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재단 마련... 8일 저녁 본 한인교회에서

 

평양과학기술대학교 총장인 이승률 박사 토론토 방문 보고회가 8월8일(화) 오후 7시30분 본 한인교회(담임 고영민 목사: 200 Racco Parkway, Thornhill L4J 8X9) 벧엘예배실에서 열렸다.

캐나다 동북아 교육문화협력재단(이사장 한석현 목사) 주최로 열린 이날 보고회는 이 총장이 현재 유엔 제재와 얼어붙은 남북관계 등으로 답보상태인 평양과기대 학사운영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강의 재개와 캐나다 교수진 충원 및 방북일정, 일부 교사 건축마무리 등 대학운영 전망에 대해 참석자들과 의견을 교환하며 캐나다 동포들의 관심과 협력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입북 항공편이 재개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 총장은 평양과기대 운영 정상화를 염두에 두고 북미 지역 등 각지를 돌며 지원그룹과 해외 한인동포들을 만나고 있다.

이승률 총장은 경북 청도 출신으로, 동국대 철학과와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이후 연변대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을 수학하고 베이징 중앙민족대학에서 민족학계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베이징대 동북아연구소 객원연구원, 한민족공동체 네트워크 연우포럼 회장, 동북아공동체연구회 이사장을 맡는 등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동북아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연변과기대 대외부총장과 평양과기대 건축위원장 및 대외부총장을 거쳐 지난 2021년 3월 평양과기대 3대 총장으로 선임되었다. 주요 저서는 ‘야망과 구원’‘누가 이 시대를 이끌 것인가?’‘동북아 시대와 조선족’‘동북아 연합의 꿈’등이 있다. < 문의: 647-208-4766, 905-881-2999 >

 

‘사랑으로 하나되는 공동체’ 주제, 김창용 목사 강사로

 

빌라델비아장로교회(담임 김치길 목사: 8 Codeco Court, North York, M3A 1A2)는 2023 전교인 가족 수양회를 8월6일~7일 1박2일간 ‘사랑으로 하나되는 공동체’라는 주제로 교회에서 가졌다. 수양회는 이틀간 김창용 목사(KAPC 카나다노회 영어목회부장, 열린교회 EM담당)의 특강과 함께 참가 교인들이 넌센스 퀴즈와 게임, BBQ 등으로 어울리며 신앙을 가다듬고 화목을 다지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6일 주일 오후 시작한 수양회는 저녁식사를 함께 한 후 강사로 초청된 김창용 목사가 고린도전서 13장 4~7절을 본문으로 ‘가정의 하나됨’ 이라는 제목으로 특강, 은혜를 나눴다. 이어 윷놀이 대항전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이틀째인 7일은 아침 식사에 이어 넌센스 퀴즈로 웃음 꽃을 피운 준비의 시간을 가진 후 김 목사의 두 번째 특강을 들었다. 김 목사는 빌립보서 4장 1~9절을 인용해 ‘교회의 하나됨’이라는 제목으로 전날 ‘가정’에 이어 교회도 하나님 안에서 한 마음 한 뜻으로 하나가 되어야 함을 역설했다. 김창용 목사는 ‘지금 내안에 기쁨이 있는지, 성도들끼리 반기고 돌보는 사귐이 있는지’ 등을 점검하며 건강한 신앙생활을 하고있나 돌아보아야 한다면서 “소통이 막히면 불통이 되고 관계에서의 기쁨이 사라진다”고 지적, 성도들끼리 항상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미안합니다’ ‘용서합니다’ ‘감사합니다’ 는 반가운 인사를 나눌 것을 권면했다.

이날 점심은 맛있는 BBQ 식사를 나누고, 교구대항 피구대회와 다양한 게임으로 격의없는 친교시간을 가진 후 폐회예배를 드리고 수양회를 마감했다. < 문의: 416-444-1716 >

 

YLT 2023 장학생 선발... 8월13일까지 신청

● 한인사회 2023. 8. 11. 11:42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YLT Scholarship Foundation, 23명에 $1,300씩

기독신앙에 뿌리를 둔 차세대 글로벌 인재 발굴과 양성을 위해 지속적인 학업 장려와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YLT 장학재단(YLT Scholarship Foundation)이 2023년 장학생을 오는 8월13일까지 신청받아 선정한다. 올해 선정예정인 장학생은 장려장학생을 포함해 모두 23명으로, 1인당 $1300씩 총2만9,900달러를 지급할 예정이다.

