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음담패설 수렁‥ 힐러리 승기

● WORLD 2016. 10. 18. 18:50 Posted by SisaHan

눈을 감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앞에서 자신있게 발언하는 클린턴 힐러리 후보.

10%p안팎 격차… NYT, 당선확률 12% vs 88%

미국 대선이 한 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민주당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이 공화당 대선주자 도널드 트럼프에 10%포인트 안팎의 지지율 우위를 보였다.
클린턴이 ‘음담패설 녹음파일’의 직격탄을 맞은 트럼프를 상대로 승기를 굳혀 가는 모양새지만 위기를 느낀 일부 공화당원들의 결집 현상에 트럼프의 반격 분위기도 감지된다.
11일 미국의 비영리단체 공공종교연구소(PRRI)와 애틀랜틱의 공동 여론조사(10월5∼9일·1천327명) 결과에 따르면 클린턴은 49%의 지지를 얻어 38%에 그친 트럼프를 11%포인트 앞섰다.


두 사람의 지지율은 9월 말(22∼25일) 조사 때 43%로 똑같았으나 직후 조사(9월 28∼10월 2일)에서 47%대 41%대로 6%포인트로 벌어진 뒤 이번에 격차가 더 커졌다. 이는 저속한 표현으로 유부녀 유혹 경험을 자랑한 ‘음담패설 녹음파일’ 폭로 후 트럼프 지지층이 이탈하고 부동층이 클린턴 쪽으로 이동한 데 따른 현상으로 보인다.실제 여성 유권자의 지지율은 클린턴이 61%를 기록한 반면 트럼프는 28%에 머물렀다. 다만 남성에서는 트럼프가 48%로, 37%의 클린턴에 11%포인트 앞섰다.
클린턴의 전체적인 지지율 상승세는 다른 매체와 기관의 조사에서도 비슷하다.
매일 당선 가능성을 업데이트하는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클린턴과 트럼프의 당선확률을 각각 88%, 12%로 예상했다. 선거 데이터 분석 전문 ‘파이브서티에잇’과 프린스턴대학의 ‘프린스턴 선거 컨소시엄’도 클린턴의 당선 가능성을 각각 84%, 97%로 제시했다.


삼성의 치욕… 갤 노트7, 70일만에 단종

● WORLD 2016. 10. 18. 18:40 Posted by SisaHan

화려한 등장 엊그제… 줄이은 배터리 발화 치명상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이 화려한 데뷔 후70일만에 단종되는 비운을 맞으며 삼성에 치명상을 안겼다.
삼성전자는 11일 한국거래소의 조회공시에서 갤럭시노트7의 생산 중단을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생산 중단은 단종을 공식 의미한다.
갤럭시노트7의 데뷔는 화려했다. 8월 2일 미국 뉴욕에서 최초로 공개돼 언론과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끌며 예약판매를 거쳐 8월 19일 한국과 미국 등에 시판됐다. 삼성전자가 제조한 스마트폰중 디자인과 성능에서 최고라는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발매 직후부터 한국과 미국 등에서 배터리 발화 사례가 잇따르면서 먹구름이 드리웠다. 삼성전자는 일단 생산을 중단하고 9월 2일 자체 리콜을 발표했으며, 9월 15일에는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연방정부기구인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의 공식 리콜이 발령됐다.
삼성전자는 문제의 원인이 배터리 결함이라고 보고 9월 하순부터 새로운 배터리를 쓴 새 갤럭시노트7의 판매를 재개했다. 그러나 9월 말과 10월 초에 새 기기들에서도 국내외 발화 사례가 계속 보고되면서 소비자 불안이 고조됐다.
결국 지난 주말을 고비로 안전 문제를 우려한 미국 등의 이동통신사들과 베스트바이 등 판매점들이 일제히 등을 돌리며 ‘선제적으로’ 판매·교환 중단을 선언함에 따라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을 더 이상 판매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또 이미 리콜을 한 차례 한 후 안전하다고 공언하며 공급했던 새 기기에서도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삼성전자가 “세번째는 안전할 것”이라고 각국 규제 당국을 설득해 판매를 재개하는 것도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 됐다. 조기에 단종이라는 뼈아픈 결정을 내릴 수 밖에 없었던 배경이다.
제품이 아예 단종됨에 따라 수거된 갤럭시노트7을 중고폰인 ‘리퍼비시 폰’으로 파는 것도 불가능한 것으로 관측된다. 따라서 리콜 전후에 만들어져 세계 시장에 풀린 380만 대 가량은 모두 폐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갤럭시노트7에 포함된 희귀 금속 등 일부 재료는 용융 등 과정을 거쳐 재사용될 수 있다.


트럼프-힐러리 새벽 트윗전

● WORLD 2016. 10. 11. 18:11 Posted by SisaHan

1차 TV토론 뒤 관중에게 인사하는 민주당 힐러리 후보와 공화당 트럼프 후보.

