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습 8일째…네타냐후 "전력 다해 공격 계속"

가자 구조대원 "14년 일하는 동안 이런 지경 처음"

 

17일 새벽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불타는 가자지구의 건물들 [AFP=연합뉴스]

 

이스라엘이 17일(현지시간) 새벽부터 전투기를 대거 동원해 가자지구에 대한 공습을 8일째 이어갔다.

AP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은 이날 새벽 가자지구 전역에서 10분여간 강도 높은 폭격을 이어갔다.

전날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인 42명이 숨지고 건물 세 채가 완파된 공습보다 이날 새벽 더 오래 폭격이 이어졌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앞서 공습 7일째인 16일에는 가자지구에서 하루 기준으로 최소 42명이 숨져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지난 10일 무력 충돌을 시작한 이래 가장 많은 사망자가 나왔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2014년 전쟁 이후 가자지구에서는 이번 공습으로 최악의 피해를 보고 있다고 현지인들은 전했다.

 

가자지구의 응급구조대원 사미르 알-카티브는 AP통신 인터뷰에서 "14년을 일하는 동안 이런 수준으로 파괴된 것은 보지 못했다"면서 "2014년 전쟁 당시에도 이렇진 않았다"고 말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TV 담화에서 공격이 "전력을 다해 계속될 것"이라면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의 이슬람 무장정파 하마스에 대해 "비싼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스라엘로부터 연일 맹폭을 받고 있는 하마스도 이스라엘의 민간인 거주 지역에 로켓을 퍼부었다.

이스라엘 구조당국에 따르면 하마스가 발사한 로켓 한 발이 이스라엘 남부 아슈켈론의 한 시나고그(유대교회당)에 떨어졌으나 사상자 수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이스라엘 유대교 회당 구조물 붕괴…2명 사망·160여명 부상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서안에 있는 한 유대교 회당에서 16일(현지 시간) 종교행사 도중 조립식 철골 구조물이 붕괴해 최소 2명이 숨지고 160여 명이 부상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사고는 이날 예루살렘 북서쪽 기바트 지브 이스라엘 정착촌에서 오순절 기도회 도중 발생했다.

행사장 한쪽에 설치된 가파른 계단형태의 철제 구조물 상단부가 일시에 무너지면서 이곳에 앉았던 사람들이 아래쪽으로 추락했고, 이 충격으로 중간에 있던 사람들이 순식간에 아래쪽으로 쓸려 내려갔다.

 

이스라엘 유교회당 붕괴 사고 현장. 무너져 내린 철제 좌석이 어지럽게 널려 있다.[로이터=연합뉴스]

 

구조대와 병원 관계자 등에 따르면 지금까지 최소 2명이 목숨을 잃었고, 160여 명이 부상했다.

부상자 가운데 8명은 위중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당에는 약 650명의 신자가 모여있었다.

 

사고가 난 회당은 아직 완공되지 않은 상태로 공사가 진행 중이었으며 안전 문제에 대한 사전 경고에도 불구하고 회당에서 행사가 강행됐다고 경찰은 밝혔다.

 

자치단체 측은 경찰에 행사 진행을 막아달라고 요청했으나 경찰 측이 책임을 회피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달 29일에는 이스라엘 북부 메론산에서 유대교 전통 축제 '라그바오메르' 행사후 압사 사고가 발생해 45명이 사망한 바 있다.

목격자 "머리 위로 휘발유 붓고 불 질러"…시인들 잇따라 참변

 

괴한이 머리에 휘발유를 끼얹어 불을 붙여 숨지게 한 시인세인 윈.[SNS 캡처]

 

쿠데타로 집권한 군부 정권 반대 활동을 해온 미얀마의 한 시인이 몸에 휘발유가 부어진 채 산채로 불태워졌다고 현지 매체가 전했다.

16일 미얀마 나우에 따르면 사가잉 지역 몽유와에서 지난 14일 오후 시인인 세인 윈(60)이 끔찍한 죽임을 당했다.

 

윈의 친구이자 목격자인 따잉 아웅은 매체에 "14일 오전 내 집에서 윈과 함께 얘기를 나누고 있는데, 누군가가 갑자기 오더니 휘발유를 그의 머리 위에 붓고 불을 질렀다"고 말했다.

"나는 소리를 지르고 윈의 몸에 붙은 불을 끄려고 했다"고 덧붙였다.

윈은 즉시 몽유와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온몸에 심한 화상을 입어 그날 밤 오후 11시께 숨졌다고 그는 덧붙였다.

 

윈은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세운 민주주의 민족동맹(NLD)의 오랜 지지자였으며, 1998년 민주화운동 당시부터 정치권에서 활동해왔다고 매체는 전했다.

그는 지난 2월 쿠데타 이후에는 몽유와에서 반군부 거리 시위에 참여했다. 그러면서 젊은 시위 지도자들과도 관계가 밀접했다고 미얀마 나우는 설명했다.

윈은 자선단체에서 일했고, 시를 쓰는 것도 좋아해 여러 잡지에 그의 시가 실리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건의 동기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범죄를 저지른 이는 아웅 코로 신원이 밝혀졌지만, 전날까지 경찰에 잡히지 않은 상태다.

