아하는 고기 몇가지는 때에 따라 먹는다. 어찌보면 참 괜찮은 사람들인 것 같다. 융통성도 있어 보이고, 포용적이며 뭔가 열린 사람 같은 느낌이 들어 좋아 보인다.
이런 사람을 보고 당신, 왜 베지테리언이면서 고기를 먹느냐고 면박을 줄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게다. 모르겠다. 베지테리언 중에도 근본주의자와 같은 분들이 있다면, 이들을 향해 자유주의자라고 아니면 수정주의자라고 비난을 하고 든다면, 그럴 수는 있겠지만 음식을 가리지 않는 우리 같은 사람들에겐 허무맹랑한 소리로 들릴 게다. “고기 몇 점 잠깐 먹는 데 무슨 대수라고!” 그러고 보니 음식은 반반면도 그렇고 Flexitarian 도 괜찮은 것 같다.


그렇다면 ‘Flexiristian’ 이란 말은 어떨까? 이 말은 구글링을 해도 나오질 않으니 필자가 만든 신조어라 할 수 있는데, Semi-Christian, 반그리스도인이란 뜻으로 읽힐 수 있겠다.
Flexiristian, 반그리스도인, 어떤가? 요즘 세상에서 환대받을 수 있는 사람 아닐까?
그리스도인이라 하니 믿을 만하고, 그렇지만 꽉 막힌 사람은 아니니 경우에 따라선 불편한 거래도 가능할 것이고, 또 때에 따라선 같이 놀고 먹고 마시며 기분을 풀고 즐기기엔 딱 좋은 사람 아닌가? 세상이 좋아할 만한 타입이다. 아니 솔직히 말하면 사탄은 물론 세상이 편해할 만한 타입이다. 물론 우리 스스로도 편안해서 선호하는 타입이기도 하고.
 그런데 이를 어쩌랴!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은 음식을 먹는 것과 그 차원이 전혀 다르니.
예수는 반그리스도인을 단호하게 거부하신다.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고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고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 (마태복음 6장 24절)


이는 Flexiristian, 또는 Semi-Christian, 반쪽 그리스도인이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반반면 좋아하듯이 ‘반 그리스도인’ 정도면 좋다고, 요즘 같이 바쁘고 힘든 세상에 그 정도면 훌륭하다고 그렇게 서로 동의하고 넘어간다. 세상도 좋아한다면서. 목사인 나도 ‘열린 목사’란 말이 듣기 좋아 할 말을 다 하지못할 때도 있으니… 목사 탓이 크다.
이제라도 세상이 편해서 좋아하는 ‘플렉시리스천’이 아니라 세상이 껄끄러워 하는 ‘참크리스천’을 세워가야 할 텐데…..
훗날 하나님 앞에서 배임죄에 걸리지 않으려면 말이다.

< 김진식 목사 - 몬트리올 한인연합교회 담임목사 >


민경석 노회장(왼쪽) 인도로 기쁜소래교회 온 성도가 통합을 위한 기도를 하는 모습.

“희생·나눔·기도로 함께하는 교회”

조이플교회와 소래교회가 통합한 기쁜소래교회(담임 문은성 목사: 70 Hilda Ave., North York)가 지난 6월19일 주일 오후 2시 통합 감사예배를 드리고 ‘함께하는 하나된 교회’로 사명감당을 다짐하며 새 출발했다.
예배는 문은성 목사 인도로 안호진 목사가 대표기도하고 성가대 찬양에 이어 캐나다장로교(PCC) 한카동부노회 노회장 민경석 목사(한울교회 담임)가 ‘함께하는 교회’(행 4:32)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선포했다.


민 목사는 “교회는 부족한 사람들이 모여 만드는 하나의 공동체로, 힘들고 먼지 많이 나는 공사 중인 공사장과 같다”고 비유하고 “끝없는 공사의 완성을 위해, 즉 우리 안에서 완성을 위해 감내하며 생각을 바꾸고 어떻게 잘 이루고 마무리해 갈지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 “초대교회처럼 오직 희생과 나눔과 기도로 함께 해야하며, 그렇게 하나되어 성장하여 주님의 사명을 감당해 나가기 바란다”고 축원했다.
이어 민 목사 집례로 통합 예식이 열려 조이플과 소래교회 교인들이 차례로 연합과 포용을 서약하고 기도한 후 통합을 공식 선언, 성도 모두가 박수로 환영했다.


