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2020/08'에 해당되는 글 362건
- 2020.08.15 나이아가라 골프
- 2020.08.15 [기쁨과 소망] "없이도 살 수 있는 교회"
- 2020.08.15 [한마당] 트럼프 씨, 이제 그만!
- 2020.08.15 KAPC 카나다 노회, 8월18일 전경택 전도사 목사 안수식
목회칼럼 [기쁨과 소망] “없이도
살 수 있는 교회”
본 한인교회 담임 고영민 목사
한 미국인이 프랑스 수도원에 가서 한 달을 보내기 위해서 찾아갔습니다. 이 수도원은 외부와 완전히 단절된 봉쇄 수도원이었습니다. 수도원에 도착하자 한 수도사가 나와서 미국인을 방으로 안내하고 나서 이렇게 말합니다. “여기 계시는 동안 필요한 것이 있으면 언제든지 저에게 이야기 해 주세요.”
“그러면 제가 그것 없이도 살 수 있는 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번에 코로나를 통과하면서 우리는 무엇 없이도 사는 법을 배워가고 있습니다. 출근없이 일 하는 법, 몰에 안가고 쇼핑하는 법, 약속없이 사는 법, 대면없이 만나는 법, 해외 안가고 여행하는 법, 친구 안만나고도 사는 법 등등.
특별히 한국교회 입장에서는 교회 안가고 예배 드리는 법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지난 5개월 동안 실험한 셈입니다. 한국전쟁 가운데서도 예배당 예배를 드렸던 한국교회 입장에서는 정말 경천동지할 만한 일입니다. 한국교회는 전세계에서 모이기를 가장 힘쓰는 교회입니다. 모이는 데서 에너지를 얻고 그것으로 지금까지 신앙생활을 해왔습니다. 이런 한국교회에게 비대면 온라인 예배는 참으로 당황스럽고 고통스러운 경험이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서 우리는 교회에 대해서, 우리의 신앙에 대해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지금까지 이것 없으면 신앙생활이 안된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정말 본질인 것인지에 대해서 깊은 성찰을 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한국교회는 지나치게 예배당이라는 건물 중심으로 모였습니다. 눈에 보이는 인간관계, 외적활동 중심으로 신앙생활을 해왔습니다. 하나님 자신 보다 눈에 보이는 외적인 것들에 너무 많은 초점을 둔 것이 사실입니다. 무엇보다도 정말 목숨을 걸어야 할 하나님의 나라 보다 예배에 목숨을 걸었습니다. 그것도 본질로서 예배가 아니라, 의식으로서 예배에 목숨을 걸었습니다.
어쩌면 하나님께서는 이번 코로나 사태를 통해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거리를 두고 사는 경험을 통해서 우리들을 하나님 당신께 더 가까이 오게 하시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것은 다 없어도 하나님 없이는 살 수 없는 그런 사람으로 우리를 빚어가시기 위한 계획이 아니신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성경의 초대교회는 눈에 보이는 건물도 없었습니다. 체계적인 조직도 없었습니다. 프로그램도 없었습니다. 풀 타임 교역자도 없었습니다. 그들에게 있는 것은 주님의 제자로 살아가는 삶만 있었습니다. 초대교회에게 기독교는 삶의 방식(lifestyle)이었습니다. 삶의 방식으로 그들은 거대한 로마제국 아래서 당당하게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선포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코로나 이후에 우리가 회복해야 할 교회가 바로 이런 교회가 아닐까요? 이것이 코로나 이후에 따라 가야 할 교회의 뉴 노멀(new normal)이 아닐까요? 우리 각자가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을 제대로0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고, 날마다 삶 속에서 말씀과 기도로 하나님의 친밀한 교제를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일상과 일터에서 선교적인 삶을 살아가는 성도, 이런 성도를 양성하는데 집중하고, 이를 위해서 함께 모여서 소그룹을 하고, 대예배를 드리는 교회, 이것이 우리가 나가야 할 방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코로나 사태를 통과하면서 한국교회가 없이도 사는 법을 훈련해서 좀 더 본질에 집중하는 교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그래서 모든 상황 속에서 하나님 한 분 만을 오롯이 바라보며 살아가는 교회와 성도 되기를 바랍니다.
