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 다운타운서 또 총격 사건

● CANADA 2020. 8. 9. 09:38 Posted by SisaHan

토론토 다운타운에서 또 총격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8일 오전 1138분쯤 Blue Jays Way 인근 Front Street West지역에서 총격이 벌어지고 있다는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 Entertainment Distric에서 일어난 두 그룹간 충돌과 총격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토론토 경찰 노먼 프록터 경관은 번화한 거리에서 두 집단이 총격전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한 무리는 걸어서, 다른 무리는 흰색 마즈다 세단을 타고 Spadina Avenue에서 북쪽으로 향하고 있었고, 다른 검은색 마즈다 차량도 Blue Jays Way 에서 북쪽으로 향하며 총격에 가담해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고 사건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또 용의자들 중 한 명은 현장에서 도망쳤으며 현재 조사 단계라 밝힐 수 있는 게 많지 않지만 병원들을 탐문하면서 총상을 입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찾고 있다"고 전했다. 경찰이 주변 도로를 차단하고 조사중인 가운데 수사관들은 현장에서 여러 개의 탄피가 발견됐다고 전했다.
경찰은 이 사건과 관련, 시민들의 목격담이나 어떤 정보, 혹은 현장 영상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 경찰에 제보해 주기를 당부했다.


온타리오 주에서 지난 7월에 151천여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늘어났다고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했다. 이는 그 전달에 비해 2.2% 증가한 것으로, 대다수는 파트타임 직종이었다.
온타리오 주는 COVID-19 팬데믹 선언 이후 5월까지 3개월 동안 1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잃은 후 6월에는 약 37 8천개의 일자리가 회복된 것으로 발표했었다.

노동력 설문조사(The Labour Force Survey-LFS)7 12일부터 18일까지의 통계를 바탕으로 캐나다 전역의 기업과 사업장이 점차 재개장되고 밝혔다. 통계청도 "토론토 등 온타리오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공중보건 규제가 대폭 완화됐다. 다만  물리적 거리 제한과 대규모 집회 제한 등 일부 조치는 그대로 유지됐다"고 말했다. 이번 통계청 조사도 온타리오의 경제 재개 계획 2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실시되었다.

통계청은 온타리오 주에서 늘어난 151천여개의 일자리 중 약 145천개가 파트타임 일자리라고 밝혔다. 이는 몇 달 전 폐쇄된 경제로 인해 파트타임 근로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신규 일자리 중에는 특히 셧다운에 가장 많은 타격을 입은 소매업과 숙박업, 식품업에 파트타임 직종이 집중되어 있었다.
새 일자리 증가에 따라 온타리오의 실업률은 전달의 12.2%에서 11.3%로 떨어졌다.
토론토에서도 약 2.2% 고용이 증가했으며, 대략 26천 개의 일자리가 불어났다. 통계청은 토론토의 고용이 COVID-19 이전 수준인 2월의 89.9%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더그 포드 온주 수상은 7일 오후 소셜 미디어에 짧은 글을 올려 7월의 노동 인구수 증가를 보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포드는 트위터를 통해 "오늘 기쁜 소식은 15만 명의 사람들이 새 일자리를 얻게 된 것"라며 하지만 아직 경제 재건을 위해 할 일이 남아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7월 한 달 동안 캐나다 전역에서는 약 41 9천 개의 일자리가 생겨 전국적인 실업률이 10.9%로 감소했다.

