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 시위 과정에서 위기에 처한 백인 브린 메일(55)이 흑인 트레이너 패트릭 허친슨에 의해 구조되고 있다.

             

인종차별 맞불시위 참여했다 위험 처해

거친 응원유명한 밀월FC 팬클럽 회원

동료 영국의 애국자흑인에 고마워해

        

영국 인종차별 반대 시위 과정에서 흑인 트레이너에 의해 구조된 백인은 전직 경찰 출신인 것으로 밝혀졌다.

18(현지) <가디언> 등 보도를 보면, 지난 13일 영국 런던 시위 과정에서 흑인 트레이너 패트릭 허친슨에 의해 구조된 백인은 런던에서 교통경찰, 형사 등으로 일했던 브린 메일(55)이었다. 당시 인종차별 반대 시위에 참여한 한 흑인이 위기에 처한 백인을 구하는 사진이 <로이터통신>을 통해 보도되면서 큰 관심을 모았고, 흑인의 정체는 금방 밝혀졌으나 백인이 누군지는 알려지지 않았었다.

2014년 경찰을 은퇴해 현재 햄프셔에 살면서 배달 기사로 일하는 메일은 언론을 통해 인종차별 반대 시위자들이 동상 등에 낙서를 한 것을 보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런던으로 가게 됐다고 한다. 인종차별 반대 시위에 대한 맞불시위에 참가한 것이다.

메일은 당시 시위 과정에서 홀로 떨어져 인종차별 반대 시위자들로부터 폭행을 당하는 등 위기에 처했고, 흑인 트레이너인 허친슨이 그를 어깨에 메고 옮겨 위험에서 벗어났다.

메일은 영국에서 거친 팬 문화로 유명한 축구팀 밀월 에프시(FC) 팬클럽의 회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밀월 에프시 팬들은 지난 2017년 토트넘과의 경기에서 손흥민 선수에게 인종차별적 응원가를 불러 논란이 되기도 했다. 메일의 동료는 “(메일은) 영국의 애국자라고 말했다.

메일은 자신을 구해준 허친슨에게 감사를 표하고 싶어하지만, 아직 이에 대한 공식 언급은 하지 않았다. < 최현준 기자 >

 


미국 워싱턴 연방 대법원 앞에서 18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체류 청소년 추방유예 제도’(DACA·다카)를 폐지할 수 없다는 연방 대법원의 판결을 환영하는 시민들이 여기가 집이라고 적힌 펼침막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불법체류 청소년 추방유예 제도폐지에 절차상 문제 지적

트럼프 끔찍하다곧 새 보수성향 대법관 발표강력 반발

 

미국 연방 대법원이 18불법체류 청소년 추방유예 제도’(DACA·다카)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폐지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끔찍한 결정이라며 반발했다.

대법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가 임의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것이었다며 다카를 폐지해서는 안 된다고 판결했다. 대법원은 이날 우리는 다카의 폐지가 건전한 정책인지 아닌지는 결정하지 않는다우리는 조치에 대한 합당한 설명 제공 등 절차상 요건을 준수했는지를 다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법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다카 수혜자들에게 관용을 베풀지, 그들의 어려움에 대해 무엇을 할지 등을 고려하지 못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가 임의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대법원은 다카 폐지 방침이 절차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셈이다.

이날 판결은 대법관 54의 결정으로 이뤄졌다. 현재 미국 대법원의 이념구도는 보수 5, 진보 4명으로 평가되는데, 보수주의자인 존 로버츠 대법원장이 다카 폐지에 반대표를 던지면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다카는 불법 입국한 부모를 따라 미국으로 들어온 청년들이 강제 추방에 대한 걱정 없이 학교와 직장에 다닐 수 있도록 하는 행정 명령이다. 2012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때 도입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20179월 다카 행정 명령을 폐지하겠다고 밝히면서 법정 다툼이 시작됐다.

드리머로 불리는 다카 수혜자는 190개국의 약 65만명에 이르고 있다. 이번 판결이 트럼프 행정부의 다카 폐지 재추진을 막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11월 대선 전에 다카를 폐지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카 폐지가 안 된다는 연방 대법원의 결정에 끔찍하다“ “우리는 새로운 대법관들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다카에 대해 정치적 해결이 아니라 법치에 부합하는 법적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다하지만 대법원은 이를 제공하려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다른 트위트에서 나는 91일까지 이미 목록에 오른 일부 또는 다수의 후보를 포함한 새로운 보수 성향 대법관 후보자들의 명단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 김소연 기자 >

 


코로나19로 메이저리그 개막이 늦어지면서 사용이 중지된 시애틀 매리너스 구장.

            

사무국 60경기안 대신, 70경기로 치르자

MLB 사무국이 받으면 극적으로 개막 성사

       

구단과 선수 사이의 갈등으로 7월 개막 여부가 불투명하던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 희망의 싹이 조금 보이기 시작했다. 애초 구단 쪽에서 제시한 경기수 축소 방침을 완강하게 거부했던 선수노조가 중재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선수노조가 롭 맨프레드 메이저리그 커미셔너가 제안한 60경기 일정을 거부했지만, 이보다 10경기 많은 70경기 일정으로 새 시즌을 치르자는 새로운 안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이 제시한 60경기 안에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지만, 협상의 끈을 완전히 놓지 않도록 또 다른 제안을 한 셈이라 사무국 쪽이 이를 받아들이면 극적으로 개막이 성사될 수 있는 상황이 됐다.

이 보도는 선수노조의 의견이 관철될 경우 선수들은 27500만달러(33326억원)의 추가 수입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연봉 삭감에 민감한 선수들도 받아 들일 수 있는 안이라는 내용을 덧붙였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올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개막이 늦어지자, 경기수를 줄이고 그만큼 연봉을 깎는 안을 제시했고, 선수 노조는 이에 대해 반발을 해온 상태였다.

선수노조의 새로운 안을 메이저리그 사무국이 받을지는 미지수다. 맨프레드 커미셔너가 “70경기 일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문제는 역시 이다. 늘어나는 경기가 10경기에 불과하지만, 연봉 지급이 60경기 148천만달러에서, 173천만달러로 25천만달러나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그동안 사무국의 안 자체를 거부했던 선수노조가 중재안을 제시한만큼, 극적인 타결도 배제할 수없는 상황이 됐다. < 이정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