몽유와의 한 동료 시인은 미얀마 나우에 "이번 사건의 동기가 사적인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협회(AAPP)는 일일 보고서에서 "이런 잔혹 행위들은 군부에 반대하는 이들에 더 적대적으로 되고 있는 군사정권 테리리스트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자행되고 있다"며 군부가 배후인 범행으로 단정했다.

 

쿠데타 이후 대도시가 아님에도 반군부 거리시위가 꾸준히 이어진 몽유와에서는 쿠데타 이후 최소 9명의 시민이 군부의 폭력에 의해 사망했다.

이 중 시인인 크 자 윈과 찌 린 아이가 지난 3월 거리시위 도중 총격에 희생됐으며, 몽유와에서 활동하며 작품을 통해 반 쿠데타 운동을 벌이던 시인 켓 띠도 최근 군경에 끌려가 신문을 받다가 장기가 사라진 채 주검으로 되돌아왔다.

켓 띠는 "그들은 우리의 머리를 쏘지만, 혁명은 우리 심장에 살아있음을 모른다"는 등의 시로 반군부 저항 의지를 북돋웠다.

미국 버지니아 알링턴의 한 주민이 13일 차량에 직접 주유하고 있다. 미국 송유관이 지난주 사이버 공격으로 가동 중단되면서 미국 동부 지역에서 일부 석유 부족 사태를 빚었다.

 

사이버 공격을 받아 송유관 가동을 중단했던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해커들에게 500만달러(약 56억5천만원)를 냈다고 13일 <블룸버그>와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보도 내용을 보면,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은 랜섬웨어(컴퓨터를 마비시킨 뒤 돈을 요구하는 해킹 수법)의 공격을 받은 지 몇시간 뒤 추적이 어려운 암호화폐로 지불했다. 해커들은 돈을 받은 뒤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진 컴퓨터 네트워크를 복구할 수 있도록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에 암호해독 키를 제공했다. 그러나 암호해독 키의 작동이 느려, 실제 복구는 자체 백업 시스템을 이용해 이뤄졌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은 이런 보도 내용에 대해 논평을 거부했다.

 

백악관 사이버·신기술 국가안보 부보좌관 앤 뉴버거는 “연방수사국(FBI)이 과거 랜섬웨어 피해자들에게 비슷한 범죄를 부추길 수 있다는 이유로 몸값을 지불하지 말라고 경고한 바 있다”면서도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민간기업이기 때문에 몸값 지급은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알아서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미국 연방수사국은 이번 사이버 공격의 주범으로 해커 집단 ‘다크사이드’를 지목했다. 이와 관련해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정부가 이번 사이버 공격과 연루돼 있다고 보진 않지만 “이들 범죄자가 러시아에 살고 있다고 믿을 만한 강력한 근거가 있다”고 말했다.

 

송유 작업은 13일부터 재개됐지만, 노스캐롤라이나 등 미국 동부 지역의 기름 부족 사태가 완전히 해소되기까지는 며칠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은 텍사스주 멕시코만에서 동부 뉴저지주까지 총연장 8850㎞에 이르는 송유관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지난 7일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자 송유관 가동을 중단했다. 박병수 기자

미국 송유관 업체 이어.. 아일랜드 의료 전산 시스템 공격

당국 “범죄집단, 돈 노려”…코로나 백신 접종은 차질 없어

 

 

아일랜드가 의료 전산시스템에 심각한 랜섬웨어(컴퓨터를 마비시킨 뒤 돈을 요구하는 해킹 수법) 공격을 받고 시스템 운영을 중단했다. 미국 송유관운영 업체에 대한 랜섬웨어 공격 등 해커들의 공격이 이어지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14일(현지시각) 아일랜드 보건서비스(HSE)가 랜섬웨어 공격에 따른 추가 피해를 막고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산 운영을 중단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폴 라이드 보건서비스 대표는 “매우 복잡한 공격으로 핵심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전국적, 지역적 시스템에 영향을 주고 있다”며 “범인들에게서 별다른 요구는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더블린의 로툰다 여성병원 등은 이날 임신 36주 이상이거나 응급인 경우를 제외하곤 모든 외래 예약을 취소했다. 로툰다 병원 대표는 이번 공격으로 의료 기록을 다루는 컴퓨터 시스템이 중단됐고, 생명유지 장치 등은 잘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도 차질 없이 진행된다.

 

아일랜드 정부는 이번 사건을 돈을 노린 해커들의 소행으로 보고 있다. 아일랜드 공공조달 담당 오시안 스미스 장관은 “이것은 국제적 공격이지만 그저 돈을 바라는 사이버 범죄 집단의 소행”이라며 “아일랜드에서 가장 중대한 사이버 범죄 공격일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지난 7일 텍사스주 멕시코만에서 동부 뉴저지주까지 총 8850㎞에 이르는 송유관을 운영하는 기업인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송유관 가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이 업체는 공격의 주범인 해커집단 ‘다크사이드’에 5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지불한 뒤 컴퓨터 시스템을 복구하는 암호해독 키를 받았다. 최현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