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 탑재 우주선과 위성 도킹 성공…5년 수명 연장

“위성에 제트팩을 달아준 격”…5년후 다른 위성으로

 

 연료를 탑재한 우주선(왼쪽)과 인공위성이 도킹하는 과정을 묘사한 애니메이션의 한 장면. 유튜브 갈무리

 

미래의 일로만 여겨지던 우주 급유가 현실이 됐다.

고도 3만6천km의 정지궤도를 도는 통신위성들은 대개 10~15년 작동하도록 설계돼 있다. 그런데 위성에 탑재된 장비들은 이보다 훨씬 더 오래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장비가 아무리 멀쩡해도 연료가 떨어지면 인공위성은 끝이다. 이런 상태에서 활동을 종료하는 위성이 한 해 20여개에 이른다고 한다.

그렇다고 연료를 무리하게 싣게 되면 위성을 목표 궤도에 올려놓기가 어렵다. 우주에서 연료를 다시 공급해줄 수 있다면 이런 고민을 해결할 수 있다. 우주 급유가 가능해지면 연료를 덜 싣고 가도 돼 인공위성 무게가 줄고, 따라서 발사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위성 수명이 연장되면 새로운 위성을 준비하는 시기를 뒤로 미룰 수 있다.

 

1960년대 아폴로 우주선을 제조했던 미국의 항공우주업체 노스럽그러먼(Northrop Grumman)이 최근 우주 급유에 성공함으로써 우주산업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노스럽그러먼은 지난 12일 연료를 탑재한 수명연장용 특수위성 `메브-2'(MEV-2=Mission Extension Vehicle-2)가 정지궤도에 있는 인텔샛의 통신위성과 도킹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인텔샛 위성은 수명이 5년 더 연장됐다. 2003년 발사된 이 위성은 이미 설계수명 13년을 5년이나 지나 곧 폐기를 앞둔 상황이었다.

우주 급유의 성공은 우주선 발사 비용을 줄이는 새로운 방식이라는 점에서,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엑스가 로켓 재활용 기술로 우주로 가는 비용을 대폭 절감한 것에 버금갈 만한 성과로 평가된다.

지난 12일 도킹하기 직전 15미터 거리에서 촬영한 인텔샛의 통신위성. 노스럽그러먼 제공

_______
지난해엔 휴면상태 도킹...이번엔 작동중 궤도 내 도킹

연료탱크를 탑재한 메브-2 우주선은 앞으로 5년간 인텔샛 위성의 예비엔진 역할을 한다. 이 회사 대변인은 "메브-2는 일종의 위성용 ‘제트팩’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노스럽그러먼은 5년 계약 기간이 끝나면 메브-2가 수명이 다한 다른 위성을 살리기 위해 새로운 임무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메브-2가 작동할 수 있는 기간이 15년이므로 2개의 위성 수명을 5년씩 더 연장해 줄 수 있다.

노스럽그러먼의 수명연장을 위한 우주 도킹 자체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2월 메브-1(MEV-1)이 다른 인텔샛 위성과 도킹에 성공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는 다른 위성과의 충돌 등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일단 위성을 300미터 더 높은 ‘묘지궤도’로 이동시키고 휴면 상태로 전환한 뒤 실시한 도킹이었다. 메브-1은 도킹 두달 후 자체 추진력을 이용해 이 위성을 정지궤도로 복귀시켰다. 실제 궤도 선상에서 작동 중인 위성과 직접 도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킹 후의 모습. 앞쪽이 메브-1 우주선, 뒤쪽이 통신위성. 유튜브 갈무리

_______
위성과 한몸이 되는 간접 우주급유 방식

노스럽그러먼의 우주급유 방식은 국제우주정거장에서의 우주선 도킹처럼 두 우주선이 완전히 결합한 뒤 임무를 수행하는 방식이 아니다. 현재의 위성들엔 이런 식의 도킹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메브-2와 인텔샛 위성의 도킹 방식은 완전 결합보다는 걸쇠 방식에 더 가깝다. 메브-2 우주선이 인공위성에 서서히 접근하면서 위성의 뒤쪽에 있는 원뿔 모양의 액체연료 원지점 엔진(liquid apogee engine)에 탐침을 삽입하는 방식이다. 탐침이 3개의 지지대(또는 발)를 엔진 고리에 뻗어 두 우주선을 단단히 연결한다. 도킹 이후엔 자체 연료를 탑재한 우주선이 위성과 한몸이 돼 연료탱크 역할을 하게 된다. 일종의 간접 우주급유 방식이다.

노스럽그러먼은 현재 정지궤도에 있는 위성의 약 80%에는 이런 원뿔형 엔진이 있어 다른 위성들에도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스페이스엑스의 스타십 우주선끼리 지구 저궤도에서 우주급유를 하는 모습(상상도). 스페이스엑스 제공

_______
스페이스엑스, 저궤도서 스타십 우주선끼리 급유 추진

명실상부한 우주급유 방식도 추진되고 있다.

