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스크 진공의 역사
지난 11일 우크라이나 수미 지역의 러시아 국경 근처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공격이 계속되는 가운데, 장갑차에 탑승해 있는 우크라이나 군인들의 모습. 로이터 [연합]
2차 세계대전 당시 히틀러 군대
스탈린그라드 참패 뒤 반격 거점
서부전선 전력 차출해 몰락 가속
우크라, 기존 전선마저 붕괴 우려
우크라이나가 지난 6일 전격적으로 국경을 넘어 진공한 러시아 서남부 도시 쿠르스크는 제2차 세계대전의 승패에 쐐기를 박은 곳이다. 쿠르스크가 우크라이나 전쟁의 양상을 결정한 곳으로 다시 떠올랐다. 2차 대전 때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참패해 수세로 몰린 나치 독일은 1943년 7월 당시 소련의 쿠르스크에서 반격을 시도했으나 다시 참패했다. 사상 최대의 기갑전인 쿠르스크 전투에서 독일은 탱크 등 대부분 전력을 쏟아부었으나 소모하면서 재기 불능에 빠졌다. 우크라이나의 이번 쿠르스크 침공 작전은 당시를 연상케 하는 기시감을 준다.
아돌프 히틀러는 스탈린그라드 패전 뒤 자국민과 동맹국에 나치 독일이 여전히 건재하고 전쟁 수행 능력이 있다는 걸 보여주길 원했다. 이미 동부전선 전역에서 밀리는 독일군의 수세를 반전시키려고 선택한 곳이 쿠르스크였다. 나치 독일은 2차 대전 초기 때 막강한 기갑전력과 대규모 공군력을 앞세운 ‘전격전’으로 승승장구했으나, 스탈린그라드의 시가전에서는 맥을 못 추었다. 쿠르스크는 평원 지대이다. 그래서 히틀러는 이곳에서 탱크 등 기갑 화력을 집중해 소련의 전선을 돌파해 무너뜨리려 했다.
우크라이나의 승부수 통할까
당시 쿠르스크 일대 전선은 소련이 서쪽으로 삐죽이 밀고 나온 모양새여서 방어에 취약한 형태였다. 독일 최고 지휘부는 북쪽과 남쪽에서 공격해, 서쪽으로 돌출한 전선에 있던 소련군을 고립시키려 했다. 독일의 장군들은 이 작전에 반대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후 소련에 병력과 자원에서 밀리는 만큼 ‘전략적 방어전’을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병력과 자원이 우세한 소련군에 소모전에서 말려든다면 전투에서 이겨도 전략적 승리가 담보되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히틀러는 프랑스 등 서부전선에 있던 병력과 자원까지 끌어들여 쿠르스크에 투입했다. 1943년 7월5일 ‘성채작전’이라는 작전명으로 시작된 독일의 공세는 일주일 만인 12일에 ‘쿠투조프 작전’으로 시작된 소련의 ‘쿠르스크 전략공세’에 봉착하며 급속히 위력을 상실했다.
앞서 쿠르스크 전투가 시작된 지 나흘 만인 7월9일 연합군은 이탈리아 남부 시칠리아섬에 상륙했다. 히틀러는 쿠르스크 전투 일주일 만에 공세를 취소하고는, 병력을 이탈리아로 재파견해야만 했다. 소련의 반격 앞에 독일군에 남아 있던 정예 기갑병력은 속절없이 무너졌다. 독일은 쿠르스크 전투를 하려고 서부전선의 전력을 돌렸다가 서부와 동부 전선 모두가 무너졌다. 쿠르스크에서 독일은 약 40만명 안팎의 사상자를 냈고, 약 1천대의 탱크와 700여대의 전투기를 잃었다. 소련은 그보다도 더 많은 손실을 봤지만, 전시 경제체제가 확장되면서 피해를 극복할 수 있었다. 만약 독일이 쿠르스크 전투를 벌이지 않고 전략적 방어를 취했다면 소련의 진군은 상당히 지체됐을 것이다. 소련의 베를린 점령이나, 2차 대전 뒤 동구권의 사회주의화도 불가능했을 수도 있다.
2022년 2월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은 그해 11월부터 러시아의 ‘점령지 굳히기’로 들어갔다. 러시아는 동·남부 전선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전략적 방어전으로 서방의 지원을 업은 우크라이나의 반격을 막아낸 뒤 올해 초부터는 재반격에 나섰다. 러시아는 기본적으로 소모전을 벌였고, 우크라이나는 이에 말려들었다. 우크라이나는 올해 초부터 기존 전선에서 밀리고 성과를 올릴 가능성이 없자 쿠르스크 진공 작전이라는 극약 처방을 했다.
기존 전선에 있던 정예 병력을 빼내 쿠르스크 작전에 투입했다. 이미 가망이 없어진 기존 전선에서 더 손실을 입더라도, 러시아 영토를 점령해 지렛대로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자국군이 진공한 지역을 “완충지대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이 작전이 성공하려면 쿠르스크로 진격한 지역을 ‘점령지’로 굳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러시아의 반격을 막을 추가적인 병력과 자원이 투입돼야 한다. 무엇보다도 제공권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공군력에서 압도적 우위인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로 진입한 통로인 수미 지역을 맹렬히 폭격하고 있다. 쿠르스크로 진격한 우크라이나군이 고립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무엇보다도 도네츠크를 비롯한 우크라이나의 동부 등 모든 전선에서 러시아의 공세가 격화되고 진공이 빨라지고 있다.
러, ‘소모전’으로 승기 굳히기?
미국의 군사·전략 평론지인 ‘리스폰서블 스테이트크래프트’는 지난 15일 전문가 10명에게 우크라이나의 쿠르스크 작전에 대해 물었다. 10명 모두가 ‘우크라이나에 전술적, 전략적으로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중 1명만이 ‘심리적 차원에서 서방의 관심’을 유리한 점으로 들었다.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이번 작전이 가져올 우크라이나의 전력 소모, 기존 전선의 붕괴, 러시아의 태도 강경화 등을 우려했다. 독일의 쿠르스크 전투처럼, 우크라이나도 쿠르스크에서 전력을 소모하고 기존 국내전선도 붕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서방의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에 비판적인 입장으로 유명한 존 미어샤이머 미국 시카고대 교수의 말을 들어보자.
“우크라이나의 (쿠르스크) 침공은 패전을 가속화할 큰 전략적 실책이다. 소모전에서 성공의 결정 요인은 영토 점령이 아니라 사상자 등 손실 비율인데, 서방은 이를 간과한다. 쿠르스크에서 손실 비율은 러시아에 두가지 점에서 결정적으로 유리하다. 첫째, 우크라이나군은 거의 방어가 없는 영토를 쳐들어갔기에 러시아도 사상자가 없었다. 둘째, 러시아는 신속히 공격으로 전환해 압도적 공군력을 동원해, 노출되고 타격하기 쉬운 우크라이나군을 공격하고 있다. 문제를 더 악화시키는 것은 우크라이나가 동부전선에서 절실히 필요한 최정예 병력을 차출한 것이다. 이는 중요한 전선에서 이미 균형이 기운 손실 비율을 러시아 쪽으로 더 유리하게 만들고 있다. 쿠르스크 침공이 얼마나 멍청한 생각이었는지를 고려하면, 러시아가 (오히려 이번 침공에) 충격을 받았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이미 전세가 기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쿠르스크 전투가 줄 영향은 막대할 것이 분명하다. < 한겨레 정의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