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전체 기사보기'에 해당되는 글 11579건

  1. 2014.07.14 기독교 한국화의 선각자 1
  2. 2014.07.14 올해 GKYM 토론토에서
  3. 2014.07.14 [기쁨과 소망] 좋은 친구가 되었는가?
  4. 2014.07.14 LMO 개정안

기독교 한국화의 선각자

● 교회소식 2014. 7. 14. 17:04 Posted by SisaHan
한국 속속들이 알고, 보듬어 안고 산 ‘착한 목자’
게일 선교사 한국선교 125주년 기념 선교대회

온타리오 출신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 한국명 기일: 奇一) 선교사의 한국선교 125주년을 기념하는 선교 대회가 지난 6월28일(토)부터 30일(월)까지 서부장로교회(담임 박헌승 목사)와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목사), 게일 선교사의 고향인 온주 앨마(Alma)에서 차례로 세미나와 출판감사예배, 생가탐방 등 프로그램으로 열렸다.
40년간을 한국에서 헌신하며 복음의 씨앗을 뿌림은 물론 성경과 고전번역 등 문화적 기여, 개화기 많은 인재를 길러내는 등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했던’게일 선교사의 사역과 삶, 그리고 그의 한국선교 공헌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 이번 선교대회는 서부장로교회와 영락교회가 마련하고 온주교회협의회가 주관해 석동기 회장(한인감리교회 담임목사) 사회로 진행됐다.
 
세미나는 28일 오전부터 서부장로교회에서 임희국 교수(장신대 교회사:Dr.Th)의 ‘한글 성경번역과 하나님 용어선택에 대한 게일의 공헌’,탁지일 교수(부산 장신대 교회사: Ph.D)의 ‘게일의 초기선교에 나타난 선교 패러다임-부산설교와 대중설교를 중심으로’, 송민호 목사(영락교회: Ph.D)가 ‘게일이 살았던 토론토’, 유영식 교수(전 토론토대: Ph.D)는 ‘게일의 체현화(體現化)와 조선 기독교화(基督敎化)에 대한 소고’를 주제로 강연하고 세미나에 이어 유 교수가 게일의 삶과 선교를 폭넓게 조명해 쓴 책 ‘착한 목자 게일’ 출판 감사예배를 드렸다. 예배는 책을 펴낸 도서출판 진흥의 박경진 장로가 기도하고 박헌승 목사가 “착한 목자 저술은 하나님의 사람 게일을 생각하며 우리에게 예수님처럼 착한 성도, 착한 남편과 아내,착한 자녀로 살도록 감동을 준다”는 말씀을 전하고 민경하 선생의 “선교사 지망생들의 필독서”라는 서평에 이어 유영식 교수가 인사와 함께 책을 박헌승·송민호 목사 등에게 증정하고 박태겸 목사(동신교회 담임)가 축도했다. 29일 저녁에는 영락교회에서 임희국 교수가 ‘19세기말 한국의 현대화 과정에서 선교사들이 발견한 한글의 가치와 한글연구’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30일 생가방문은 1백여명의 성도들이 참가해 앨마에 있는 게일의 생가와 그가 다니던 교회에서 그의 삶을 되새겼다.

 
임희국 교수는 세미나에서 성경번역과 하나님 이름에 대한 게일의 공헌에 대해 “1890년대 성경이 한글로 번역·개정되는 과정에서 하나님 이름 채택과 그 표기에 대해 교사들과 나중 국어학자들도 참여한 논쟁이 일어나, “중국의 상제(上帝), 한국의 하느님/하나님, 천주(天主), 여호와, 참신 등이 거론되는 가운데 게일은 한글학자 주시경의 도움으로 ‘하나님의 하나는 일(一)을 뜻하고, 님은 주인·임금을 뜻하는, 즉 한 분이시며 크고 영원하신 창조주 조화옹(造化翁)’이라고 풀이, 명칭논쟁이 마무리 되는데 크게 기여해 복음의 씨앗이 한국 토양에 싹을 틔워 한국적 기독교신앙고백이 창출되게 했다”고 전했다.
 
