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여전히 ‘활발’

● CANADA 2013. 9. 23. 13:57 Posted by SisaHan
토론토·밴쿠버 집값 크게 올라

지난달 전국의 주택 거래가 활발한 실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캐나다 부동산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거래가 전달보다 2.8%,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 주택 가격은 37만8천369달로 전년도보다 8.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가격은 양대 시장인 밴쿠버와 토론토에서 큰 폭으로 올라 밴쿠버의 평균 주택 가격이 77만5천811달러, 토론토는 52만3천228달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 관계자는 지난달 주택 거래가 활발했던 이유에 대해 최근 모기지(장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세가 구매자들의 결정을 촉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국 주택시장은 지난해 가을 정부의 모기지 조건 강화 조치로 냉각기를 거친 이후 올봄 들어 재개 조짐을 보였다.
관계자는 그러나 주택 시장 활기가 올가을까지 계속될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면서 모기지 승인을 얻은 구매자 집단이 소진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모리시 씨를 직접찾아 위로한 조 대사 부부.


조희용 한국대사, 평화메달 전달… 동부 3개주 순방중

지난 12일부터 캐나다 동부지역 각 주를 순방하고 있는 조희용 주 캐나다 한국 대사가 15일 자신의 CTV 인터뷰를 시청한 노바스코샤 밸리 시의 글렌다 모리시 씨가 거동이 불편한 자신의 아버지(Glen Morrisey)가 평화의 사도 메달을 받을 수 있는지 문의 해오자 그의 자택을 직접 찾아가 메달을 전하고 한국전 참전용사에 대한 진심어린 감사를 표했다. 이에 모리시 씨는 감격의 눈물을 글썽거렸고, 그의 부인도 남편에게 너무 큰 선물이라며 고마워했다고 대사관이 밝혔다.
 
한편 조 대사는 13일 PEI주 수도인 Charlottetown에서 프랭크 루이스 PEI 주 총독을 비롯한 장관들과 면담하고, 한국전 참전용사 행사 및 한인동포들을 만난 데 이어 14일 뉴 브런스윅 몽톤시, 15~17일은 노바스코샤를 방문해 역시 한국전 참전용사 위로행사 등을 가졌다. 한-캐 수교50주년과 한국전쟁 정전60주년에 의미를 두고 순방에 나선 조 대사는 각 지역에서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양국간 협력증진 방안을 논의하고 한인동포들도 격려했다.
 
< 문의: 613-244-5044 >


장애시설 학대 10억$소송

● CANADA 2013. 9. 23. 13:49 Posted by SisaHan
오릴리아 주립시설 피해 원생들 온주 정부에

오릴리아의 온주 장애인 시설에서 지적 장애원생들에게 장기간 조직적 학대가 가해졌다며 주 정부를 상대로 10억달러(1조여원)를 배상할 것을 요구하는 집단 소송이 제기됐다. 캐나다통신은 15일 2009년 폐쇄된 오릴리아의 주립 장애인 시설에서 지난 수십년 간 자행된 원생학대에 대한 현금 배상요구 집단 소송이 16일 제기됐다고 전했다.
소송은 지난 2010년 온주고법이 1945~2009년 기간 시설에서 이뤄진 학대 행위에 대해 집단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판결한 지 3년 만에 진행되는 것이다.
문제의 시설은 지난 1876년 ‘오릴리아 바보피난처’라는 명칭으로 문을 연 이래 133년간 발달 장애를 앓는 장애인들을 수용해 왔으나 학대 물의에 휩싸이면서 폐쇄됐다.
 
이전 재판 기록에 따르면 이곳에서는 떠들거나 교사 지시에 따르지 않는 원생들에게 바지를 벗긴 채 교실을 돌게 하는 벌칙을 가하거나, 교사가 정한 ‘검은 표시’ 벌칙을 받은 원생에 다른 원생들이 발로 차고 때리도록 강요하는 학대가 이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또 강제 노역을 당한 원생도 있었다는 증언이 나오기도 했다.
이 시설에서 학대를 당한 원생들은 이미 사망했거나 연로한 나이지만 당시 자신이 당한 학대가 조직적으로 가해진 것으로 증언했다. 6살 때부터 10년 간 수용됐던 마리 슬라크(59)씨는 “그곳 생활은 감옥과 같았다”면서 “그들이 우리의 어린 시절을 빼앗아 갔다”고 말했다.
이들은 보상 여부를 떠나 주 정부가 당시 시설측의 행위에 대해 사과를 해 줄 것을 바라고 있지만 주정부측은 부분적으로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조직적 행위에 대한 공식 책임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현재 상봉 방식 2033년까지 이어간다면 
이산가족 가운데 절반 이상은 가족 못 만나
사망 전에 단 한번이라도 가족 만나게 하려면 매년 7천여명으로 상봉 규모 늘려야


20년 뒤인 2033년엔 현재 생존한 남한의 이산가족 모두가 세상을 뜰 것으로 예상됐다. 남북이 2004년 이후의 상봉 추세를 2033년까지 이어간다면, 현재 생존한 이산가족의 가운데 절반 이상이 북한의 가족을 만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현재의 이산가족들이 생전에 단 한번이라도 북한의 가족들을 만나려면 상봉 규모를 1년에 70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6월 발표한 ‘이산가족 상봉 재개, 더는 시간이 없다’ 보고서를 보면, 2004년 이후의 매년 이산가족 사망률 2.9%와 사망자 숫자 3800여명 고려할 때 올해 5월까지 생존한 이산가족 7만3461명은 2033년 이전에 모두 사망할 것으로 예상됐다. 평균 기대 여명으로 분석해도 6·25 종전 이전에 태어난 60대의 기대여명이 20.0년, 70대가 12.4년, 80대가 6.6년이어서 역시 2033년에는 60대 이상이 모두 사망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6·25 종전 이후에 태어난 50대의 경우는 기대 여명이 28.6년이어서 2041년까지 생존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2004년 이후 이산가족들의 연 평균 상봉률은 매년 1.2%씩 늘어나는 데 그쳐 이 추세가 2033년까지 지속되더라도 누적 상봉률은 44.8%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됐다. 결국 이산가족 상봉률이 매년 1.2% 증가를 유지한다면 전체 이산가족의 55.2%는 생전에 북한의 가족을 단 한번도 만날 수 없다는 이야기다.
 
사정이 이런데도, 이산가족 상봉률이나 숫자는 이명박 정부 이후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정부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은 매년 1800명 규모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시절엔 2차례 1770명에 불과했고, 2008년과 2011년 이후엔 단 한 차례도 정부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지 못했다. 정부 차원의 남북관계가 막힘에 따라 민간 차원의 상봉도 2000~2007년 169~677명에서 2012년 6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따라서 현재 생존해 있는 이산가족들이 앞으로 생전에 단 한번이라도 북한의 가족을 만나려면 매년 상봉 규모를 최소한 7068명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 특히 그 가운데 70살 이상의 고령자들은 앞으로 10년 동안 매년 6225명 이상, 50~60대는 매년 590명 이상 만나야 생전에 북한의 가족들을 한번이라도 볼 수 있다.
<김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