96 미스유니버스 혹평에 “이 사람 어떤 종류 인간?”

미스 유니버스를 ‘돼지’, ‘가정부’로 비하한 과거 발언으로 수세에 몰린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심야에 분풀이라도 하듯 ‘폭풍 트윗’을 쏟아냈다. 트럼프는 특히 논란의 당사자인 1996년 미스 유니버스 알리시아 마샤도(40)의 섹스비디오 존재를 주장해 파문은 더욱 확산했다.
트럼프는 지난 30일 새벽 5시 14분 “사기꾼 힐러리가 내 인생 최악의 미스유니버스의 끔찍한 과거도 확인하지 않고 그녀를 ‘천사’로 띄웠다”며 “힐러리는 마샤도에게 사기를 당한 것”이라는 글을 올렸다. 그는 특히 마샤도를 향해 “역겹다”는표현을 쓰면서 “그녀의 섹스 테이프와 과거를 확인해 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기꾼 힐러리가 TV토론에서 이용하려고 마샤도가 미국 시민이 되도록 도운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의 트윗은 오전 5시 30분까지 이어졌다.


그러자 클린턴도 트위터에 글을 올려 “정말 도가 지나치다”면서 “밤을 새워가며 거짓말과 음모론으로 한 여성을 비방하는 이 사람은 도대체 어떤 종류의 인간이냐”고 비판했다.
이어 “트럼프의 공격에 용기있게 맞선 마샤도는 오히려 칭찬받아 마땅하다”고 감쌌다. 또 자신을 향한 비판에도 어이가 없다는 듯 “(마샤도가 미국 시민이 되는 것을) 내가 도왔다고 말했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마샤도는 인스타그램에서 섹스비디오 논란에 “아무런 근거 없이 타블로이드 신문에 의해 퍼진 것”이라며 “공화당 대선후보의 공격은 나쁜 의도를 갖고 만들어낸 중상모략이자 값싼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 미 언론은 ‘마샤도 포르노’라는 제목의 영상에 나오는 여성은 마샤도가 아니라며 트럼프의 주장은 ‘거의 거짓’(mostly false)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클린턴은 지난 26일 대선후보 1차 TV토론에서 “미인대회를 좋아하는 트럼프는 마샤도를 ‘미스 돼지’, ‘미스 가정부’라 부르며 살을 빼라고 모욕했다”며 “이제 미국 시민이 된 그녀가 11월 대선에 투표할 것”이라고 말해 트럼프를 당황하게 했다.
이에 트럼프는 다음날 폭스뉴스 방송에 출연해 “역대 (미스 유니버스 중) 최악이었다.
진짜 최악이었다”며 “그녀가 몸무게가 엄청나게 늘었다. 그것은 정말로 큰 문제였다”고 주장했다.


올해 난민 사망자, 1만명 넘는다

● WORLD 2016. 9. 29. 19:01 Posted by SisaHan

국제이주기구 예측
대부분 지중해… 작년의 2배, 사상최다

올해 난민 사망자 수가 사상 최대치인 1만명에 육박한다는 국제이주기구(IOM)의 예측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리아 내전이 6년째 접어들고, 아일란 쿠르디를 비롯해 난민의 비극적인 사연이 연이어 전해지고 있지만, 난민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 공조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제이주기구의 데이터 분석 센터인 ‘실종난민프로젝트’는 2016년 난민 사망자수가 지난해의 두 배에 달하는 1만여명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난민 사망자수는 4000여명이지만, 측정되지 않은 사망자까지 포함한다면 올해 안으로 1만명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다는 것이다. 줄리아 블랙 실종난민프로젝트 연구원은 “지중해와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는 난민 사망자에 대한 조사조차 제대로 되지 않아, 실제 사망자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난민 사망자의 대다수는 리비아에서 이탈리아로 건너가는 지중해에서 발생하며, 올해에만 이 구간에서 3212명의 난민이 숨진 것으로 드러났다. 전 세계에서 650만여명이 내전으로 인해 자신의 터전을 떠나는 상황에 놓여 있으며, 이중 실제 난민은 213만여명에 달한다.


내전을 피해 목숨을 걸고 고국을 탈출했지만, 끝이 보이지 않는 유럽의 난민 캠프 생활에 지친 난민들이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기도 한다. 그리스의 난민 캠프에서 일하는 지아스 알준디 국제앰네스티 활동가는 “시리아 상황이 얼마나 나쁜지 잘 알고 있지만, 난민들은 유럽에 대한 희망과 신뢰가 사라졌다고 말하며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19일 뉴욕에서 개막된 유엔 총회에는 증가하는 난민에 대한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20일 난민 정착 프로그램에 쓰일 기금 모금을 위해 정상회의를 열겠다고 밝혔다.
< 황금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