탁지일 교수는 게일의 선교 패러다임에 대해 “문학을 전공했고 언어적 달란트도 탁월했던 게일은 특히 ‘선교를 위해선 언어를 효과적으로 알아야 한다’면서 언어와 문화를 통해 사역에 접근했다”고 전했다. 탁 교수는 “게일은 그렇게 한국말과 한국문화를 깊이 접하고 이해하며 고린도전서 9장 22절 이후에 기록된 바울의 선교모토를 소신으로 삼아 한국적인 사역, 한국인 눈높이로 복음을 전하는데 힘써, 가령 대중선교에 나서며 ‘사랑방’선교를 했고, 서양에 흔했으나 한국실정에 맞지않은 노상설교와 서양식 장의자를 배제했다. 또 간략한 전도지를 뿌렸던 당시에 ‘난봉 자식이 아버지께로 돌아온 것’이라고 이해하기 쉽게 만든 전도지 한 장으로 인생을 바뀌게 만들 정도로 한국인을 최대한 배려한 선교방식 등 “게일은 복음을 전하는 게 그 어떤 것보다 한국을 잘되게 하는 것이라며 한국을 사랑한 신앙인이요, ‘근대를 산 탈근대적인 선교사’였으며 시대를 초월해 살았던 선각자였다”고 평가했다. 

송민호 목사는 게일의 시대 토론토를 소개했다. 게일이 1888년, 2년 뒤 로버트 하디,또 1892년에 올리버 에비슨 등 토론토대 출신으로 조선에 복음을 전한 3명의 위대한 선교사가 배출된 1800년대 토론토는 산업화 영향으로 전기와 기차등이 등장했다. 1851년 인구는 영국계가 97%인 3만명이었는데 73%가 개신교, 25%가 카톨릭이었다. 미국의 D.L.무디 부흥운동의 영향으로 학생 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이 번졌고,영적 부흥이 일어났다. 토론토에서 4년을 공부한 게일에게 당시는 변화의 심장으로 작용했고, 다문화사회의 경험을 얻게 했으며 대형교회들이 신앙열정을 안겼다. 그때 Church Street에는 앵글리칸의 St.James 교회를 비롯해 뱁티스트였던 Metropolitan United Church, 가톨릭인 St.Michel 교회 등 대형교회의 첨탑들이 즐비했다. 건물도 컸지만 성도들이 수천명씩 예배를 드리는 영적 부흥기였다. 그런데 지금은그 교회들이 박물관화 하고 있다.특히 Metropolitan교회는 정부가 합법화 하기 이전부터 동성애를 지지했고, 지금도 담임목사가 동성애자다.

유영식 교수는 게일의 조선화와 조선기독교화를 소개한 강연에서 “게일은 숫가락과 젓가락, 베개 등을 늘 지니고 각지 선교를 다닐 정도로 한국적 삶을 파고들며 어떻게 스스로 한국화하고 한국적 기독교가 되게 할지를 고민했다”고 전했다. 성경과 고전 등 번역은 물론 찬송가를 우리 곡조에 맞춰 작사하기도 해 양산도 아리랑 곡의 ‘꽃과 새를 보라’를 짓기도 했던 게일은 예수님의 몸과 피를 먹는다는 성경말씀으로 인해 ‘인육을 먹는다’는 유언비어가 나돌자,‘인자(人子)’가 ‘Son of God’이 아닌‘Son of Man’의 오역이었음을 발견해 내는 등 한자에도 능통했다고 유 교수는 전했다.
한국사를 꿰뚫어 이율곡 선생과 충신 포은 정몸주를 잘 알고 존경하며 영정까지 모셨던 게일은 일제의 침략을 보며 “정몽주의 단심가만 기억하고 있으면 한국은 일본화, 또 좌경화도 안될 것이다”라고 예견했다고 소개했다. “고종과 순종이 서거했을 때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던 게일은 아무리 외국인이 한국을 안다 해도 그 처럼 속속들이 알고 마음에 보듬어 안고 산 사람은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한 유 교수는 “‘내 평생 조선과 같이 울고 웃었습니다’라고 회상한 그가 소천에 앞서 말했다는 ‘How Wonderful, How beautiful!’은 바로 우리에게 전해주는 게일의 말이며, 하나님이 그에게 보여준 천국일 것”이라고 마무리했다.
 
< 문의: 905-803-8800, 416-494-0191 >

 

올해 GKYM 토론토에서

● 교회소식 2014. 7. 14. 16:46 Posted by SisaHan

12월 28~31일 Congress Centre

2세 청년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고, 전세계 미전도 종족 사역자로 헌신을 결단케 하는 젊은이들의 복음잔치인 세계 청년 선교축제(GKYM: Global Kingdom Young-adults Missions Festival) 제9회 2014년 대회가 토론토에서 열린다. 지난 해에는 미국 로체스터와 한국의 서울에서 동시에 열렸었다.
지난 2008년 캐나다 나이아가라에서 첫 집회를 가진 뒤 다시 캐나다에서 열리는 것은 6년만의 일로 토론토에서 다시 청년선교의 부흥을 기약하게 된다. 2014 GKYM대회는 토론토 콩그레스 센터(Toronto Congress Centre)에서 12월28일 주일부터 31일(수)까지 3박4일간 열린다. 올해 대회에는 청년과 함께 2012 시카고 대회부터 시작된 GKYM 청소년대회도 열리게 된다.
 