YLT 장학금 지급 대상은 2023년 캐나다 대학 진학예정자와 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그리고 재정적 어려움에 처한 학생 등이며 신청자 중에서 장학생과 장려장학생 포함 23명을 뽑는다.

신청은 8월13일까지 YLT 장학회 웹사이트(www.yltcanada.ca)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할 수 있으며, 제출서류는 가정환경과 신앙 및 교회활동, 전공 및 비전 등을 설명하는 자기 소개서를 비롯해, 재학증명서 혹은 대학입학증명서, 공인 성적 증명서, 그리고 추천서 2부로 그 중 모교회 담임목사 추천서 1부는 필수사항이고 출석교회 주보를 첨부해야 한다.

선발된 장학생에게는 8월31일 장학금을 수여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랑은 YLT 웹사이트, 혹은 박재현 전도사(647-286-9889)나 이메일 admin@yltcanada.ca로 문의하면 된다.

 

트뤼도, 아내 소피와 18년 결혼생활 접고 이혼

● CANADA 2023. 8. 3. 12:04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2일 인스타그램 통해 공식화"깊은 사랑과 존경 남을것"

"부모 이혼 아픔 겪은 트뤼도, 평소 가족 중요성 강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51)가 18년간의 결혼 생활을 접고 이혼했다.

트뤼도 총리는 2일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린 글에서 "의미 있고 힘들었던 많은 대화를 거쳐 아내 소피와 저는 이혼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트뤼도 총리는 "항상 그랬던 것처럼 우리는 서로를 위해 그리고 그동안 함께 만들고 또 만들어 나갈 모든 것들을 위해 깊은 사랑과 존경을 가진 채 남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녀들의 안녕을 위해 사생활을 존중해 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다.

트뤼도 총리는 동생의 같은 반 친구인 트뤼도 여사(48)를 어려서부터 알고 지내다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교제했고, 이후 2005년 결혼해 슬하에 2남 1녀를 뒀다.

트뤼도 부부는 이전부터 부부 관계가 좋지 않다는 점을 대외적으로 굳이 숨기지 않아 왔다. 최근 몇 년 새 총리 부부가 공개 석상에 함께 나서는 경우도 드물어졌다.

트뤼도 총리는 2015년 펴낸 자서전('Common Ground')에서 "우리의 결혼은 완벽하지 않고 어려운 기복(ups and downs)이 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성평등에 관심을 쏟아온 트뤼도 여사는 결혼 전 기자로 일했으며, 트뤼도 총리가 2015년 43세의 젊은 나이로 총리가 됐을 때 남편과 함께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뉴욕포스트는 그녀를 "세계에서 가장 핫한 영부인"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녀는 작년 결혼기념일에 "우리는 맑은 날들과 폭풍우들, 그리고 그 사이 모든 것을 헤쳐왔고 끝나지 않았다. 장기적 관계는 여러 면에서 매우 어렵다"는 내용의 글을 소셜미디어(SNS)에 올리기도 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캐나다 총리실은 트뤼도 부부가 이혼 서류에 서명을 마쳤으며 부부 모두 자녀 양육에 각별한 관심을 두고 있다고 전했다. 트뤼도 총리 가족은 내주 함께 휴가를 갈 예정이다.

트뤼도 여사는 오타와 내 다른 숙소로 거처를 옮길 예정이지만 자녀 양육을 위해 총리 관저 '리도 코티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낼 계획이라고 사안에 정통한 익명의 소식통이 로이터에 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트뤼도 총리는 지난달 31일까지도 여전히 결혼반지를 끼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트뤼도 총리의 아버지인 피에르 트뤼도는 1968∼1979년, 1980∼1984년 무려 17년 동안 총리를 지내며 캐나다 정치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로이터는 부친인 피에르 트뤼도도 현직 총리 시절이던 1977년 이혼했던 점을 거론, 트뤼도 총리로선 2대째 고통스러운 가정사가 되풀이됐다고 짚었다.

부모의 이혼이라는 아픔을 겪은 트뤼도 총리는 공직에 올라서도 가족의 중요성을 자주 강조해왔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트뤼도 총리의 이혼 발표는 대규모 개각을 발표한 지 일주일 만에 나온 것이다.

트뤼도 총리는 지난달 26일 38개 부처 중 30개 부처 장관을 교체하는 개각을 단행했다. 이번 개각을 두고 여론 조사에서 고전하는 상황에서 2025년 총선에 대비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