화성 여행을 목표로 한 차세대 우주선 스타십을 개발 중인 스페이스엑스는 지구 저궤도에 연료보급용 스타십을 보내 화성행 우주선의 중간 급유기지로 활용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스타십에는 100톤의 화물을 실을 수 있기 때문에, 연료를 가득 실은 스타십은 먼 우주 탐사를 위한 중간 급유 및 기착지로 활용할 수 있다. 나사는 지난해 스페이스엑스와 스타십 우주선 간에 10톤의 액체산소 연료를 주고받는 시범비행을 시도하는 계약을 맺었다.

록히드마틴과 보잉 합작의 우주발사업체 유나이티드런치얼라이언스(ULA)도 73톤의 추진제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우주급유선을 개발 중이다. 이르면 2023년 첫 시험비행, 2020년대 중반 첫 우주급유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나사는 장기적으로 로봇팔을 이용한 우주 급유나 수리 시스템도 연구하고 있다. 노스럽그러먼도 2024년께 로봇을 이용한 다음 단계의 우주 서비스 시스템을 시험할 계획이다. 곽노필 기자

이집트 운하 당국, 에버기븐호 압류

배상금 1조원 요구에 보험사 반발

 

지난달 이집트 수에즈운하에서 좌초됐던 에버기븐호가 지난달 30일 이집트 그레이트 비터호수에 정박해 있는 모습. AP 연합뉴스

 

이집트 수에즈운하에서 좌초됐던 화물선 ‘에버기븐’호가 이번에는 배상금 문제 때문에 오도 가도 못하는 처지에 놓였다.

오사마 라비 수에즈운하청 청장은 13일(현지시각) “배(에버기븐호)가 공식적으로 압류됐다”며 “그들(에버기븐호 쪽)은 아무것도 내려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고 <가디언> 등 외신이 전했다. 압류 결정은 수에즈운하청이 있는 이스마일리아 법원이 내렸다.

 

에버기븐호는 지난달 23일 뱃머리 부분이 수에즈 운하의 모래 제방에 박힌 채 좌초됐다. 부양 작업 끝에 엿새 뒤인 지난달 29일 운하 중간에 있는 그레이트 비터 호수로 예인됐다. 이 기간 동안 수에즈운하가 마비돼, 배 442척이 운하를 통과하지 못하고 대기했다. 에버기븐호는 현재 그레이트 비터 호수에 정박하고 있으며, 이집트 당국이 사고 원인을 조사중이다.

 

에버기븐호의 보험사인 영국 피앤아이(P&I)는 13일 성명을 통해 수에즈운하청이 에버기븐호 선주에게 9억1600만달러(1조243억원)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피앤아이는 “수에즈운하청이 ‘배상을 하기 전까지는 에버기븐호를 이집트에 묶어두고 선원들도 배를 떠날 수 없다’고 밝힌 것에 대해 실망했다”고 적었다. 피앤아이는 “수에즈운하청은 ‘인양 보너스’ 3억달러, ‘명성 훼손‘ 관련 3억달러를 포함해 이례적으로 많은 액수를 요구하며 구체적인 근거를 제공하지 않았다”며 수에즈운하청이 요구한 배상액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을 방침을 내비쳤다.

 

구체적으로 누가 얼마나 배상금을 낼지를 두고 다툼이 이어질 전망이다. 에버기븐호의 선주는 일본 쇼에이기센이고, 운용은 대만 회사에서 했고, 선적은 파나마에 두고 있다. 배상금 지급은 보험사인 피앤아이를 통해서 하게 된다. 수에즈운하청은 이번주 사고원인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인데, 운하청의 잘못이나 과실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라비 청장은 13일 잘못이 선주에게 있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물론 그렇다”고 말했다. 조기원 기자

 

13일 오전 온라인 예배드리고 오후 영락교회서 현장 선물나눔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목사들에게 선물을 전하는 목사회 김용식 회장 등 임원들.

 

온타리오 한인목사회(회장 김용식 온누리연합교회 담임목사)가 1년 넘게 계속되고 있는 COVID-19 상황속에서 목회와 복음사역에 헌신하고 있는 회원목사들을 위로 격려하는 행사로 마련한 ‘새봄맞이 위로회’가 4월13일 화요일,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목사)에서 열렸다.

 

 

이날 위로회는 특히 매년 새해 초에 목회자들이 모여 신년예배를 드리고 인사를 나누는 신년 하례예배를 올해는 COVID-19 집합금지에 따라 드리지 못한 점을 감안, 잠깐 눈인사라도 나누고 선물을 전하며 목회현장의 수고를 위로하기 위해 목사회가 준비해 온라인에 이어 오프라인으로 진행됐다.

위로회는 먼저 오전 11시부터 영락교회를 영상본부로 온라인 비대면 예배를 드렸다, 유튜브로 중계된 예배는 목사회 부회장인 양요셉 목사(기쁨이 충만한교회 담임)의 사회로 목사회 회계인 최혁 목사(제자들교회 담임)가 기도하고, 목사회장 김용식 목사가 빌립보서 1장 3~6절을 본문으로 ‘갇힌 자들이 사는 법’이라는 제목으로 설교했다.

