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와 민족이 위태로울 때에 그리스도인들은 언제나 금식하며 기도하기 위하여 함께 모였습니다. 지금은 조국을 위하여 기도하고 우리가 살고 있는 캐나다의 평안을 구하기 위하여 기도 할 때 입니다. 왜 지금은 비상한 시기인지 오셔서 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모처럼 토론토의 모든 목회자들이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교회와 교파를 초월하여 전 성도가 함께 모여 기도하자고 마음을 모았습니다.


구국: 救國(구국)이란 나라를 구한다는 말입니다. 나라와 민족이 위기를 맞고 풍전등화처럼 위태로울 때 하나님의 사람들은 언제나 재를 덮어쓰고 무릎을 꿇고 금식하며 애통하며 가슴을 찢으며 하나님 앞에 나와 눈물로 통회자복했습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불쌍히 여기시고 자비와 사랑을 베풀어 주셨습니다.


비상: 非常(비상)이란 평범한 시기가 아니라 자다가도 깰 때가 되었다는 말 입니다 .
지금은 일상생활에 얽메어 안일하게 먹고 자고 할 때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급하게 죄에서 떠나고 하나님께로 나아와 그 분의 영광의 얼굴을 구해야 할 때입니다. 전쟁의 소문, 땅굴의 위험, 재난과 재앙의 연속, 도덕적 부패가 만연한 때입니다.


회개: 悔改(회개)한다는 것은 돌이켜서 고치는 것을 말합니다. 회심이란 회개와 믿음을 말합니다. 죄에서부터 돌이키고 떠나는 회개와 하나님을 향하는 믿음을 회복해야 합니다. 내 이름으로 일컫는 내백성들은 악한 길에서 떠나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하셨고,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 하셨습니다.


금식: 禁食(금식)한다는 것은 식욕이라는 강력한 본성을 제어하면서까지 기도에 집중하는 것 입니다. 나의 기뻐하는 금식은 흉악의 결박을 풀어준다고 하였습니다. 이런 유는 기도와 금식이 아니면 나가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위기의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시온에서, 미스바에서 모여 금식하며 하나님앞에 울며 기도했습니다.


기도: 祈禱(기도)한다는 것은 하나님을 부르는 것입니다. 환난 날에 나를 부르면 내가 너를 건지리니 네가 나를 영화롭게 하리라 하셨습니다. 기도는 겸손한 자들이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께 나아가 그 분의 도움을 청하고 그 분의 능력을 구하는 것입니다.
여호사밧이 절대절명의 민족적 위기에 기도했고, 민족이 능욕을 당하고 멸망을 당할 때에 느헤미야도 금식하며 기도하여 나라와 민족을 구했습니다.


성회: 聖會(성회)로 모이는 것은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것 입니다. 성회는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들이 모이는 모임입니다. 성회는 거룩하신 하나님의 임재가 있는 곳 입니다.


「보라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 머리에 있는 보배로운 기름이 수염 곧 아론의 수염에 흘러서 그의 옷깃까지 내림같고 헐몬의 이슬이 시온의 산들에 내림 같도다 거기서 여호와께서 복을 명령하셨나니 곧 영생이로다」(시133).
주님은 두 세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 나도 함께 있느니라 하셨습니다.
성도여 오셔서 큰 은혜 받으시기 바랍니다.

온주교협 주최「구국비상 회개 금식기도성회」
●2015년 1월 1일(목) 오후 6시~3일 오전
●장소: 큰빛교회
●준비물: 성경, 찬송, 슬리핑백, 세면도구, 보온복장, 장갑, 모자 등 (참가비 없음)


< 임현수 목사 - 큰빛교회 담임 >




리칭업 미니스트리 자원봉사팀이 초청한 크리스마스 파티에 참석한 어린이들.


아름다운 크리스마스 파티
Reaching Up Ministry 봉사자·교회들 섬김

우범지대로 알려진 토론토 제인-핀치의 80여개 다민족 거주지역에 있는 유니버시티교회(담임 김진혁 목사: 1830 Finch Ave W.)를 중심으로 어린이와 주민들을 위해 ‘Reaching Up Ministry’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과 후원교회들이 지난 12월19일 저녁 아름답고 뜻깊은 크리스마스 파티를 열었다.


