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원과 베이컨 대위(1943, 버마)

     

주 캐나다 대사관 강사시리즈』 11월30일 개최손녀가 선교사 일생 소개

파란 눈의 캐나다 장교 베이컨 대위, 광복군 활동으로 독립유공 건국훈장

     

주 캐나다 대사관은 지난 1130대사관 강사시리즈를 열고 캐나다 군인으로는 최초이자 유일하게 독립유공자로 인정돼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수여받은 로랜드 베이컨(Roland Bacon:1904-45) 대위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이날 강사시리즈는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온라인 화상회의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베이컨 대위의 후손 가족들을 비롯해 연아 마틴(Yonah Martin) 상원의원과 빌 블랙(Bill Black) 참전용사회장을 포함한 각계 인사들이 참석해 베이컨 대위의 귀한 삶을 되새겼다.

장경룡 대사는 환영사에서 광복군 창설 80주년, 한국전 발발 7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해에 대한민국 정부가 베이컨 대위의 공훈을 발굴하여 건국훈장을 수여하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하며, 금번 대사관 강사시리즈를 통해 베이컨 대위의 이야기가 후손의 목소리를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질 수 있게 된 점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의미를 부여하고 이러한 귀한 유산이 세대를 이어 계승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와 대사관은 양국 보훈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경룡 한국대사와 베이컨 대위의 활약상을 소개하는 손녀 토빈 여사

강사로 초빙된 고 베이컨 대위의 외손녀 토빈 여사는 캐나다 선교사 사위에서 독립유공 훈장까지라는 제목으로 외할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생생한 사진자료들과 함께 소개했다.

토빈 여사는 할아버지 베이컨 대위는 1931년 캐나다 선교사의 딸 펄 맥레(Pearl MacRae: 함흥 출생, 한국명 백진주) 여사와 결혼 후, 한국으로 건너가 선교활동을 하다 1941년 일본의 탄압으로 추방되자 어린 자녀와 가족을 이끌고 인도로 이주하였는데, 그 곳에서 유창한 한국어 실력으로 당시 인도·버마 전선에서 활동하던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의 연락장교로 활약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베이컨 대위는 공작대원들과 함께 대적 선전 및 문서번역 등 작전을 수행하다 19453월 광복을 불과 5개월 앞두고 일본군의 총탄에 전사하셨다.”고 밝혔다.

이어서 토빈 여사는 대한민국 정부가 이러한 베이컨 대위의 공로를 인정하여 금년 8.15에 건국훈장을 수여하였는데, 서훈 심사 과정에서 그동안 소장하고 있던 각종 관련 자료, 사진 및 문헌을 국가보훈처에 제공하였었다고 말하고 특히, 미망인이 된 외할머니 Pearl 여사가 한지성 대장 및 그의 부인 안금생 여사(안중근 의사 조카딸)와 함께 찍은 사진은 광복군 역사 연구에 매우 가치 있고 희귀한 자료로 보존되게 되어 매우 뿌듯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강사시리즈를 통해 그간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캐나다 출신 영웅의 스토리가 널리 알려지게 되어 다행으로 생각하며 특히, 대한민국 정부가 외국인 유공자의 공적 발굴에도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을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입을 모았다.

연아 마틴 상원의원은 캐나다 상원을 대표하여, 한국 정부에서 한국전 참전용사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처럼 캐나다도 베이컨 대위의 감명깊은 스토리 등 한-캐 관계에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유산들을 계속 발굴하여 차세대들에게 전수할 계획이라고 다짐했다.

빌 블랙 참전용사회장은오늘 참석하지 못한 동료 참전용사들에게도 스토리를 공유할 계획이라면서 토빈 여사가 강사료를 특별히 한국전 참전용사회에 기증하였는데 보훈병원에 장기입원 중인 참전용사들을 위해 뜻 깊게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훈장 전수식(베이컨 대위의 장남 Dr. Hugh Bacon, 정병원 주밴쿠버 총영사)

오타와 한국대사관이 베이컨 대위의 공훈을 발굴하여 서훈을 추진해 결실을 맺은 결과, 캐나다는 한국전 3대 참전국이자 대한민국 독립을 도운 3대 기여국임이 확인되었다. 지난 1968년을 마지막으로 이뤄지지 않았던 캐나다인 독립유공자 발굴은 베이컨 대위 포상으로 재개된 셈이다.

