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국을 방문하고 홍콩의 둘째 집에 들렸다가, 아들이 마련해준 크루즈여행으로 싱가폴, 태국, 말레이지아를 들려 다시 홍콩에서 토론토까지 15시간의 비행 끝에 약 5주간의 여행을 마무리 했다. 여행 중에 만난 여러가지 사건과 사람들을 통하여 배우고 느낀 점들이 참으로 많다. 동남아의 열기에 시달리다가 집에 돌아오니 토론토의 추위가 낯설다. 그러나 막상 토론토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토론토의 추위에 익숙해져 있다. 거기에는 추위에 비례한 난방시설이 탁월한 이유도 포함된다. 싱가폴의 더위는 상상을 초월했다. 내가 방문했을 때(11월 26,27일)는 섭씨 36도에서 38도를 기록했다. 그러나 견딜 수 있었던 것은 부자 나라답게 어딜 가나 잘되어 있는 냉방시설 때문이었다. 그러나 태국의 푸켓은 사정이 달랐다. 한국을 기준으로 본다면 제법 잘 갖추어진 관광지가 되겠지만, 캐나다를 기준으로 한다면 미흡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찌는 더위와 습도는 견디기가 힘들고, 리조트를 제외한 지역의 무질서와 불결함이 불편했다. 또 하나는 가게와 가정집들 입구에 설치된 금빛으로 치장한 불상들이다. 분명, 복을 비느라 모셔(?) 두었겠지만, 그들이 복을 받고 사는지는 의심이 들 수밖에 없었다. 물론 복을 물질에 두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하나님을 믿는 자들은 덤으로 물질의 축복까지 받아서, 세계의 갑부들이나 나라들도 모두 선진국 대열에 앞장 서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여행은 견문을 넓혀 준다. 그러나 아직도 현실과 맞지 않는 옛 풍습을 고집하거나, 미신을 믿는 사람들은 견문이 좁은 사람들이 주를 이룬다. 한국에서도 선진국 여행을 많이 한 사람들과 후진국 여행을 주로 한 사람들의 생각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자기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때문이다. 어찌 되었든지, 여러가지 복을 누리고 사는 사람들은 믿음이 좋은 사람들임을 이번 여행에서도 확인을 한 셈이다. 페이스북에서 뜻밖에도 학교 후배되는 장로님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이번 여행에서 장로님과 만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장로님은 선교에 뜻을 세우고,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일하면서 선교하겠다는 계획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계심을 직접 들을 수 있었다. 부럽고 자랑스러웠다. 그런데 이 장로님의 따님이 곧 결혼을 앞두고 있다 하신다. 사위가 의사 선생님이라는데, 이 따님 또한 변호사로서 부족함이 없지만 그래도 혼수문제가 걱정이 되셨던 모양이다. 한국실정이 실정인 만큼 예단 걱정을 하고 계셨는데, 사돈댁에서 너무나 힘든 예단을 요구하셨다는 것이다. 내용인즉 “시편 119편을 암송해 올 것”이 예단을 대신한다는 것이었다. 참으로 복받은 두 집안이 아닌가!! 장로님께서는 황당하기도 했지만 너무나 기뻐서 감정을 주체할 수 없었다고 간증하셨다. 그런 예단을 요구한 사돈네가 부럽고, 자신이 부끄러웠다는 이야기이다.