2008년부터 시작된 Reaching Up Ministry는 방과 후 숙제 및 학과 공부를 도와주는 Homework Program과 음악 레슨을 하는 Music School 프로그램을 통해 가난하고 소외된 지역 어린이들과 주민들을 섬기는 사역으로, 김애령, 김혁 씨 등 6명의 피아니스트로 구성된 ‘피아르모니아’멤버들을 비롯, 다수의 한인 자원 봉사자와 많은 교회들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날 파티에는 120 여명의 어린이가 참석해 성황을 이룬 가운데 크리스마스 장식이 예쁘게 꾸며진 테이블에서 스파게티, 미트볼, 치킨, 샐러드, 빵 등 맛있는 식사와 다양한 음료가 어린이들을 즐겁게 했다. 또 페이스 페인팅과 스토리 타임, 싱 어롱 시간 등으로 웃음꽃이 피어났다. 이날 특히 밀알교회 어린이들이 준비한 뮤지컬 ‘A play in a manger’ 공연이 눈길을 모으며 마지막 곡은 유니버스티 교회 어린이들과 함께 한 합창으로 모두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어린이들은 가든 교회와 밀알 교회에서 준비한 선물을 한아름 안고 귀가, 모처럼 흥겹고 기쁜 크리스마스를 맞이 했다.


Reaching Up Ministry 자원봉사팀은 평소 음악교실 등 프로그램 외에 여름캠프와 기금모음 음악회 등 다양한 사역으로 어린이와 주민들을 돌보고 있다. 뜻을 함께 하며 자원봉사에 나설 헌신자들이 많이 필요하며 언제든 환영한다고 RUM팀은 밝혔다.


< 문의: 647-746-7380 >



지금 내 곁에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다고 너무 기뻐하거나 자만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또한 내 곁에 사람들이 아무도 없다고 너무 슬퍼하거나 힘들어하지도 않았으면 합니다.
지금 많은 사람들이 나를 인정해주고, 박수를 쳐 준다고 해서 어깨에 너무 힘주지 않았으면 합니다. 지금 많은 사람들이 나를 외면하고 있다는 이유로 너무 크게 낙심하지도 않았으면 합니다.
물론 이것 하나는 기억해야 합니다. 오늘 내 주변의 상황은 분명 이제까지의 나의 삶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라는 사실입니다.
내 곁에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다면 나는 사람들에게 그렇게 부담을 주지 않은 사람이었음이 분명합니다. 사람들이 나를 칭찬해주고, 박수를 쳐 준다면 꽤 괜찮은 삶을 살았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내 곁에 함께 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다면 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내 곁에 있는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고, 나와 함께 있는 것을 부담스러워 한다면 나는 많은 이들을 불편하게 한 사람이었음이 분명합니다.
고쳐야 할 것을 고치지 못한다면 결코 그 자리를 벗어날 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내 곁에 사람이 많거나, 적다는 사실보다, 때로 나를 좋아하거나 싫어한다는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지금 내가 서 있는 자리가 어디이며, 내가 바라보는 방향이 어디인가 하는 점입니다. 내가 선 자리가 바르지 않고, 내가 바라보는 방향이 옳은 방향이 아니라면 오늘 나를 바라보며 환호하던 그 사람들의 뒷모습을 쓸쓸히 바라보는 내일이 곧 다가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바른 분별력입니다. 대부분의 우리들은 이것을 분별해 내는데 지혜롭지 못합니다. 어떤 이는 많은 사람이 그의 주변에 모여 있고, 사람들이 좋아한다는 이유로 자신이 바른 자리에 서 있다고 착각합니다. 어떤 이들은 사람들이 그의 곁을 떠나고, 자신을 싫어하는 이유가 자신이 바른 길을 바르게 걷고 있기 때문에 부담스러워서 그렇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사실은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바른 자리에 서 있지 않아도 사람이 재미있다는 이유만으로, 때로 그에게서 무엇인가 유익을 얻을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별 부담스럽지 않다는 이유만으로 사람들은 몰려 들기도 하고, 박수를 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바른 길을 걷는 사람은 때로 불편함을 주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독선적이고, 이기적일 때, 그와 함께 있는 것이 부담스럽고 불편할 때... 우리가 어떤 사람에게서 멀어지는 이유는 대부분 그럴 때입니다.
그래서 분별력은 참 쉽지 않음을 깨닫습니다. 자신을 비하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자만하지도 않을 수 있는...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로 본다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힘듦을 깨닫습니다.
얼마전 새벽 예배에서 “예수께서 한적한 곳에 머물러 계시지만 사람들이 사방에서 그에게로 나아 왔다”(막1:45)는 말씀이 도전이 되었습니다.