< 고영민 목사 >
'● 교회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명된 목사 전광훈의 광란… 교계 “모범 못 보여 죄송” (0) | 2020.08.23 |
---|---|
‘친 한기총’ 한교연 “예배 강행”…방역대책에 정면 도전 (0) | 2020.08.21 |
KAPC 노회, 전경택 목사안수 임직에배 드려 (0) | 2020.08.20 |
KAPC 카나다 노회, 8월18일 전경택 전도사 목사 안수식 (0) | 2020.08.15 |
비전펠로우쉽, 8월15일 171차 북방선교 정기기도회 (0) | 2020.08.15 |
SEA미션, Jane&Finch에 사랑의 마스크 13만여장 전달..한인온정 "활짝" (0) | 2020.08.07 |
“하나님께서 팬데믹 통해 회개의 자리로 부르셨다” (0) | 2020.08.04 |
칼럼 [한마당] 트럼프 씨, 이제 그만!
트럼프 대통령이 ‘큰바위 얼굴’로 널리 알려진 미국 사우스 다코타 주의 러시모어 산 거대 얼굴상에 자신의 두상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원주민들이 신성한 산으로 여겼다는 러시모아산 얼굴상은 미국의 위인들로 추앙받는 조지 워싱턴, 토머스 제퍼슨, 에이브러햄 링컨, 시어도어 루스벨트 등 4명의 전직 대통령 얼굴이 새겨져 있다. 거기에 자신의 얼굴을 넣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8년 사우스 다코타의 크리스티 놈 주지사는 한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처음 만났을 때 "러시모어산에 내 얼굴이 새겨지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놈 지사는 그 말이 농담인 줄 알고 웃고 말았는데, 트럼프는 정말로 진지하게 말하더라는 것이다.
그 뒤 백악관의 한 참모가 주지사실에 전화해서 연방 국립공원인 러시모어 산에 다른 대통령들을 추가하는 절차가 어떻게 되느냐고 물은 적이 있다는 뉴욕타임즈 보도를 보면, ‘감히’ 자기 얼굴을 새겨넣고 싶다는 트럼프의 ‘허욕’은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말을 듣고 주지사가 웃었다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큰바위 얼굴의 반열에 들어가고 싶다는 트럼프의 꿈이 허망한 욕심인 것은 구태여 설명이 필요 없으리라고 본다.
소설가 나다니엘 호손의 ‘큰바위 얼굴’(Great Stone Face)은 중학교 교과서에도 실린 유명한 이야기다. 나중에 큰바위 얼굴로 거듭난 주인공 이름이 ‘어니스트(Honest)’다. 정직과 성실 등의 고매한 인품을 표현한다.
러시모어 산에 새겨진 인물들이 정직하고 성실했는지는 살펴봐야 하겠지만, 미국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이들인 것은 사실이다. 그들도 성인(聖人)은 아닌 이상 완벽할 수는 없었겠으나, 미국사회나 세계사에 나쁜 영향 보다는 헌신과 진보의 발자취를 남긴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들은 현직에 있을 때 자기 얼굴을 새겨 남기려 하지도 않았고, 특히 트럼프 처럼 뻔뻔하게 이기적인 언행으로 세상을 뒤흔들었다는 뒷말도 안들린다.
그런데, 우리가 지난 3년여 동안 보고 듣고 느낀 트럼프는 어떤 인물인가. 소설 큰바위 얼굴에 나오는 재력가 개더 골드(Gather Gold)나 사업가 스캐터 코퍼(Scatter Copper), 전쟁 영웅이라는 올드블러드 앤드 썬더(Old Blood And Thunder) 같은 인물들을 뒤섞어 놓은 듯, 위선과 허풍과 자기과시에 빠진 ‘동키호테’식 인물이라면 과한 혹평인가. 그의 조카가 오죽하면 ‘사이코’ 라고 책에서 까발렸을까만.
트럼프가 대통령에 오른 이후 미국 제일주의라며 외쳐대고 행한 일들은, 거의 깨뜨리고, 갈라치고, 선동으로 깔아뭉개는 일들로 사람들에게 각인되지 않았나 싶다. 맨 먼저 기후협약을 무력화시켜 지구를 살리자는 인류의 약속과 호소를 외면했다. 이란과의 핵합의를 파기해 중동을 위기에 몰아넣더니 NATO와 EU와의 전통적 협력을 무시해 반발을 샀고, 핵무기 감축을 약속한 러시아와의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연장을 회피했다. 세계 무역질서를 깨뜨리고 WTO(세계무역기구) 등 국제기구들도 뒤흔들며 중국과 무역전쟁으로 세계경제에 파장을 불렀다. 최근엔 코로나 창궐 와중에 애꿎은 세계보건기구(WHO)에 화풀이를 하며 탈퇴를 선언했다.
