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CA 동노회 67회 정기노회 마쳐

● 교회소식 2015. 9. 25. 15:55 Posted by SisaHan

개회예배에서 석대호 노회장의 설교를 경청하는 참석자들.


킹스턴교회서
서울서노회, 다음세대 기금 전달

해외한인장로회(KPCA) 캐나다 동노회(노회장 석대호 옥빌한인교회 담임목사)가 제67회 정기노회를 9월21일~22일 킹스턴 한인교회(담임 황성광 목사)에서 노회 소속 35개 교회 목회자와 장로, 파송선교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21일 오후 7시에 드린 개회예배는 서기 김희수 목사(큰무리교회 담임)의 사회로 장로 부노회장인 박동호 장로(우리장로교회)의 기도에 이어 노회장 석대호 목사가 에베소서 3장 7~11절을 본문으로 ‘하나님의 경륜’이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선포했다. 이어 성찬식이 황성광 목사의 집례로 진행됐으며, 직전 노회장 고승록 목사(참좋은 복된교회 담임)의 축도로 마쳤다.
이어 성노회에 들어가 참석자들은 회무처리에 앞서 북한에 억류중인 임현수 목사(큰빛교회 담임)의 빠른 귀환과 가정과 가족의 안위, 그리고 교회를 위한 통성기도회를 가졌다.


22일 오전까지 열린 정기노회는 지난 봄노회애서 결정된 헌의안에 대한 행사보고와 함께 밀알교회 장로·안수집사·권사 등 장립과 임직을 허락하는 등 각 교회 증원청원을 비롯한 회무안건들을 처리하고 노회산하 교회들의 연합과 교제의 시간 및 경건회를 가진 뒤 폐회했다.
한편 이번 노회에는 자매노회인 서울 서노회 노회장 유경호 목사와 이치성 장로가 친선방문, 두 노회간 유대를 돈독히 하고 특히 동노회에 다음 세대를 위한 기금을 헌금해 훈훈한 정이 오갔다.


< 문의: 416-737-4007 >



평화의날 묵념

● WORLD 2015. 9. 25. 15:43 Posted by SisaHan


반기문(앞쪽) 유엔 사무총장이 21일「세계 평화의 날」을 맞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행사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유엔은 1981년 세계 평화의 날을 제정하고 2001년부터 9월21일로 정했다.



무례·고압적 직장상사가 회사망쳐

● 토픽 2015. 9. 25. 14:31 Posted by SisaHan


‘막말하는 사람 유능’은 잘못된 통념
개인·조직 경쟁력·생산성 떨어뜨려

다른 사람의 말을 중간에 자르고 세상만사에 자신의 견해가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직장 상사. 이처럼 고압적이고 이기적이며 무례한 직장 상사는 개인과 조직의 경쟁력을 깎아버리는 암적 요소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타운대학 경영전문대학원의 크리스틴 포라스 교수는 최근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미국에서 직장내 상사의 막말 등 고압적이고 무례한 행위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밝혔다. 포라스 교수는 지난 20여년간 17개 업종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장내 개인들의 언행과 무례함을 연구한 결과, 1998년에는 25% 정도가 일주일에 최소 한 번 정도 무례한 행위를 접했다고 밝혔으나, 2011년에는 50% 이상으로 배 이상 늘었다고 말했다.
직장상사들의 대표적인 무례함 또는 고압적 태도로는 사람들의 말을 자르거나 개인들의 결함이나 특질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거나 놀리는 행위, 조직내 위계질서를 끊임없이 상기시켜주는 행위, 조직원들의 업적을 가로채는 행위 등이 꼽혔다. 이런 경우 부하 직원들은 협업과 아이디어 공유를 중단하고, 소극적으로 변하게 된다.


의료인 4천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보면 71%가 막말과 폭언, 고압적인 행동이 의료사고로 연결된 적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27%는 상사들의 고압적이고 무례한 행동이 환자 사망으로 이어졌다고 털어놨다.
고압적인 무례함은 생산성도 떨어뜨렸다. 퍼즐 맞추기와 아이디어 내기 등에서 폭언과 무시를 당한 시험군은 폭언을 듣지 않은 대조군보다 30% 이상 더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그럼에도 무례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행동에 대한 자각 증상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자신도 부하일 때 그런 대우를 당한 터라 상사가 되면 당연히 그렇게 행동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심지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막말을 하는 사람은 유능하다’는 믿음까지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 설문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25%가량은 공손한 사람들은 리더십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또 답변자의 40% 정도는 스스로 일터에서 정중하게 행동하면 다른 사람들이 자신들을 함부로 다룰 것이라고 믿었다.
남가주대학 경영전문대학원 모건 맥콜 교수는 “무례해서 성공한게 아니라 무례함에도 불구하고 성공한 것”이라며 경영 실패에서 가장 흔히 드러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부하 직원들을 못살게 구는 막말 등 무례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