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로우데일 다니엘 리, 뉴마켓-오로라 해롤드 김 후보 모두 패배

연방하원 한인 통로 다시 막혀.. 한인정치인 육성 지원 관심절실

 

 

9.20 연방총선에서 한인 후보들이 모두 고배를 마셔 험난한 중앙정계 진출의 벽을 다시 실감케 했다.

 

지난 2019 총선에서 153표 차이로 신승해 첫 한인 하원의원의 꿈을 이뤘던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포트무디-코퀴틀람 선거구의 보수당 넬리 신(신윤주)후보는 신민주당(NDP) 당선자에게 2천여표 차이로 패해 2위에 그쳤다.

 

대부분 자유-보수당 후보간의 양자대결 구도를 보인 다른 선거구과 달리 자유당과 보수당에 NDP 후보까지 3파전의 호각지세로 치러진 넬리 신 후보의 지역구는 NDP의 Zarrillo 후보가 37.0%(17,521표)를 획득해 당선됐고, 넬리 신 후보가 32.0%(15,425표), 그리고 자유당 Will Davis 후보는 27.0%(12,958표)를 얻었다.

 

넬리 신 후보의 낙선으로 연방의회의 한인 하원의원은 다시 제로가 되며 다음 기회로 넘어가게 됐고, 한인사회의 중앙정치 통로역할은 상원의 연아 마틴(김연아) 의원이 또 도맡게 됐다.

한편 온타리오에서 토론토 지역은 거센 자유당 바람에 보수당으로 나온 한인후보들도 모두 낙선했다.

 

윌로우데일 선거구에 재출마한 보수당 다니엘 리(이기석) 후보는 경쟁 자유당 후보에 17%포인트, 5천여표 차이로 완패했다. 선거전 초반 접전세를 보이다 후번으로 갈수록 하락세를 보였던 다니엘 리 후보는 34%(13,174표)를 얻는데 그쳐 자유당 현역의원인 알리 에사시(Ali Ehsassi) 후보 51%(19,588표)에 예상보다 큰 표차로 고배를 마셨다.

 

박빙대결이 예상됐던 뉴마켓-오로라 선거구의 해롤드 김(김종수) 보수당 후보는 4%포인트 2천4백여표 차이로 졌다. 해롤드 김 후보는 39%(19,843표)를 얻은 반면 상대후보 자유당 Van Bynen 후보는 43%(22,282표)를 획득해 당선됐다.

 

한인 하원의원 배출에 실패한 이번 선거결과에 대해 한인사회에서는 실망을 감추지 못하면서 한인동포들이 선거 때만 잠시 캐나다 정치에 관심을 보이는 태도를 벗어나 좀 더 정치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참정권을 적극 행사하는 한편 일상에서 정치신인들을 발굴해 육성하고 지원하는데 동포사회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인 자선단체 도울 ‘한카 자선재단’ 출범

● 한인사회 2021. 9. 21. 02:42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자선단체 재정적 지원, 단체 운영에 대한 조언도"

 

    자선재단 이사진, 왼쪽부터 이광형 사장, 장영 회계사, 김정희 회장

 

자선단체에 금융지원을 통해 운영개선과 활동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 ‘한카 자선재단’(Korean Canadian Charity Foundation)이 설립됐다고 관계자들이 밝혔다.

 

지난 7월 등록을 마치고 출범한 한카 자선재단은 장영 공인회계사와 김정희 토론토 한인회장, 이광형 미시사가 한국식품 사장 등 3명이 공동창립자로, 장 회계사가 이사장이며 김 회장과 이 사장은 부이사장을 맡았다고 전했다. 아울러 앞으로 10만 달러 이상을 기부할 경우 재단의 이사진으로 참가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이 재단은 연방정부에 등록된 자선단체를 도와 재정적 지원을 하고 단체 운영에 대한 조언도 할 예정이며, 기금 수여 단체는 지원 후보(단체)들의 사회기여 계획과 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 및 선정된다고 덧붙였다.