진정한 ‘복’ 이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한때, 우리나라의 기독교도 기복신앙에 치우치던 시절이 있었다. 예수 믿으면 집사고 영주권 얻는다고 선전(?)하는 가정교회 사역원 이란 곳이 바로 이런 기복신앙을 이용한 속임수 인데도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많은 이들이 ‘복’의 의미를 잘 모르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진정한 복은, 하늘에서 내려주신 행복과 평화의 복이다. 값비싼 예물로 열쇠가 몇 개씩인지가 복의 저울이 되고 부러움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말씀을 사모하며, 말씀대로 살았기에 자녀들이 축복받고 성공하여, 부모의 기쁨이 되는 것이 바로 하늘에서 내려주는 행복이 아니겠는가? 예단 대신 말씀을 암송해 오라는 신랑 집안이나, 사재를 털어 선교에 나서겠다는 집안이 서로 사돈이 되었으니, 그 자손들이 번창하고 하늘이 내려주는 신령한 복으로 가득 채워질 것은 보지 않아도 이미 아버지께서 준비하셨음을 알 수 있지 않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캐나다에서는 혼수나 예단이 없으니 다행이지만, 만약에 이런 것을 요구하거나 받기를 원하시는 가정이 있다면, 한번 생각해 보시라 권하고 싶다. 자손 대대로 복의 근원이 되는, 세상에서 가장 귀한 예단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 정훈태 - 동산교회 장로 >





감동연주로 600청중 갈채

한인 2세들로 구성된 토론토 아카데미 윈드 오케스트라(지휘 조상두 목사, 악장 전원재) 제5회 정기연주회가 12월13일(토) 저녁 7시 본 한인교회(담임 한석현 목사)에서 6백여명의 청중이 예배당을 메운 가운데 불우이웃돕기 성금 모금과 오케스트라 후원의 밤으로 성황리에 열렸다.


45명의 단원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는 이날 왈터의 ‘인스탄트 콘서트’로 연주를 시작, 조수아 양이 바흐의 무반주 첼로곡 1번, 김현재 군은 모짜르트의 바순 협주곡 3악장을 색소폰과 협연해 큰 박수를 받았다. 또 비제의 칼멘과 차이코프스키 모음곡 등엥 이어 존 레논의 ‘Hey Judy’ 등 팝 연주로 청중을 즐겁게 했다. 1부 마지막 쇼스타코비치의 심포니 5번 ‘Finale’는 특히 감동적 연주로 호평을 들었다.


2부는 크라티아 색소폰 5중주단이 모짜르트 교향곡 40번을, 해금과 오케스트라 협연으로 민요 조상두 지휘자가 편곡한 ‘도라지’연주가 국악과 오케스트라의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어 갈채를 받았다. 이어 재즈 트럼펫의 전설 루이 암스트롱의 ‘Satchmo’연주와 크리스마스 캐롤들로 성탄 분위기를 달구면서 청중의 우레같은 박수로 대미를 이뤘다.이날 후원된 성금은 오케스트라 발전기금과 토론토지역 싱글맘들을 위해 쓰여진다.


< 문의: 416-457-7541, 416-885-5757 >




12.28~31 토론토대회 후원, 도예·그림 3인 명작전

GKYM 2014, 강사진만 20여명
선교의지 불태울 은혜의 축제 예고

열흘 뒤로 다가온 2014 GKYM (Global Kingdom Young-adults Missions Festival: 세계 청년 선교축제) 토론토대회(12.28~31, Toronto Congress Centre) 후원을 위한 GKYM 드림 3인 명작전(Dream Professional)-김광수 목사(하남 밀알교회 담임) 도자기·서예작품 및 석강·박차희 그림 전시회가 12월15일부터 23일까지 더퍼린 서울관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목회자이며 서예가인 김광수 작가의 서예가 담긴 백자 및 벽걸이작품들과, 파발채 기법으로 널리 알려진 석강 박부남 화가와 부인 박차희 부부화가가 그린 작품 60여점이 전시되고 있다. 석강 화가는 이번 특별전에 대해 “말씀작가의 빛으로 쓰신 도예 및 서예 명작품과 자연을 모티브로 한 생명화가와 파발채 새 상징의 창시화가가 의욕적으로 표현한 그림들을 모은 것”이라며 “석강 30돌 맞이와 지킴후원에 즈음, 파격적으로 섬기는 전시”라고 전했다.


