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요 원작 성모 마리아의 복제화가 훼손된 모습.

        

스페인서 무리요 원작 복제화, 가구 복원가에 훼손돼

2012년 예수 벽화·2018년 성인 목각상 이어 아찔한 사고

      

스페인에서 성모 마리아를 그린 명화 복제화가 어설픈 복원 작업으로 훼손되면서 미술계를 충격에 빠뜨렸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이 2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 발렌시아가 지역의 한 미술품 수집가는 바로크 회화 거장인 무리요의 성모 마리아 그림의 복제화를 소장하다가 이를 손보는 과정에서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수집가는 한 가구 복원가에게 복제화의 세척 및 복원을 맡겼다가 그림 속 성모 마리아의 얼굴이 "완전히 못 알아볼" 지경이 됐다는 것이다.

이 수집가는 다른 전문가를 고용해 수습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스페인예술품보존협회(ACRE) 관계자는 명화 복원 자격의 엄격한 관리를 촉구했다고 NYT는 전했다.

복원 과정에서 훼손된 스페인의 예수 벽화

이 그림의 원본을 소장 중인 마드리드 소재 프라도 미술관은 이와 관련한 언급을 내놓지 않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비전문가에게 맡겨진 명작이 졸지에 졸작이 되는 게 드문 일이 아니다.

앞서 2012년 보르하시에서는 100년 된 예수 벽화가 80대 신도의 손에 맡겨졌다가 원숭이를 연상시키는 형상이 되는 수모를 겪었다.

2018년 에스텔라시에서는 16세기 제작된 성() 조지 나무 조각상이 원작과 달리 알록달록한 색으로 복원되면서 미술계를 충격에 빠트렸다.


1951~53년 휴전협상 때 유엔군 통역관 문익환 목사가 찍은 사진. 미군 헌병이 회담장에서 유엔기와 북한 인공기의 크기를 비교해 보이고 있다.

         

휴전협상 때 유엔군 통역관으로 참관

통일의집, 오는 9월말까지 땅의 평화

        

민주화와 통일운동에 헌신한 늦봄 문익환(1918~94) 목사가 한국전쟁 때 직접 찍은 사진과 부인 박용길(1919~2011) 장로와 주고받은 편지 등을 처음 선보이는 전시회가 차려졌다. 서울 수유동 문익환 통일의 집에서 지난 1일부터 한국전쟁 70돌 기념전 <땅의 평화>를 열고 있다.

만주 명동촌에서 월남한 반공 기독교인 집안 출신인 문익환은 미국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유학중 한국전쟁이 터지자 도쿄의 맥아더 사령부에서 통역관으로 복무했다. 1951~53년 휴전협상 때 유엔군쪽 통역을 맡아 한반도가 3·8선에 이어 휴전선으로 분단되는 역사적 과정을 지켜봤다.

전시장에 처음 나온 컬러 슬라이드 사진은 통역관 시절 직접 찍은 것들이다. 휴전협상이 진행된 판문점 회담장과 유엔군·북한군 장성들, 서로 크기 키우기 경쟁을 벌였던 회담장의 인공기와 유엔기, 도쿄에서 비행기를 타고 판문점에 가던 중 기내 창 밖으로 찍은 군용기 비행 장면, 헬기를 타고 판문점에 내리는 문익환의 모습 등 색다른 구도의 사진이 여럿 나왔다.

헬기로 판문점에 내리는 휴전협정 통역관 시절의 문익환.

따로 떨어져 피난 생활을 하던 부인과 평화에 대한 염원을 교감하면서 주고받았던 편지들과 박 장로의 육아 일기, 문익환의 평화 사상이 잘 드러난 1982년 작 옥중시 평화를 정서한 카드 등도 볼 수 있다. 통일의 집 쪽은 전쟁의 체험이 1989년 방북을 결행한 문익환의 평화 통일 사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전시를 기획했다출품된 사진과 편지들은 전쟁의 고뇌 속에서 일상을 지키고자 했던 절절한 흔적이 엿보이는 기록들이라고 밝혔다.

전시는 930일까지. (02)902-1623. < 노형석 기자 >


                      

선수노조 60경기 안 거부하자 맨프레드 커미셔너 직권으로 개막

37% 경기만연봉도 37%만 지급, 선수들 보이콧 선언하면 불발

      

사무국과 선수노조의 대립으로 파행으로 치닫던 메이저리그(MLB)가 드디어 정규리그 막을 올리게 됐다.

MLB는 누리집 등을 통해 723일 또는 24일에 메이저리그가 시작할 예정이라고 24일 발표했다. 롭 맨프레드 MLB 커미셔너는 시즌이 열린다는 것을 발표하게 돼 무척 기쁘다. 선수노조에 팀당 60경기 일정을 건넸다고 밝혔다.

맨프레드 커미셔너 직권으로 리그 개막은 강행되지만, 사무국과 선수노조는 여전히 연봉과 관련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다. 이 때문에 일부 선수들이 보이콧을 선언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 사무국 안에 따르면 평소 리그의 37%에 해당하는 경기만 치르게 되므로 선수들도 연봉의 37%만 받게 된다.

일단 개막을 하게 되면, 미국은 대만(4), 한국(5), 일본(6)에 이어 4번째로 2020년 정규리그의 막을 올리게 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지각 개막이다.

사무국과 구단의 계획에 따르면 올 시즌엔 팀당 60경기만을 치른다. 선수들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대 리그를 구분하지 않고 같은 지구 팀끼리만 경기를 치른다. 예를 들면, 아메리칸리그 동부지구에 속한 류현진(33·토론토)과 최지만(29·탬파베이)은 같은 리그의 동부지구 팀, 내셔널리그의 동부지구 5개 팀하고만 대결을 벌인다. 추신수(38·텍사스)는 서부지구팀, 김광현(32·세인트루이스)은 중부지구팀끼리만 맞붙는다.

대부분의 구단은 내달 2일 홈구장에 모여 정규리그를 대비한 2차 스프링캠프를 차릴 예정이다. 경기 일정과 포스트시즌 진행 방식 등은 추후 발표된다. < 이정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