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선거 투표율 79.5% 역대 최고치, 캐나다는 세계평균 보다 높아

 

제21대 대통령선거 재외투표가 전세계 평균 79.5%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캐나다의 경우 전체 평균 83%, 토론토 지역은 약 82%의 투표율로 전세계 투표율보다 더 높은 참여열기를 보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재외투표에서 추정 재외선거권자 197만4천375명 중 25만8천254명이 명부에 등재, 20만5천268명이 투표에 참여했다고 26일 밝혔다.

 

대륙별 투표자 수는 아주 10만2천644명, 미주 5만6천779명, 유럽 3만7천470명, 중동 5천902명, 아프리카 2천473명이다.

 

이번 투표율은 지난 2012년 재외투표가 처음 도입된 뒤 치러진 대선과 총선 중 가장 높다.

대선의 경우 18대 71.1%, 19대 75.3%, 20대 71.6%의 투표율을 보였다. 총선은 지난해 62.8%로 역대 총선 중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한 바 있다.

 

캐나다는 전체 유권자 1만5천423명 중 1만2천804명이 투표, 83.02%의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토론토 선관위 관내는 총 6천214명의 유권자 가운데 5천66명이 투표애 참여, 81.53%를 기록했다. 이 역시 역대 최고의 투표율이다.  토론토는 20일부터 25일까지 엿새간 투표소를 운영한 총영사관 투표소가 3천731명, 21일~23일 사흘간 운영한 토론토 한인회관 추가 투표소는 1천33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그밖에 오타와대사관 투표소는 747명중 457명이 투표해 61.18%로 비교적 낮았으나, 몬트리올 총영사관 선관위 관내는 1천148명 중 993명이 참여해 86.50%의 투표율로 캐나다에서 가장 높았다. 밴쿠버총영사관 선관위 관내는 7천314명 중 6천288명이 투표해 역시 85.97%의 높은 투표율을 나타냈다.

 

토론토 총영사관 선거관리위원회는 투표함을 봉인해 투표가 끝난지 하룻만인 26일 피어슨 공항에 이송, 외교행랑을 통해 27일 낮 출발한 대한항공 KE-74편으로 서울에 보냈다.    

 

이번 재외투표는 전 세계 118국 223개 투표소에서 현지 시간으로 20∼25일 치러졌다.

 

재외투표지는 외교행낭을 통해 세계 각지에서 국내로 이송된다.

인천공항에 도착한 투표함은 국회 교섭단체(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가 추천한 참관인 입회 아래 투표 봉투를 확인한 뒤 등기우편으로 관할 구·시·군 선관위로 보낸다.

 

투표 봉투는 내달 3일 투표일에 국내 투표와 함께 개표된다. 다만 천재지변, 전쟁 등 부득이한 사유로 국내로 투표지를 보낼 방법이 없을 때는 공관에서 직접 개표할 수 있다.

 

재외투표를 하지 않고 귀국한 재외선거인은 선거일까지 주소지 관할 구·시·군 선관위에 신고하면 투표할 수 있다.  < 문의: 416-920-3809 >

군인권센터·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참여연대, 윤석열 재판부에 제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월8일 오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돼 지지자들을 바라보며 걸어가고 있다. 김영원 기자 
 

 

시민 3만6천여명이 법원에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재구속을 촉구했다.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여전하다는 이유다.

 

군인권센터·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참여연대는 26일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에 대한 사건을 심리하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에 윤 전 대통령의 재구속 절차 진행에 관한 의견서와 시민 서명을 제출했다. 이들은 재판부에 낸 의견서에서 “전직 대통령으로서 국정 전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권력자의 중대한 범죄에 더욱더 엄정한 잣대로 책임을 묻는 공판이 진행돼야 한다”며 “피고인 윤석열에 대한 구속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참여연대가 지난 14일부터 25일까지 진행한 ‘윤석열 즉각 재구속과 내란 재판 전면 공개’ 촉구 온라인 서명에는 3만6330명이 참여했다.