 

재단 관계자는 “앞으로 활성화되면 여러 한인 자선단체들의 개선에도 큰 도움이 될 것”라고 기대감을 전하고 “타민족들에 비해 늦은 감이 있지만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말했다. 장영 이사장도 “재단의 활동은 캐나다 주류사회 내 한인들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우선 내실과 신용을 쌓아나갈 것”이라고 밝히고 한인사회의 관심과 지원을 부탁했다. < 문의: 905-602-9003 >

10월5일은 한인커뮤니티 정신건강 실태조사 발표회... 역시 온라인 개최

 

홍푹정신건강협회는 오는 9월25일(토) 오전 10시30분부터 12시까지 ‘정서적으로 건강한 자녀교육’ 주제의 무료 한국어 부모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 강사는 소아청소년 정신과 민소윤 전문의가 맡아 진행한다. 민 강사는 맥매스터 대학 소아청소년 정신과 의사이며 맥매스터 어린이 병원의 소아청소년 정신과 상담의사로 일하고 있다.

 

세미나 참석을 원할 경우 이메일(skang@hongfook.ca)로 사전 등록을 해야 하며 온라인 미팅 ID는 세미나에 앞서 등록자들에게 알려준다.

한편 홍푹협회는 한인 커뮤니티 정신건강 실태조사 발표회를 10월5일(화) 오후 4시부터 5시30분까지 역시 온라인으로 갖는다. 발표 주제는 ‘GTA내 한인 정신건강 조사 결과에 대한 패널 토론과 한인 리소스 안내책자 소개’로, 한국어로 진행한다. 참석 희망자는 사전 등록하면 온라인 링크 주소를 전해준다. 참가 등록과 자세한 안내는 강소연 Mental Health Worker에게 문의하면 된다. < 문의: 437-333-9376, skang@hongfook.ca >

‘Untact 시대!~' 주제로.. 지난 7월부터 9월11일까지

150여명 참가...출석률 높은 교사들에 참가상도 수여

 

캐나다 한국학교 연합회(회장 신옥연)가 제11차 2021 학술대회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지난 7월3일부터 9월11일까지 두 달간 10여명의 강사와 함께 ‘Untact 시대!, 지속적 전진을 향한 한글학교 교육방향’이라는 주제로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캐나다 전역의 한글학교 교사와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두 달 동안 매 주말마다 총 16회의 강의를 비대면으로 진행, 모두 150여명이 참가했고 강의마다 40명~60명이 참여하는 열의를 보였다. 캐나다 동부지역은 오후 9시부터 자정, 서부지역은 오후 6시부터 9시까지 강의가 이뤄졌다.

 

교사들의 한국 문화유산 및 문화 다양성 시대 관련 지식과 긍지를 높이고 교수역량을 강화하며,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필요한 적응능력을 기르는 데 주안을 둔 이번 학술대회는 ‘지구적 시민으로서 한글학교 교사역할’(송경재 상지대 교수),‘단어통장으로 성장하는 우리 아이들’(김택수 인천발산초교),‘한국어 사용과 창의적 사고’(박인기 경인교대 명예교수) 등 20개에 가까운 소제(小題)를 정해 현장 교사 등 전문 강사들이 강의했다.

캐나다 한국학교연합회는 캐나다의 일부 소외된 지역 한글학교 교사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한편, 배움의 열정으로 출석률이 높은 교사들에게는 참가상을 전달해 격려했다. 한국학교 연합회는 연합회가 마련한 학술대회에 참여한 교사들의 배움의 열정은 한국어학교가 교민사회에서 더욱 굳건히 자리매김하고 발전하는데 큰 에너지가 된다.”면서 배움의 씨앗이 교사에서 학부모로 아이들에게로 잘 전달되고 흡수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재외동포재단의 재정후원과 캐나다 한국대사관과 총영사관, 캐나다 한국교육원 등이 후원했다.

 

한편 캐나다 온타리오 한국학교 협회는 연중 다양한 행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 한글 교실, 나의 꿈 에세이 발표 대회(109)를 비롯해 차오름 청소년 역사문화 캠프(925), 독도 지킴 프로젝트 발표 및 김창남 경희대 교수의 독도 강연 등도 계획하고 있다. < 문의: 416-385-0244,caks@koreanschools.org, https://koreanschools.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