적극적인 북한과의 대화로 우리에게 희망을 부르기는 했으나, ‘시진핑, 아베와 함께 김정은을 좋아한다’는 속내를 드러낸 그의 대북협상은 노벨상을 노린 제스추어가 아니었는지, 냉철히 살펴 볼 일이 됐다. 멀쩡한 FTA(자유무역협정) 재협상을 강요하고 천문학적인 방위비를 요구하는 동맹무시의 행동 역시 우리에게는 엄청난 스트레스다.
미국의 일부 백인들은 환호한다지만, 그것은 세계 최강이었던 미국의 쇠락과 민주주의 선진국의 모델적 위상을 포기한 역설과 강변에 다름 아니다. 무엇보다 그가 끼친 나쁜 영향은 전세계로 파급돼 사람들의 도덕과 윤리, 가치관 마저 타락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취임 후 3년6개월 간 무려 2만 번에 달한다는 거짓말의 달인인 그의 등장과 함께 가짜뉴스가 지구촌의 유행어가 됐다. 인종과 빈부, 지역, 그리고 이민자를 차별하는 발언과 정책들로 인해 미국은 물론 세계 곳곳에서 갈등과 분열과 대립과 헐뜯기의 심화가 ‘부채질 당하는’ 형국이다.
일부 보수적 종교인들이 그의 신앙적 행동을 평가하며 지지를 표하지만, 오인도 지나친 것이다. 가령 기독교라면 사랑과 화평과 긍휼과 용서 등이 그리스도 정신 일진대, 어느 하나 어울리는 덕목을 찾을 수 없다. 어쩌면 그에게 고매한 인품이나 지도자의 덕목 운운하는 것은 우스울 뿐더러, 격에도 맞지않는 사치로 들린다.
11.3 대선이 어찌될지 모르지만, 사람들에게 스트레스와 상처를 주는 트럼프의 기행과 허욕은 단 한번의 임기로도 과하지 않을까. 거의 매일 그의 뉴스를 봐야하는 입장에서는 이제 제발 무대를 떠나 주면 좋을 것 같다.
< 김종천 편집인 >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전망대] 코로나보다 위험한 ‘방역 훼방’ 언론 (0) | 2020.08.26 |
---|---|
[칼럼] 우물에 독 퍼부은 자, 그 옆의 바람잡이들 (0) | 2020.08.25 |
[칼럼] 교회로부터 ‘거리두기’ (0) | 2020.08.24 |
[칼럼] 검찰 중립성과 노무현의 후회 (0) | 2020.08.07 |
[칼럼] ‘민주주의 허울 쓴 독재’? 라는데… (0) | 2020.08.06 |
[1500자 칼럼] 자가격리에서 해방된 모녀를 응원하며. (0) | 2020.08.01 |
[기쁨가 소망] 영원히 간직할 것들 - 송민호 목사 (0) | 2020.08.01 |
빌라델비아장로교회서 오후 6시,
빌라델비아 장로교회(담임 김치길 목사) 영어권 담당 교역자로 사역해 온 전경택 전도사(사진)가 목사 안수를 받는다.
미주 한인예수교장로회(KAPC) 캐나다 노회(노회장 박웅희 새빛교회 담임목사)는 8월18일(화) 오후 6시 빌라델비아 장로교회 본당에서 목사 임직예배를 드리고 전경택 전도사의 목사 안수식을 갖는다.
전경택 전도사는 토론토대학을 졸업(B,Com.)하고 Wycliffe College(M.Div.)에 이어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M.Div.)에서 수학했다. 밀알선교단에서 오랜 기간 사역해 오고 있으며, 열린한마음교회(현 다운스뷰교회) 영어권과 빌라델비아 장로교회 영어권 담당 교역자, 토론토 유스코스타 총무 등을 역임했다. < 문의: 647-303-0477 >
'● 교회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 한기총’ 한교연 “예배 강행”…방역대책에 정면 도전 (0) | 2020.08.21 |
---|---|
KAPC 노회, 전경택 목사안수 임직에배 드려 (0) | 2020.08.20 |
[기쁨과 소망] "없이도 살 수 있는 교회" (0) | 2020.08.15 |
비전펠로우쉽, 8월15일 171차 북방선교 정기기도회 (0) | 2020.08.15 |
SEA미션, Jane&Finch에 사랑의 마스크 13만여장 전달..한인온정 "활짝" (0) | 2020.08.07 |
“하나님께서 팬데믹 통해 회개의 자리로 부르셨다” (0) | 2020.08.04 |
서부장로교회, 이토비코에 교회개척 10월 창립에배 (0) | 202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