 

참여연대, 군인권센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이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 동관 앞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촉구 의견서 제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앞서 지귀연 재판장이 지난 3월7일 윤 전 대통령 쪽의 구속 취소 신청을 인용했고, 검찰이 즉시항고를 포기하면서 윤 전 대통령은 3월8일 석방됐다. 윤 전 대통령은 풀려난 지 80일째인 이날도 불구속 상태로 재판 받았다. 이지현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동관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내란 수괴가 재판부의 ”어처구니없는 구속 취소 결정으로 제약없이 거리를 활보하는 걸 지켜보는 국민 심정은 참담하다”며 “내란 재판이 진행되는 중에도 부정선거 음모론을 차용해 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인물을 재판부가 지켜만 보는 걸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윤 전 대통령이 파면 이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 증거인멸을 할 위험이 크다며 윤 전 대통령 재구속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상희 민변 내란 진상규명·재발방지 티에프(TF) 단장은 “(윤 전 대통령이) 타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로 정치적 영향력을 여전히 가지는 이상, 각종 수단을 통해 불리한 진술을 하게 할 위험이 있다”며 “수사·기소되지 않은 관계자들의 진술을 왜곡시켜 실체적 진실을 방해할 우려도 커 증거인멸 염려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구속을 제한하는 형사소송법 제208조는 법원이 직접 구속하는 경우엔 적용되지 않는다”며 “지귀연 재판부는 윤석열의 신병을 확보할 권한과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내란 사건 재판부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사건 재판 일부를 비공개로 진행하는 등 잦은 비공개 재판을 남발하는 점도 비판했다. 방혜린 군인권센터 팀장은 “공무상 비밀 관련 조항을 근거로 이 재판부에서만 6차례 재판 비공개 결정이 이뤄졌다”며 “구속 취소부터 반복된 비공개 결정까지 계속해 국민 신뢰를 저버린 지귀연 재판부가 스스로 12·3 내란 사건 재판 전체를 회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 한겨레 임재희  최현수 기자 >

극우추적단 카운터스, 지난해 강연 영상 공개

 
 
2020년 2월2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문재인 탄핵 국민대회’ 무대에 함께 오른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 유튜브 너만몰라 티브이(TV) 갈무리

 

아스팔트 극우 세력을 이끄는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지난해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의 모든 철학과 사상에 자신이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한 영상이 공개됐다.

 

극우추적단 카운터스는 25일 엑스(X·옛 트위터)와 유튜브 채널에 전 목사가 2024년 9월2일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한 강연 영상 일부를 공개했다. 당시는 김 후보가 윤석열 정부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임명돼 임기를 막 시작한 때였다.

 

영상을 보면, 전 목사는 김 후보와 언제 어떻게 관계를 맺기 시작한 건지 소상히 설명한다. 김 후보와 전 목사가 처음으로 만난 것은 김 후보의 두 번째 경기지사 임기(2010~2014년) 중이었다고 한다. 전 목사는 “김문수를 대통령으로 만들라”는 기도를 받고, 김 후보를 직접 찾아가 30분 정도 대화를 나눴다고 주장했다. 다만 전 목사가 “더 큰 일 하고 싶으면 나하고 일주일에 한 번씩 만나자”고 제안했으나, 김 후보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특별한 관계도 맺지 않았다고 한다.

 

김 후보가 전 목사와 밀접해지기 시작한 건 경기지사직에서 퇴임한 뒤부터였다고 전 목사는 설명했다. 김 후보가 사랑제일교회를 먼저 찾아왔다는 것이다. 전 목사는 “(김 후보가) 우리 교회를 2년 다녔다. 2년 동안 예배를 마치며 점심 먹으면서 계속 이런저런 얘기를 했다”며 “내가 광화문 운동 시작하니까 김문수 지사님이 딱 내 옆에 섰다. 서 가지고 내가 연설하는 걸 모두 외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문수 지사님의 모든 철학과 사상의 절반은 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전 목사의 주장과 관련해 김 후보는 2019년 한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전 목사와 손을 잡은 이유는 뭔가’라는 질문에 “전 목사 덕택에 성령을 많이 접했다. 경기지사 할 때 전 목사가 도지사실로 찾아와 나에게 대통령 하라고 권유했다. 그 이후 별로 교류가 없었는데 나라가 워낙 어려워지면서 가까워지게 됐다. 김정은이 때려잡고 문재인 끌어내리려는 사람이 있으면 누구와도 함께하려고 한다”고 답한 바 있다.

