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윤도현 밴드, 토론토 공연

● 스포츠 연예 2017. 6. 13. 19:13 Posted by SisaHan

9월16일 소니센터서 ‘YB 콘서트’

국내외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윤도현 밴드가 오는 9월16일(토) 토론토를 방문, 다운타운 소니센터(Sony Centre for the Arts: 1 Front St E, M5E 1B2)에서 오후 7시부터 ‘YB콘서트’를 개최한다.


윤도현 콘서트를 주최하는 공연기획사 Bcube Entertainment는 “윤도현 밴드는 미국, 유럽 등 각지에서 수차례 해외투어를 다니며 인기리에 공연을 했으나 캐나다에서는 최초의 공연”이라며 “모든 한인 동포들의 기대 이상으로 지금껏 토론토를 방문한 한국가수 중 가장 큰 규모로 최고수준의 공연을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소니센터는 캐나다 내에서는 가장 좋은 시설과 3000명 이상의 관객을 수용하는 최고의 공연장”이라고 덧붙였다.


< 문의: 416-888-7912 >


리우 패럴림픽도 해낸다

● 스포츠 연예 2016. 8. 30. 19:43 Posted by SisaHan

2016 리우데자네이루 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에 출전하는 한국선수단 선발대가 23일 미국 애틀랜타로 출국했다. 선수단은 미국에서 일주일간 전지훈련을 한 뒤 31일 브라질 리우에 입성한다.

한국은 이번 패럴림픽에 139명(선수 81명, 임원 58명)의 선수단을 파견한다. 리우패럴림픽은 9월7일부터 12일간 열린다. 아래 사진은 리우 올림픽에서 8위를 차지한 한국선수단이 24일 귀국, 인천공항에서 가진 해단식 모습이다.


메달 순위는 경제력과 비례

● 스포츠 연예 2016. 8. 23. 19:43 Posted by SisaHan

올림픽 최다 메달 보유자인 미국 마이클 펠프스.

경제규모, 인구 기본변수로 한 금융기업·컨설팅사 예상 적중
2016년 GDP 순위와도 비슷해


냉전시대 올림픽은 체제 경쟁의 장이었다. 한때 남한과 북한 역시 체제 우위를 과시하기 위해 운동선수를 집중적으로 양성했고, 미국과 소련, 동독과 서독도 치열하게 메달 경쟁을 벌였다. 1980 모스크바올림픽과 1984 로스앤젤레스올림픽은 각각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이 집단적으로 불참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체제 경쟁이 사라진 자리에는 자본의 논리만이 남았다. 올림픽은 상업주의와 스포츠 마케팅, 각국의 경제력을 과시하는 장으로 변모했다. 이제 올림픽을 앞두고 각국의 메달 전망을 경제학자들이 하는 시대가 왔다. 그리고 놀랍게도 경제학자들의 메달 예측은 꽤 들어맞는다.

영국 <가디언>은 2016 리우올림픽 개막 직전인 지난 6일 글로벌 금융기업 골드만삭스와 세계 최대 컨설팅 업체 피더블유시(PwC)의 경제학자들이 예측한 메달 전망을 보도했다. 이들의 예측에서 구체적인 메달 수와 순위는 다소 틀렸지만, 큰 틀에서는 벗어나지 않았다. 특히 메달 집계 10위권 국가들이 어디인지는 정확히 예측했다. 이번 대회에서 영국이 2위를 차지한 것이 다소 이변으로 받아들여졌지만, 골드만삭스는 영국이 중국에 이어 3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크게 틀리지 않은 셈이다. 특히 골드만삭스는 러시아, 독일, 일본, 프랑스 차례로 4~7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정확히 예측했고 8~10위도 순서가 다소 틀렸을 뿐 한국과 이탈리아, 오스트레일리아(호주)가 포함될 것이란 점은 정확히 맞혔다.

경제학자들은 어떻게 메달을 정확히 예측했을까. 피더블유시의 수석경제학자 존 혹스워스는 “메달은 경제력의 거울이나 다름없다”고 <가디언>을 통해 말했다. 이들 경제학자는 경제 규모와 인구를 기본 변수로 두고, 개최국 효과나 각국의 특성 등도 두루 반영해 예측했다. 예를 들어 이슬람교도가 많은 국가에는 여성 운동선수가 거의 없는 점을 고려하는 식이다.

꼭 경제학자가 아니더라도, 각국의 경제력으로 메달 전망을 하기가 어렵지 않다. 일례로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산한 2016년 국가총생산(GDP) 순위와 올림픽 메달 순위도 상당 부분 겹친다. 특히 국가총생산 15위 이내의 국가 중에서 메달 15위 이내에 들어가지 못한 국가는 인도와 캐나다, 멕시코뿐이다. 인도와 멕시코는 경제력에 비해 인구가 많고, 캐나다는 경제력에 비해 인구가 적다.

올림픽 메달이 경제력의 영향을 크게 받다 보니, 경제력에 비해 선전한 국가들이 조명을 받기도 한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21일 대만, 그레나다, 자메이카 등을 대표적인 저비용 고효율 국가로 꼽았다. 리우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한 대만은 국가총생산 1000억파운드(약 150조원)당 메달을 272.9개 얻은 셈이다. 인구가 적은 섬나라 그레나다와 자메이카도 각각 1000억파운드당 메달을 102.2개, 78.5개 딴 셈이다.

개최국 효과도 여전히 강력하다. 영국은 2012 런던올림픽을 위해 선수 육성에 힘쓴 결과가 2016 리우올림픽에서도 효과를 발휘했다. 2020 도쿄올림픽을 앞둔 일본 역시 마찬가지다. 특히 일본은 단거리 육상인 400m 남자 계주에서 자메이카에 이어 은메달을 목에 걸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
<윤형중 기자>



올해로 제5회 째를 맞은 토론토 한국영화제(Toronto Korean Film Festival: TKFF)의 유일 경쟁 프로그램인 ‘한국단편 경쟁’(Korean Shorts Competition) 부문에서 본선 진출작 7편이 선정돼 발표됐다.
TKFF는 올해 한국 단편 경쟁부문 공모에 지난 해 150편 보다 70편이나 많은 220편이 출품돼 그중 7편을 본선진출작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7편은 두 편의 캐나다 프리미어와 한 편의 월드 프리미어, 네 편의 북미 프리미어로, 이 작품들이 심사위원 선정 최고 작품상(Best Korean Short Award)과 관객이 선정하는 관객상(TKFF Audience Choice Award)을 두고 경쟁을 펼친다.


선정된 7편은 ‘우주의 닭’(변성빈.드라마, 캐나다 프리미어), ‘봉준호를 찾아서’(정하림, 다큐멘터리, 북미 프리미어), ‘여름의 끝’(임초예, 드라마, 북미 프리미어), ‘허장미 사망사건의 전말’(김민지, 코미디·드라마, 월드 프리미어), ‘생선구이 다리집’(김봉주, 코미디·드라마, 북미 프리미어), ‘먹이’(김보영, 애니메이션, 캐나다 프리미어), ‘아귀’(송우진, 드라마, 북미 프리미어) 등이다.
한편 TKFF의 장편 상영작은 5월20일 열릴 공식 기자회견에서 발표된다. 토론토 한국영화제는 6월17일부터 24일까지 Inis Town Hall 에서 개최되며, 개막식은 Toronto Centre for the Arts에서 열린다.


< 문의: 647-995-1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