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주 천체관측소에서 세계최대 망원경 프로젝트를 밝히는 하퍼총리.


하퍼 총리 “캐나다 등 5개국 주도 공동제작”

캐나다가 세계 최대 천체 관측용 망원경 프로젝트인 ‘30m 망원경’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 2억4천여만 달러를 출연키로 했다고 스티븐 하퍼 총리가 7일 밝혔다.
미국 하와이의 마우나 키아 화산 정상에 설치될 이 15억달러의 망원경은 미국, 일본, 인도, 중국, 캐나다 등 5개국이 참여해 오는 2023년 제작과 설치를 완료하고 본격 운용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망원경은 직경이 30m로 완성될 경우 천체 관측용으로 지구상에 설치되는 망원경으로 세계 최대 규모가 된다. 현재 최대 규모 망원경은 스페인의 카나리 제도에 설치돼 있는 그랜 카나리 망원경으로 직경이 10.4m다.
캐나다는 BC주의 포트코퀴틀람 소재 다이내믹 스트럭처 사가 설계와 조립, 설치를 맡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캐나다 지원금의 대부분은 자국 내 기업으로 투입될 예정이라고 하퍼 총리는 밝혔다.



정부의 특별법 시행령 폐기와 진상규명, 선체인양 등을 주장하며 삭발하는 희생자 어머니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세월호 참사 1년이 다가오며 봄이 오고 꽃이 들과 산에 흐드러지게 피지만 유가족들의 복장은 아직도 겨울에 머물러 있다. 옷뿐만 아니라 마음도 아직 녹지 못하고 있다.
부활절인 4월5일 광화문광장에서는 ‘고난받는 이들과 함께하는 2015 부활절 연합 예배’가 열려 세월호 참사 유족과 실종자를 포함해 5백여명의 성도들이 참석해 예배를 드리고 한국교회와 함께 세월호의 진상이 밝혀지고 유가족들의 억울함이 풀릴 때까지 곁에 머물며 기도할 것이며 유가족들과 함께할 것을 약속한다는 결의문도 채택했다.
앞서 성금요일인 3일에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주관해 세월호 침몰 해역에서 일부 기독교 유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선상예배를 드렸다.


한편 희생자 가족들은 참사 1주기가 되는 16일까지 광화문 광장에서 ‘416시간 연속 농성’에 들어갔다. 가족들의 뜻은 한결 같이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 폐기, 온전한 선체 인양, 진상 규명’이었다. 김영호씨는 “시행령이 폐기되고 해상사고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도 철저하게 조사를 해서 좀 더 안전한 나라를 만들어야 우리 아이들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들이 ‘그만 하라’라는 말만 안했으면 좋겠다 가장 가슴 아픈 소리다. 그냥 힘내세요 한마디만 해주세요”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2일에는 광화문광장에서 48명, 팽목항에서 4명, 모두 52명이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 폐기와 선체 인양, 진상 규명 및 선체 인양을 공식 선언할 때까지 모든 배상 및 보상 절차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며 단체로 삭발했다.


가족 150여명은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참사 1주기 이전에 해야 할 일은 선체 인양을 통한 실종자 완전 수습과 철저한 진상규명이지 배상과 보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전날 정부가 희생 학생 1인당 8억원이 지급된다는 배·보상 지급 기준을 발표한 것을 두고는 “희생자·피해자 가족들을 돈으로 능욕한 정부를 규탄한다. 배·보상 절차를 전면 중단하라”고 했다. 이들은 정부의 배·보상금 발표가 “시행령안 폐기 여론을 잠재우는 한편, 유가족들이 돈 몇푼 더 받아내려고 농성하는 것으로 호도하려는 의도가 분명하다. 정부 행태에 분노한다”고 했다.
< 김명진 기자 >



9일 오후 북한산에서 자살을 한 성완종 경남기업 전 회장의 주검을 경찰이 병원으로 옮기고 있다.


어제 주검 검시 때 바지 주머니에서 발견… 모두 55 글자
김기춘·허태열 전 실장은 액수도 경향신문 보도와 일치


고 성완종 경남기업 전 회장이 정치권에 금품을 뿌린 정황이 담긴 메모를 검찰이 확보했다. 이 메모에는 김기춘·허태열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 6명의 이름과 금액이 적혀 있으며, 이 중 한 명은 날짜까지 쓰여 있다.

10일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임관혁 부장검사)에 따르면, 전날 성 전 회장의 주검을 검시하다가 바지 주머니에서 발견됐다. 메모에 적힌 글자는 모두 55자이다.

김기춘 전 실장과 허태열 전 실장의 경우 전달했다는 금액도 경향신문이 10일 아침 보도한 내용과 같다. 경향신문은 “성 전 회장이 9일 새벽 서울 청담동 자택을 나온 직후 오전 6시부터 50분 동안 전화 인터뷰에서 ‘자신이 김 전 실장과 허 전 실장에게 각각 미화 10만 달러(약 1억원), 현금 7억원을 전달했다’고 폭로했다”고 전했다.

검찰은 메모의 글씨가 성 전 회장의 필적이 맞는지 감정을 하는 한편, 장례절차가 끝나는 대로 유족과 경남기업에 관련 자료를 요청할 방침이다.

앞서 성 전 회장은 9일 “억울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긴 뒤 북한산 형제봉 매표소 인근에서 목을 매 자살했다.

<정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