GAVI 등과 연대중하위 92개국에 내년 1억회분 공급 목표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가 빈곤국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회당 3달러(3500) 미만에 공급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이하 게이츠재단)7일 지구촌 백신 공급 연대인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인도의 백신 제조사 세럼인스티튜트(SII)와 함께 이르면 내년부터 중하위 경제국 92곳에 코로나19 백신 1억회분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게이츠 재단은 SII의 백신 후보 물질 생산과 향후 GAVI의 백신 유통에 쓰이게 될 15천만 달러(1782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게이츠 공동대표는 "이른 시일 내 모든 사람이 백신에 접근하려면 엄청난 생산 능력과 세계적인 유통망이 필요한데, GAVISII의 협력을 통해 두 조건이 충족됐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향후 더 많은 백신을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세스 버클리 GAVI 최고경영자(CEO)도 이번 사업이 "부유한 일부 국가가 아닌, 모든 국가를 위한 추가적인 (백신)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버클리 CEO"새로운 치료법이나 진단법, 백신이 나올 때마다 제일 뒤에 남겨진 취약한 나라들을 너무 많이 지켜봤다"면서 "팬데믹이 전 세계를 강타한 상황에서 부유한 나라만 보호받는다면, 국제 무역과 상업, 사회 전체가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백신 공급에 다른 제약사들의 동참을 촉구했다.

앞서 GAVI는 백신을 독점하려는 일부 부유한 국가들의 행보가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세계보건기구(WHO), 감염병혁신연합(CEPI)과 손잡고 공정하게 백신을 공급하자는 취지의 '코백스(COVAX)' 구상을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78개국이 코백스에 관심을 표명했으며, 이에 따라 중하위 경제국 92곳이 백신 접근권을 확보했다.

아다르 푸나왈라 SII CEO"1억회분의 코로나19 백신 생산과 납기를 앞당겼다"면서 "세계에서 가장 소외되고 가난한 나라들이 경제적으로 감당할만한 치료법과 예방책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SII는 게이츠 재단, CEPI 등의 투자를 바탕으로 백신 상한가를 회당 3달러 미만으로 책정했다.

SII는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에서 개발 중인 백신의 생산 자금을 지원 받게 되며, 인허가 취득과 WHO의 사전심사 통과 이후 세계 각지로 백신을 조달하게 될 전망이다.


현지 의료체계 등 고려몬테네그로·키프로스·몰타 등 인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경 장벽이 높아지자 세계 부유층 사이에서는 '투자 이민'이 각광 받고 있다고 미 CNN 방송이 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관련 업계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을 기점으로 시민권 및 체류권 취득을 위한 투자 프로그램(CIP) 문의가 급증하는 추세다.

투자 이민 제도의 일종인 CIP는 다양한 나라로 자금을 분산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세제 혜택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여러 국적의 여권을 들고다니며 이동의 자유를 누릴 수 있어 부유층 사이에서 주목받아왔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여파로 유행병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갖춘 국가로 떠날 수 있는 CIP를 선호하게 됐다는 것이다.

글로벌 시민권 및 거주권 자문회사인 헨리앤파트너스의 도미니크 볼렉 아시아 지사 대표는 "부자들이 또 다른 유행병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전년 동기와 비교해 올해 상반기 동안 문의가 49% 급증했다고 말했다.

가장 인기를 끈 지역은 몬테네그로와 키프로스다.

이들 두 지역은 작년 4분기 대비 올해 1분기 신규 투자 이민 신청이 각각 142%, 75% 증가했다. 몰타는 꾸준한 인기 지역으로 손꼽혔다.

볼렉 대표는 "특히 키프로스와 몰타의 시민권을 취득할 경우, 유럽연합(EU) 모든 지역에서 접근과 정착의 자유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호주와 뉴질랜드는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위기관리 능력을 인정받아 최근 이민 문의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는 100만 달러(11억원)에서 350만 달러(41억원), 뉴질랜드는 190만 달러(22억원)에서 650만 달러(77억원)의 투자금을 이민 조건으로 내걸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생계형 이주가 절실한 극빈층이 아니라 이미 특권을 누리고 있는 부유층에게 CIP 특혜가 더욱 집중되면서 불평등을 확대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국제투명성기구는 몰타나 키프로스, 포르투갈 등의 투자 이민 제도를 비판하면서 "유럽 내 솅겐 협정(유럽 26개국의 국경 간 자유 이동 체제) 가입국이나 EU 시민권까지 무분별하게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판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