 

이후 김 후보와 전 목사는 태극기 집회에 함께 섰고, 2020년엔 함께 극우 정당인 자유통일당을 창당했다. 김 후보는 당시 초대 당대표로 추대된 바 있다. 김 후보는 같은 해 전 목사가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지지’를 호소하며 사전 선거운동을 한 혐의로 구속되자, 그의 석방을 요구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영상에서 전 목사는 김 후보가 자신과의 관계를 부인하지 않는 점을 추어올리기도 했다. 그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의 이름을 거론하면서 “실업자일 때는 광화문 와서 연설 한번 시켜달라고 떠들더니, 정권 교체를 하고 지금 와서는 전부 전광훈을 모른다고 한다. 사기꾼 같은 놈들”이라며 “딱 나에 대해서 부인하지 않은 사람이 김문수 하나”라고 말했다.

 

다만, 김 후보는 현재는 전 목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고, 최근에 만난 적도 없다는 입장이다. < 한겨레 심우삼 기자 >

 

경찰 특수단,  포렌식 진행 수사 개시

작년 3월 이후 내란 혐의 관련 기록 복구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과 국가수사본부. 권도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등과 비화폰으로 통화한 기록 등이 12·3 불법계엄 사태 직후인 지난해 12월6일 원격으로 삭제된 정황이 확인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이 날은 국회의원 체포 지시를 거부했던 홍 전 차장이 경질됐다는 보도가 나온 당일이었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2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사에서 열린 정례 기자회견에서 “대통령경호처가 관리하는 비화폰 서버 기록을 분석하던 중 윤 전 대통령과 홍 전 차장, 김 전 서울경찰청장의 사용자 정보가 원격으로 삭제된 정황을 확인해 증거인멸 혐의에 대한 수사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비화폰의 사용자 기록이 삭제된 날은 지난해 12월6일이라고 한다. 이 날은 홍 전 차장이 당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을 체포하라는 윤 전 대통령의 지시를 거절해 경질됐다는 게 알려진 날이다.

 

특수단 관계자는 “아직 누가 어떻게 삭제한 것인지는 수사 중”이라며 “비화폰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은 제한적이고 경호처에서 삭제한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 내용을 포렌식 중이다”라고 말했다.

 

경찰은 지난 22일 경호처의 비화폰 서버 기록을 임의 제출 받아 분석 작업을 벌이고 있다. 비화폰 서버 기록은 이틀마다 자동으로 삭제되는데,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방해와 관련한 특수공무집행 방해 혐의에 대해 12·3 불법계엄 당일부터 지난 1월22일까지의 기록을 복구했다.

 

이와 별개로 지난해 3월 이후 내란 혐의와 관련된 비화폰 서버 기록 또한 복구해 확보했다고 경찰은 밝혔다. 당시는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이 경호처장 공관에 모여 불법 계엄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진 시기다.

 

경찰은 현재 윤 전 대통령 체포를 방해한 경호처 관계자의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및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 국무위원에 대한 내란 혐의에 대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나 김 전 장관, 여 전 사령관 등 이미 기소돼 내란 혐의로 진행 중인 재판에 비화폰 서버 기록을 증거로 사용하려면 재판부가 직권으로 이 기록을 확보해야 한다. <경향 전현진 기자 >

 

한덕수·이상민 내란 가담 혐의로 경찰 조사…국무회의 진술 CCTV와 달라

 
 
                 서울 서대문구 국가수사본부의 모습.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경찰이 12·3 내란사태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26일 오전 10시부터 불러 조사 중이다. 대통령 경호처로부터 제출받은 대통령실 폐회로텔레비전(CCTV) 분석 결과 이들의 진술과 배치되는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12·3 내란사태를 수사 중인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 관계자는 이날 정례 기자 간담회에서 “확보한 대통령실 폐회로텔레비전을 분석해보니 국무회의와 관련해 한 전 총리와 이 전 장관의 출석 조사 시의 진술과 다른 부분이 확인됐다”며 “둘 다 오늘 오전 10시부터 출석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한 전 총리과 이 전 장관은 내란 혐의 피의자로 입건되어 있다.

 

경찰 특수단은 대통령 경호처와 협의 끝에 비상계엄 선포 당일 저녁 6시께부터 이튿날까지의 대통령실 폐회로텔레비전 영상을 확보한 상태다. 확보된 영상은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가 열렸던 대접견실과 대통령 집무실 등이다. 앞서 경찰은 지난해 12월부터 3차례에 걸쳐 경호처에 폐회로텔레비전 보전 요청을 한 바 있다.   < 한겨레 이지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