 

사회를 맡은 부회장 양요셉 목사

김 목사는 “우리 모두가 감옥아닌 감옥생활로 어려움을 겪으며 건강을 지키기 위해 백신을 맞고 있으나, 육신의 백신 만이 아닌 마음의 백신도 맞아야 한다”면서 “마음 백신은 스스로 격려하고 응원하는 격려백신과, 몸과 마음의 건강을 위해 힘쓰는 균형백신,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긍정적 생각의 희망백신까지 3종류의 백신을 맞아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남아공의 넬슨 만델라 대통령이 27년간 독방에서 감옥생활을 감내하며 희망을 잃지 않고 격려와 균형에 노력한 끝에 건강하게 출소한 후 대통령까지 지낸 예화를 들려주었다.

김 목사는 이어 “본문의 바울사도 또한 감옥에서 쓴 옥중서신이지만 구절마다 기쁨과 사랑과 감사가 넘쳐나, 갇힌 자들이 살아가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전하고 ”그리스도의 고난을 생각하며 감사하고 기뻐했고, 성도들을 위해 기도하며 응답하시는 하나님께 감사했고 하나님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어 주실 것이라는 확신으로 감사하며 이겨냈다“고 강조, ”우리도 COVID-19의 어려운 상황이지만 기뻐하고 기도하고 확신하며 갇힌 생활을 극복해 나가자”고 말씀을 전했다.

 

김 목사는 설교후 중보기도를 인도, COVID-19의 어려움 속에 있는 목사회원들과 교회들 및 성도들을 위해 속히 팬데믹이 종료되고 일상을 회복하여 건강한 신앙생활을 해나가게 해달라는 기도와 함께, 최근 코로나 감염으로 소천한 지구촌교회 고영길 목사와 유족을 위한 위로와 평안의 기도도 함께 중보했다.

예배는 이어 목사회 총무인 박원철 목사(늘사랑교회 담임)의 광고와 증경회장인 김동욱 목사(큰나무교회 담임)의 축도로 마쳤다.

광고하는 박원철 목사

 축도하는 김동욱 목사

이날 오후에는 오프라인 행사로 영락교회 후문에서 드라이브 스루 선물나눔 순서가 있었다. 오후 1시부터 1시간 동안은 은퇴목사들을 대상으로 선물을 전해, 50여명의 목사들이 영락교회를 찾아 차에 탄 채로 인사를 나누고 현장에서 선물을 받아갔다. 이어 오후 2시 이후에는 목사회원과 현역 목사들이 줄이어 방문해 역시 쌀과 영양제, 생필품 등이 든 패키지 선물백을 건네받고 인사를 나눴다. 이날 일부 목사들은 몇몇이 모여서서 오랜만에 만난 반가움과 안부를 주고받기도 했다.

 

목사회 임원목사들. 왼쪽부터 방덕규 서기, 김동욱 전 회장, 양요셉 부회장, 김용식 회장, 박원철 총무

이날 위로회 선물은 목사회가 양요셉 부회장 등 일부 임원과 영락교회, 그리고 후원 성도들의 도움으로 준비했다. 목사회 임원들은 직접 영략교회에 나와 오전 온라인 예배 순서를 맡아 진행하고, 오후에는 현장을 방문하는 목사들에게 선물 팩을 전달해 주는 수고를 담당했다. <문의: 416-822-3039 >

라이언스대 경제학과 이현주 교수가 주제빌표

29일 18시 30분, 코로나19 경제적 영향 주제로

 

 

토론토총영사관(총영사 정태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활성화의 일환으로 캐나다 한인교수협의회와 공동으로 온라인 오픈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그 첫번째 오픈 세미나는 오는 4월29일(목) 오후 6시30분 라이어슨대 경제학과 이현주 교수의 '코로나19 경제적 영향'이라는 주제발표로 진행된다.

 

주제발표 내용은 ‘COVID-19의 경제적 영향: 은행, 좀비 그리고 성장’이란 테마로, '코로나의 여파로 2009년과 같은 금융위기가 재현될 것인가?', '은행 파산의 확률은 얼마나 될까- 규제 강화가 은행들을 안전하게 만들었는가?', '그림자 은행의 성장- 그림자 은행이란 무엇이며, 그 성장의 배경은?' 그리고 '좀비 기업이 성장의 발목을 붙잡는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 회복에 대해' 등에 대해서 다룬다.

 

총영사관은 이번 세미나 주제는 발표자의 한국 기업과 금융 시스템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주제 발표에 나설 이 교수는 미네소타대 박사, 서울대 학사 출신으로, 전문분야는 거시경제, 금융경제, 국제경제이다.  최근 연구로는 한국 기업과 대출기관 매칭 데이터를 활용한 자본 규제 및 그림자금융 등이 있다. 주요 내용은 이 교수 관련 웹사이트(https://hyunju-lee.weebly.com)를 참조하면 된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 참가를 위해서는 먼저 등록 사이트(https://www.eventbrite.ca/e/korea-canada-open-seminarthe-long-shadow-of-covid-banks-zombies-growth-tickets-150107616923)에 등록하고 신청해야 한다. 등록자에게는 이메일로 온라인 프로그램 참여 방법을 안내할 예정이다. < 416-920-3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