한국대사관은 이번 강사시리즈를 계기로 한국 정부가 외국인 독립유공자들의 공적을 지속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리고, 130여년 전 내한 선교사부터 시작된 양국간 뿌리깊은 우호관계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이날 강사시리즈는 한국대사관 유투브 채널(Korean Embassy in Canada YouTube)을 통해서 다시보기 할 수 있다. < 문의: 613-244-5010 >


캐나다 보건부, 곧 백신사용 승인 결정 밝혀

● CANADA 2020. 12. 3. 12:03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패티 하지두 연방 보건장관은 2일 캐나다의 COVID-19 백신 승인 결정이 임박했다고 밝혔다.
하지두 보건장관은 트위터를 통해 화이자와 독일 파트너인 BioNTech가 만든 백신을 허가하기로 한 영국의 결정을 예를 들며 이같이 말하고 "이 백신에 대한 캐나다 보건부의 심사가 진행 중이며 곧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그는 "승인하기 전에 COVID-19 백신이 안전한지 확인하는 것이 캐나다 보건부의 우선 사항이며, 백신이 승인되면 캐나다는 접종준비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주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백신이 캐나다로 배송되기 전에 백신을 개발한 국가 국민들이 먼저 접종할 가능성이 높다고 인정한 이후 비판에 직면해 왔다.
이와 관련해 NDP의 자그미트 싱 리더는 캐나다가 백신을 제조할 능력이 없다는 것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하며 자유당과 이전의 보수당 정부를 비난하고 백신과 중요한 의약품 생산 능력을 회복하기 위한 새로운 법인의 설립을 요구했다.
또한 보수당도 트뤼도는 왜 캐나다가 백신 과정에서 영국보다 뒤처져있냐는 비판을 쏟아냈다.
트뤼도 총리는 이에 대해 "현재 캐나다 보건부는 4개의 백신 후보들을 조사 중에 있으며 수천만 개의 백신 확보를 위해 계약에 서명했다"고 말했다.
캐나다 보건부 최고 의료 고문은 현재 여러 백신 후보들에 대해 안전성여부를 검토 중이며 첫 번째 후보백신은 이달 중 승인될 수 있다고 말했다.
수프리야 샤르마 박사는 11 26일 브리핑에서 미국과 유럽의 규제 당국과 거의 동시에 승인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연방보건부는 성명을 통해 영국을 포함한 국제 규제 기관들과 협력하고 있지만, 캐나다는 자체적인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보건부는 "백신은 안전성과 효능, 품질을 평가하는 독립적인 검토 과정이 완료된 후에야 캐나다에서 접종이 허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 최고 공중 보건 책임자 테레사 탐 박사는 백신 컨퍼런스에서 2021년 초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초기 600만개의 백신 가운데 300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 우선 확보될 것이며 백신 자문위원회의 우선 순위 그룹 목록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누가 먼저 백신을 접종할 것인지의 그 목록을 더욱 세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2
일 기준 퀘벡 주에서는 하루 만에 최고치인 1,514명의 감염자를 기록했으며 43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퀘백 부수상은 쇼핑몰과 대형 매장 내 쇼핑객의 수에 대한 엄격한 제한을 발표했다.

온타리오 주는 1,723명의 새로운 확진자와 35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현재 656명이 입원해 있으며, 중환자실에 183명이 입원해있다.
마니토바에서는 277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고 14명의 사망자가 보고 되었다.



알버타 주정부는 2일 새해 1월부터 4월 사이에 40만명 이상의 노인과 의료 관련 및 최전방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에게 COVID-19 백신을 맞게 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제이슨 케니 수상은 캐나다 보건부가 화이자 백신과 모더나 백신을 승인한 후 이르면 1 4일부터 알버타가 수령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정부에 따르면 백신은 알버타 내의 30개 창고에 보관돼 3단계로 나눠 출시된다.
1
단계는 1월부터 3월까지 장기 치료 시설 거주자와 직원, 65세 이상의 퍼스트 네이션 거주자 (원주민), 의료 종사자를 포함한다.
2
단계는 4월에 시작해 여름까지 진행되며, 누가 포함 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정부는 인구의 30%에 예방접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지막 단계는 내년 9월에 시작될 예정이다. 모든 알버타 시민들은 그때 예방접종을 할 수 있다.
제이슨 케니 수상은 주정부 차관과 전 캐나다 육군 장군 폴 위닉을 백신 위원으로 임명했다. 위닉은 알버타의 PPE가 전달되는 일을 주도했다.
알버타주는 이날 1,685명의 COVID-19 확진자와 10명의 사망자 발생을 발표했다. 현재 504명이 병원에 입원해 있으며 97명이 중환자실에 있다.

 



온타리오 주 더그 포드 수상은 해외에서 캐나다로 돌아오는 여행객들의 14일 자가격리 시스템을 중단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포드 수상은 2일 오후 가진 브리핑에서 미국과 캐나다 양국에서 COVID-19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국경 규제를 더욱 강화할 예정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올해 초 알버타가 시행한 것과 유사한 신속한 COVID-19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현재 자가격리 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자가격리 대체 계획에 따르면, 국제 여행객들은 검역소에 들어가기 전에 캐나다에 입국할 때 COVID-19 테스트를 받는다.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오면, 여행자들은 검역을 떠날 수 있지만 도착일로부터 이 후 6, 7일 후에 다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
포드 수상은 "현재 14일 자가격리 시스템을 없애기 위해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에서 테스트 문제를 연방정부와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아주 신속한 처리를 할 수 있어 현재 이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면서 현재 대체 시범 프로젝트 현황에 대한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