서성심 씨가 ‘주만 바라볼지라’축하연주를 한 뒤 임수택 목사(갈릴리장로교회 담임)는 축사와 권면에서 “이민교회들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통합을 통해 숫자적으로 뿐만 아니라 재정적으로, 또 사역적으로도 모델이 되는 교회가 되기 바란다”면서 “이제 옛 것을 잊고 모든 것을 기쁜소래교회로 받아들이면 좋은 교회로 든든히 서갈 것”이라고 조언했다. 예배는 민경석 목사의 축도로 마치고 성도들은 축하케이크를 자르며 통합의 기쁨을 나눴다.
기쁜소래교회 주일 예배는 장년이 오후 1시30분이며, 청년부는 오후3시, 영아유치부와 어린이 및 청소년부는 오후 1시30분에 드린다. 또 수요 말씀기도회는 오후 7시30분, 토요 새벽기도회는 오전 6시30분이다.


< 문의: 647-283-8734 >


세계 3대 도시 빈민이 모여 사는 필리핀의 톤도에서 있었던 이야기입니다.
한 아이가 어느 작가에게 다가와 질문을 했습니다. “작가님은 햄버거 먹어봤어요?” “응, 그럼” 아이는 부러운 눈빛으로 더 물어 봅니다. “햄버거는 어떤 맛이에요?” “궁금하니?” 아이는 정말 궁금했나 봅니다. “정말 궁금해요. 사람이 자기 전에 원하는 것을 생각하면 생각했던 것이 꿈에서 나온다고 하잖아요. 그래서 자기 전에 햄버거를 생각해 보곤 하는데… 꿈에 나오질 않아요. 사실 본 적도 없고 먹어본 적도 없으니 꿈에 나오기나 하겠어요?”
작가는 다음 날 아침 일찍 시내로 나가 아이가 넉넉히 먹을 수 있게 햄버거 3개를 사서 등교하는 아이의 가방에 몰래 넣어 두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아이는 햄버거를 먹지 않았습니다. 공책과 필기도구를 꺼내기 위해 분명 가방 안을 들여다 보았을텐 데…


아이에게 다가가 물었습니다. “혹시 가방 안에 햄버거 있는 거 발견하지 못했니?” “아니요, 알고 있어요. 하지만 햄버거를 준 분에게 고맙다고 말씀드리지도 못했는데 어떻게 그냥 먹을 수 있겠어요? 혹시 작가님이 주신 건가요?” “응, 그래… 이제 되었으니 어서 먹어. 상하기 전에” 아이는 감사하다고 말을 한 뒤, 주변을 살펴봅니다. 어쩌면 혼자 3개를 모두 먹어야 하기 때문에 주변의 친구들의 눈치를 보나보다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작가는 아이의 행동에 그런 생각을 했던 자신을 반성해야 했다고 합니다.
아이는 주변을 경계했던 것이 아니라, 친구들의 수를 헤아린 것이었습니다. 부엌에서 칼을 가져다가 햄버거 3개를 15개로 잘라 주변의 아이들을 불러 모아 함께 나눠 먹었던 것입니다. 작가는 아이의 이 행동이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물어 보았습니다. “왜 나눈 거니? 혼자 먹는 거 아니었니? 햄버거 먹는 게 소원이었잖아.” 아이의 대답에 눈물이 핑하고 돕니다. “혼자만 먹으면 혼자 행복하잖아요. 이렇게 많은 친구가 있는데, 혼자만 행복하다면 그건 진짜 행복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나눠줄 수 없다는 것은 불행이니까요. 조금만 먹어도 저는 행복해요. 우리가 모두 함께 먹었으니까요.”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건 무엇입니까? 최악의 빈민가에서 불행한 인생을 타고난 것 같지만, 이 아이는 고통 속에서 밝은 내일을 꿈꾸고 있습니다. 이 아이는 불행한 인생의 튀어나온 부분을 깎고 또 깎아 스스로 행복한 삶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결국 행복한 사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
나는 여러분 모두가 행복했으면 합니다. 모두가 웃을 수 있는 이유를 만들고, 노래하고 춤을 추는 이유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가짜가 만들어 내고, 거짓말이 만들어 내는 행복에 속지 마십시오. 진정한 기쁨과 참 자유가 예수 그리스도안에 있습니다. 복음이 여러분의 인생을 행복하게 합니다. 세상이 더욱 혼탁하고 어지럽고 무서운 세상이 되었습니다. 이때 우리 모두가 예수님 안에서 진정한 위로,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 정성남 목사 - 갈보리장로교회 담임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