16일 낮 열린 리셉션에는 GKYM대회장인 임현수 목사(큰빛교회 담임목사)와 이동렬 사무총장을 비롯한 GKYM준비위 스탭들과 일반 성도 등이 참석, 전시회를 축하하고 후원하며 28일부터 열리는 GKYM이 성황리에 큰 결실을 맺으며 진행되기를 한마음으로 성원했다. 이번 전시회 수익금은 GKYM에 쓰인다.
한편 28일로 임박한 GKYM은 임현수 목사를 비롯해 송민호 토론토 영락교회·노승환 밀알교회 담임목사 등과 김용의 순회선교단 대표, 정민(Covenant Fellowship), 최 마크(In2 Church), 그리고 안찬호 (케냐) ·안강희(인도)·심 밥·심 그레이스(태국) 선교사, 정 피터 에미나타 회장, 최 스티브 I.L.Creations 대표, ‘로봇다리 희망전도사’ 김세진, 배우 정태우·김정화·유은성, 코미디언 표인봉, CCM가수 송정미 등 다양한 강사진이 메시지와 간증, 세미나, 공연 등을 인도하며 참석자들에게 선교사명을 일깨운다. 강사 가운데 비한인도 Luis Bush 4/14 Window 대표를 비롯해, Colin Harbinson(Stone Works 대표), Gary V.Nelson(Tyndale대학 총장), S.Kent Parks(Act Beyond 대표), Barry Slauenwhite(Compassion Canada 대표), Eric Samuel Timm(NOU 대표), Nigel Paul(Move In 대표),Erika Parks(Act Beyond), Allison Alley(Compassion Canada) 등 출연진이 모두 30명에 육박한다.


임현수 대회장은 “유명 강사진들로 말씀과 간증과 도전의 시간이 이어질 것”이라며 특히 “루이스 부시 같은 강사 한 분만 해도 모시기 힘든 귀한 분들인데 많은 강사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말씀을 전해 주시는 것은 지킴 참석자에게는 물론 토론토의 축복”이라고 전했다.
2세 청년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고, 전세계 미전도 종족 선교 사역자로 헌신을 결단케 하는 젊은이들의 선교운동으로 지난 2008년 나이아가라에서 2천명이 참가한 첫 집회를 가진 뒤 6년만에 캐나다에서 열리는 이번 제9회 GKYM대회는 「눈물의 씨앗」(시편 126:5~6)이라는 주제로 3박4일간 열린다.


< 문의: 647-969-7729, 647-828-0515 GKYM.Toronto@gmail.com, www.gkym.org >



[평신도 글마당] 기독교인과 술

● 교회소식 2014. 12. 16. 20:27 Posted by SisaHan

2014년 올해도 연말이 다가 왔다. 연말이 되면 각종 모임이 이루어 진다. 모임마다 회식이 있는데 회식에는 음료수로 술이 함께 한다. 그리스도인들의 모임에는 술이 없으나 믿는 자와 불신자들과 함께하는 모임에는 대부분 술과 함께 회식을 하게 된다. 회식 술에는 포도주 아니면 맥주 또는 소주가 대부분이고 특별히 순도가 높은 위스키를 종종 마시는 경우도 있다. 술 마시는 격식도 국가마다 다르다. 우리나라 경우는 서로 술을 부어주며 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미주의 대부분 국가에서는 본인이 알아서 자기가 마실 수 있는 술의 양을 잔에 부어 마신다. 이를 사람들은 술의 문화라고 부른다. 술이 나오는 회식에서 술을 멀리해야 할 그리스도인들에게는 거절 하기가 매우 쑥스럽다.