GKYM대회를 개최하는 GAP(Global Assistance partners)은 6월24일 낮 교계 목회자들을 Toronto Congress Centre로 초청, 올해 대회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GAP 대표인 임현수 목사(큰빛교회 담임)는 “GKYM 대회는 지난 2008년 처음으로 캐나다에서 개최된 후, 현재까지 하나님의 은혜로 미국 각지와 서울에서 대회가 열림으로써 많은 세계 한인청년들이 선교의 비젼을 알게 되는 귀한 선교축제로 성장하고 있다.”면서 “2014년 GKYM 대회가 다시 한번 캐나다 토론토에서 개최된다는 것을 기쁨으로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이날 모임에서는 한인 사역자 외에도 ‘월드비젼 캐나다’, 현재 Korean Christian Fellowship과 동역하고 있는 ‘Inter Varsity Christian Fellowship’, ‘The Canadian Bible Society’, ‘The peoples Church’ 사역자 등도 참석해, 2013년 ‘Korean’을 ’Kingdom’으로 발전적 변경해 글로벌화 한 GKYM의 비전 확장을 보여주었다.
 
< 문의: 905-677-7729, 647-969-7729 >


사실 설교는 성경 말씀과 회중, 그리고 한 주간 말씀을 묵상하며 차곡 차곡 준비하며 기도로 써내려 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준비한 말씀이 얼마나 성경과 하나님이 원하는 말씀일까? 고민하며 씨름을 합니다. 행여 지식 전달이 될까 봐 두렵기도 합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삶에 반추된 말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는 겁니다. 
그런데 칼럼은 다릅니다. 다양한 독자들을 생각하면서 어떤 주제가 좋을까? 고민하였습니다. 아무튼 사람이 살아가는데 친구가 필요함은 두말 할 것도 없습니다. 요사인 한국과 캐나다가 아니, 전 세계가 한 공간 안에 있는 느낌입니다. 매일 저녁이 되면 아내의 친구가 어김없이 보이스톡으로 연락을 해 옵니다. 사실 카톡오는 소리는 들어도 어떤 내용인지 여자들만의 공간 이야기입니다. 나눔의 삶이 행복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우연히 아내가 둔 전화기 액정에 뭔가 글이 있어 읽어보았습니다.
 
다름 아닌 문학의 대가 톨스토이의 ‘사람이 살아가면서 필요한’ 10가지 지혜의 글이었습니다. 1.일하기 위해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성공의 댓가입니다. 2.생각하기 위해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능력의 근원입니다. 3.운동하기 위해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젊음을 유지하는 비결입니다. 4.독서를 위해서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지혜의 원천입니다. 5.친절하기 위해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행복으로 가는 길입니다. 6.꿈을 꾸기 위해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대망을 품는 것입니다. 7.사랑하고 사랑받기 위해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구원받은 자의 특권입니다. 8.주위를 살피는데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이기적으로 살기에는 너무 짧은 하루입니다. 9.웃기위해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영혼의 음악입니다. 10.기도하기 위해 시간을 내십시오. 이는 인생의 영혼의 투자입니다.…그렇습니다. 사람은 시간이 지날수록 늙어가는 것이 아니라. 성숙해지려고 시간을 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손주를 둔 할머니들의 글을 읽어보면서 참으로 아름다고 여유가 있어 보였습니다. 삶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넉넉한 마음이 서로를 격려하며 비록 멀리 있지만 가까이서 숨소리를 듣는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요. 삶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일들을 나누는 넉넉한 글들이 더욱 삶을 풍요하게 하리라 생각합니다. 친구가 전해주는 고국의 소식과 삶에 대한 애환들을 읽으면서 아내가 흐뭇해 하는 모습은 더불어 행복을 느끼게 합니다. 하지만 내심 이와 같은 좋은 친구가 있는가? 친구가 많다기 보다는 마음을 나누는 진정한 친구 단 한명이도 있는가? 곰 새겨 봅니다.
 