한적한 곳에 있어도 사람들이 찾아 나오는 분, 예수님은 그런 분이었습니다.
광야에서 회개를 외치지만 사람들이 그 불편한 장소에서 불편한 소리를 듣기 위해 세례자 요한에게 나아왔습니다. 세례 요한은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그런 삶을 살고 싶습니다.

< 장성환 목사 - 런던 한인교회 담임목사 >



사막의 은둔 수도자 안토니를 세상에 소개했던 아타나시우스 (Athanasius, 296?~373) 는 우리가 기억해야 할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의 모델입니다.
옥석은 옥석을 알아본다고 했나요? 아타나시우스는 은둔 수도자 안토니의 깊은 영성을 한눈에 알아 보았습니다. 어찌 보면 이 둘은 전혀 다른 두 길을 가고 있는 사람이었는데 둘 사이에는 무엇인가 통한 것이 있었나 봅니다.
불교에서는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있습니다. 이판은 수도를 하는 스님을 가르키는 말이고 사판은 세상 속에서 포교를 하고 사찰의 행정을 관장하는 스님을 말합니다. 안토니는 굳이 말하자면 수도를 하는 이판격이고 아타나시우스는 포교와 교회행정을 맡은 사판격입니다. 그러니, 이 두 사람의 그리스도를 따르는 방법은 달라도 많이 다른 길이었던 것입니다.


당시 교회는 영적으로 혼돈스러웠고 신학적으로 논쟁과 싸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 모습에 환멸을 느낀 많은 크리스천들이 자신의 신앙을 지켜내기 위해 사막으로 나가 안토니 처럼 수도승이 되기도 했습니다. 반면에 세상을 등지고 사막으로 나가기 보다는 세상안에서 신앙의 정도(正道)와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투쟁적인 삶을 산 크리스천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그중 아타나시우스는 악을 직면하여 혼돈의 소용돌이 속에서 신앙의 절개와 신학의 정도를 지켜낸 사람으로 꼽습니다. 그는 30대의 젊은 나이로 당시 동방 최고의 도시였던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에 올랐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주장한다는 이유로 그후 46년간 다섯번의 파면을 당하였고 20여년 동안 은거와 도피의 생활을 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교회를 바로 세우기 위해 당하는 고난을 기쁨으로 여기며 당시 만연했던 교회내의 이단사상들과 끝까지 싸워 그리스도의 신성을 교회에 정착시켰습니다.
오늘날의 교회를 보면 진흙탕 싸움입니다. 영적으로 혼탁해 있고 신학적으로 혼돈에 빠져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에 환멸을 느낀 사람들은 너나 할 것 없이 교회에 돌을 던지며 비판을 합니다. 그리고 아예 교회를 떠나서 교회해체론을 주장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어느 누구하나 교회를 위해 기꺼이 돌을 맞는 사람은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돌을 던지는 자리에서 큰소리 높이기를 원하지 돌맞는 자리에서 묵묵히 교회를 지켜나가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아타나시우스! 그는 그 진흙탕 싸움 속에서도 신앙의 순수함과 신학의 올곧음을 지켜낸 사람입니다. 교회를 향해 날아오는 돌을 맞고 억울하게 유배를 당해도 교회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지켜낸 사람이었습니다.
은둔 수도자 안토니의 영성이 혼돈과 황량함의 시대에 사막에서 피어낸 선인장이라면, 아타나시우스의 영성은 흙탕물 속에서 아름다움을 토해낸 연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최봉규 목사 - 토론토 드림교회 담임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