본인이 매번 겪는 경우지만, 처음 뵙는 분께 거절은 때로 당황스럽다. 왜냐하면 그분의 반응이 걱정이 되기 때문이다. 저는 술을 못 마신다고 하면 남자가 술도 못 마시는 좀팽이라 할 것이고 체질에 안 맞는다고 하면 한잔 정도는 괜찮다고 권한다. 계속 거부하면 성의를 무시 하는 것으로 여긴다. 또한 술 먹는 자기는 죄인과 같고 술 안마시는 당신은 선인이라고 곡해하기 쉬워 거리감을 갖게도 한다. 교인답게 저는 교회 나가는 교인입니다 하고 거절하면 바로 역으로 다음과 같은 반응의 공격을 받는다. 예수님도 포도주를 마셨을 뿐 아니라 물로 술을 만드셔서 마시게끔 하신 분이며 지금까지도 포주로 성만찬식 하고 계시지 않느냐 하고 직격탄이 날아 온다. 예수님을 믿는다면 예수님을 닮아가야 하므로 예수님이 가나 혼인찬치에서 술을 만드시기도 마시기도 하셨으니 이것도 순종해야 할 것이 아닌가 하는 말이다. 성경말씀을 좀 아는 분의 질문이다. 맞는 말이다.


예수님께서는 이 세상에 오셔서 공 생애를 시작한지 사흘째 되던 날 갈릴리 가나 혼례장에서 있었던 첫 표적으로 물로 포도주를 만드시고 혼례장의 손님들에게 마시게 하셨다. 이로 인해 그의 영광을 나타내심으로써 제자들이 그를 믿으니라(요2:1-12참조)라고 성경은 말하고 있다. 또예수님은 포도주를 마셨음을 시인하셨다(마26:29). 가나 혼인찬치에서 술을 만드신 것은 육신의 어머니의 부탁으로 이루어졌으며 유대민족의 음식문화가 절대적인 율법주의로써 술로 문제가 야기가 되지 않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리라는 것을 아시고 만드신 것이다. 이러한 기적은 제자들로 하여금 믿음을 갖게 한 것이 첫째 목적이었다. 만일 예수님께서 만드신 술로 인해 불상사가 발생하였다면 예수님에 대한 불평과 불신으로 매우 어려워졌을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회식에서 술 권함을 받을 때 상대방에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다음과 같이 거절하는 것이 매우 좋다. 「하나님께서 먹으라고 주신 보리와 포도로 만든 음료수인데 마시고 싶으나 인간이기에 예수님과 같은 절제가 없으므로 술을 마시기 시작하면 계속 먹게 되고 주량도 늘어나 언제고 술로 인한 문제가 생기게 되면 이는 교인으로써 있을 수 없어 술을 멀리하고 있으니 죄송하다」고 말하는 것이 정답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이 술을 멀리 해야 할 이유는 술은 마실수록 회수가 늘어나고 독한 술을 찾게 되어 정신과 마음을 흐리게 하여 모든 감각을 마비상태로 이어간다. 따라서 술로 인해 음욕과 탐심 그리고 불만에 대한 반항 등 폭력의 싸움이 일어나기도 한다. 특히 우리 음주문화는 술을 많이 마실수록 호걸이라 부르는 관습도 있고, 또한 술의 유혹으로 술이 술을 마신다. 결국 음주운전을 하고 의사가 만취 상태에서 환자를 수술하는 등의 불상사도 발생한다. 자신의 파멸은 물론 상대방 가정까지 파멸을 초래 하는 등 사회악의 큰 문제가 된다. 또한 술에 중독되면 폐인 또는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러하니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이렇게 되어 간다면 자기 신앙은 물론 하나님의 말씀을 증거할 수가 있겠는가? 반드시 술을 멀리해야만 할 것이다. 예수님께서 술잔을 드시고 축도 하시면서 이는 나의 피, 내 언약이라고 말씀하셨다. 즉 십자가상에서 흘리신 보혈의 피로 죄 사함 받고 구원받는 확실한 언약의 피이므로 항상 마음속 깊이 간직하고 묵상해야만 할 것이다. 이것이 그리스도인들이 마시는 술이니라.
“또 잔을 가지사 감사 기도 하시고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마 26:27-28).

< 이승고 - 토론토 영락교회 장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