좋은 친구가 있다는 것은 마치 황량한 광야 길을 걷는 동반자와 같습니다. 그래요. 외로움과 눈물도 함께 나누면 반으로 줄고, 또한 기쁨을 함께 나누면 배로 늘어나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 함께 울고 웃을 수 있는 친구가 좋은 친구라 말 할 수 있습니다. 태평양 바다를 건너온 이민자들은 자신의 곁에 좋은 친구가 없다고 탓하기만 합니다. 그러나 좀 더 깊이 생각하면 나 자신이 좋은 친구가 되도록 시간을 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힘들고 어렵지만 손 내밀어 일으켜 줄 수 있는 넉넉한 마음 말입니다. 예수님은 좋은 친구는 생명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하시면서 자신의 생명을 내어 주었습니다. 예수 믿는 자를 가리켜 크리스천이라고 합니다. 이는 안디옥에서 이방인들이 믿는 자들에게 붙여준 별명입니다. 우리가 보기엔 당신들은 예수님을 닮았다는 말입니다. 그렇습니다. 믿는 자의 삶은 무엇보다도 가치관의 변화입니다. 하여,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고 했듯이 말입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신 친구의 개념을 다시금 마음속에 되새기면서 진정한 친구가 없다고 탓하기 보다는 나 자신만이라도 좋은 친구가 되길 다짐하며,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해 시간을 한번 내어 봅시다.

< 안상호 목사 - 동산장로교회 담임목사 >


LMO 개정안

● Biz 칼럼 2014. 7. 14. 15:11 Posted by SisaHan
LMO해제 LMIA로 변경… 취업비자 더 어려워져

LMO(Labour Market Opinion)는 외국인을 고용하려는 고용주가 캐나다 정부의 TFWP (Temporary Foreign Worker Program)로부터 외국인을 고용해도 캐나다인의 job market(고용시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쉽게 말하면 외국인 채용허가서를 말한다. 
‘Food Service Moratorium’ (식당 등 서비스 업종의 LMO를 금지하는 조치)이 지난 4월 24일자로 시행된 이후, 대다수의 한인들이 취득한, 식당 등에서의 취업비자가 막혀있었는데, 마침내 2014년 6월20일자로 이 moratorium (금지)이 해제되었다. 그동안 수많은 고용주, 또는 식당 등의 취업비자 취득 희망자로부터 언제 이 금지가 풀릴지 문의를 받아왔는데, 6월20일자로 이 금지조치가 해제된 것이다.
금지가 해제 되어 대단히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해제와 더불어서 이 제도가 변경된 새로운 개정안을 보면 다른 제한 조치가 가미돼 저절로 한숨이 나오기도 한다. 개정 내용을 간추려 기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명칭의 변경 : LMO( Labour Market Opinion) 를 LMIA(Labour Market Impact Assessment)로 변경하였다. 외국인 고용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2. TFWP (Temporary Foreign Worker Program) 의 카테고리 변경 : 전에는 Higher-skilled 와 Lower-skilled Occupations로 구분을 했으나, 지금은 High-wage와 Low-wage로 구분한다. 온타리오 주의 경우에는 시간당 $21.00 이상이면 High-wage category에 해당이 된다.
3. Low-wage Category 에 대한 제약 : 온타리오 주에서 시간당 $21.00이하를 지급하는 경우에는 Low-wage Category에 해당이 되며, 이 경우에는 전체 내국인 고용인의 10분의 1에 대해서만 외국인을 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40시간씩 일하는 full-time 내국인이 10명일 경우에, 40시간씩 일하는 full-time 1명의 외국인을 고용할 수 있다는 말이다. 또한 이에 해당하는 외국인의 취업비자는 1년씩 갱신해야 한다.
4. LMIA 신청비의 상향조정 : 외국인을 고용하기 위하여 신청하는 고용허가 신청서 (LMIA)의 신청비용이 $275.00에서 $1,000.00로 상향 조정되었다.

이상이 변경된 개정안을 짧게 간추린 내용이다.
현재 외국인 고용허가 신청은, 한식·일식요리사가 아닌 경우에는 승인률이 현저하게 낮다고 보아야 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취업비자는 식당의 cook이나 chef로 받아야 하는데, 한인이 운영하는 사업체는 대부분 High-wage Category로 신청을 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경우에 심사과정에서 외국인에게 시간당 $21.00이상을 지급한다고 신청을 하면, 거기에 대한 타당성을 많이 의심받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 과정에서 LMIA 승인이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가뜩이나 이민할 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식당 쪽의 취업비자까지 어렵게 되니, 한인의 캐나다 이민은 점점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 임철수 대표 - 캐나다플랜 이민 컨설팅 Registered Canadian Immigration Consultant >
상담 및 문의: 416-622-0020, c2clim@yahoo.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