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 멈추지 말라모든 책임은 한교연이 지겠다

코로나 확산 진원지인 개신교계 무책임비난 일어

 

정부가 19일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 교회에 대해 비대면 온라인 예배만 허용하는 등 모든 대면 행위를 금지하는 행정조처(집합금지)를 내린 가운데, 개신교 연합기관 중 하나인 한국교회연합(한교연: 권태진 대표회장)이 소속 회원들에게 예배를 멈추지 말라는 문자를 보내 논란이 일고 있다. 교회발 코로나19 사태가 일파만파로 확산하는 가운데 당국의 방역 대책을 무력화하는 무책임한 처사라는 비난이 거세다.

20일 개신교계의 말을 종합하면, 한교연은 19일 회원들에게 한교연 긴급 공지사항이라는 제목의 문자메시지를 보내 한교연에 소속된 교단과 단체는 현 정부가 발표한 수도권 지역 교회의 예배 금지 명령을 받아들일 수 없다모든 교회는 정부 방역 지침대로 철저히 방역에 힘써야 할 것이며, 우리는 생명과 같은 예배를 멈춰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한교연은 이에 따른 모든 책임은 한교연이 함께 지겠다고 덧붙였다. 이 문자메시지는 한교연 대표회장인 권태진 목사 등의 명의로 회원들에게 발송됐다.

한교연은 개신교계 연합기관 중 하나로, 보수적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가 내홍을 겪으며 이탈 교단이 늘면서 대체기관으로 등장한 단체 중 하나다. 애초 개신교계는 진보적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와 보수적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로 양분됐으나, 한기총 내분 이후 한국교회총연합회(한교총)와 한교연이 설립된 바 있다. 두 기관 가운데 대교단들이 주로 한교총에 가입해 있고, 한교연엔 중소교단들이 가입해 있다. 한교연은 전광훈 목사가 대표회장으로 있는 한기총과 상당 부분 보조를 맞춰왔다.

한교연의 이번 메시지를 둘러싸고 교계에서조차 정부 방역 대책을 무시하는 처사이며, 코로나19 확산의 진원지로 떠올라 국민의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으면서도 반성하지 않는 교회의 무책임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해명을 듣기 위해 한교연 대표인 권 목사와 사무총장 최기수 목사에게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한편, 한교연과 함께 대표적인 보수 기독교 교단 연합단체인 한교총은 전광훈 목사 주도의 광화문 태극기 집회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수 발생한 것과 관련해 18일 대표회장 명의의 대국민 사과를 한 데 이어 19일 서울 한국교회 100주년 기념관에서 소속 교단장들이 전광훈 목사의 정치적 행보에 대해 지지하지 않는다는 뜻을 밝혔다. < 조현 기자 >

 


임직 전경택 목사 "하나님의 충성된 종으로 사명 감당" 다짐

 

미주 한인예수교장로회(KAPC) 카나다 노회(노회장 박웅희 새빛교회 담임목사)가 주관한 목사임직 예배가 818일 빌라델비아 장로교회(담임 김치길 목사)에서 열려 전경택 전도사가 안수를 받고 목사로 임직했다.

이날 오후 6시에 드린 임직예배는 노회 부서기인 김혁기 목사(사랑의 교회 담임) 사회로 이의만 장로(빌라델비아 교회)가 대표 기도하고 노회장 박웅희 목사가 디모데 후서 21~6절을 본문으로 어떻게 사명을 감당할 수 있는가?’라는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어진 임직식은 박웅희 노회장 인도로 서약과 안수기도, 악수례, 성의 착의, 그리고 전경택 전도사가 목사로 임직했음을 공포하고 안수증서를 수여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임직을 축하하는 축사는 부노회장인 정창송 목사(밀톤 한인장로교회 담임)가 했고, 권면은 전경택 목사가 영어권 담당 교역자로 사역해 온 빌라델비아 교회 김치길 목사가 말씀을 전했다.

전경택 목사는 답사를 통해 하나님의 충성되고 선하고 의로운 종으로 사명을 다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임을 다짐했다. 이날 임직예배는 참석자들이 323부름받아 나선 이 몸찬송을 기립해 합창하고 전 목사가 축도함으로 마쳤다.

전경택(David Jeon) 목사는 토론토대학을 졸업(B,Com.)하고 Wycliffe College(M.Div.)에 이어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M.Div.)에서 수학했다. 밀알선교단에서 오랜 기간 사역해 오고 있으며, 열린한마음교회(현 다운스뷰교회) 영어권과 빌라델비아 장로교회 영어권 담당 교역자, 토론토 유스코스타 총무 등을 역임했다. < 문의: 647-303-0477 >



목회칼럼 [기쁨과 소망] 없이도 살 수 있는 교회           

본 한인교회 담임 고영민 목사

한 미국인이 프랑스 수도원에 가서 한 달을 보내기 위해서 찾아갔습니다. 이 수도원은 외부와 완전히 단절된 봉쇄 수도원이었습니다. 수도원에 도착하자 한 수도사가 나와서 미국인을 방으로 안내하고 나서 이렇게 말합니다. “여기 계시는 동안 필요한 것이 있으면 언제든지 저에게 이야기 해 주세요.”

“그러면 제가 그것 없이도 살 수 있는 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번에 코로나를 통과하면서 우리는 무엇 없이도 사는 법을 배워가고 있습니다. 출근없이 일 하는 법, 몰에 안가고 쇼핑하는 법, 약속없이 사는 법, 대면없이 만나는 법, 해외 안가고 여행하는 법, 친구 안만나고도 사는 법 등등.

특별히 한국교회 입장에서는 교회 안가고 예배 드리는 법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지난 5개월 동안 실험한 셈입니다. 한국전쟁 가운데서도 예배당 예배를 드렸던 한국교회 입장에서는 정말 경천동지할 만한 일입니다. 한국교회는 전세계에서 모이기를 가장 힘쓰는 교회입니다. 모이는 데서 에너지를 얻고 그것으로 지금까지 신앙생활을 해왔습니다. 이런 한국교회에게 비대면 온라인 예배는 참으로 당황스럽고 고통스러운 경험이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서 우리는 교회에 대해서, 우리의 신앙에 대해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지금까지 이것 없으면 신앙생활이 안된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정말 본질인 것인지에 대해서 깊은 성찰을 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한국교회는 지나치게 예배당이라는 건물 중심으로 모였습니다. 눈에 보이는 인간관계, 외적활동 중심으로 신앙생활을 해왔습니다. 하나님 자신 보다 눈에 보이는 외적인 것들에 너무 많은 초점을 둔 것이 사실입니다. 무엇보다도 정말 목숨을 걸어야 할 하나님의 나라 보다 예배에 목숨을 걸었습니다. 그것도 본질로서 예배가 아니라, 의식으로서 예배에 목숨을 걸었습니다.

어쩌면 하나님께서는 이번 코로나 사태를 통해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거리를 두고 사는 경험을 통해서 우리들을 하나님 당신께 더 가까이 오게 하시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것은 다 없어도 하나님 없이는 살 수 없는 그런 사람으로 우리를 빚어가시기 위한 계획이 아니신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성경의 초대교회는 눈에 보이는 건물도 없었습니다. 체계적인 조직도 없었습니다. 프로그램도 없었습니다. 풀 타임 교역자도 없었습니다. 그들에게 있는 것은 주님의 제자로 살아가는 삶만 있었습니다. 초대교회에게 기독교는 삶의 방식(lifestyle)이었습니다. 삶의 방식으로 그들은 거대한 로마제국 아래서 당당하게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선포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코로나 이후에 우리가 회복해야 할 교회가 바로 이런 교회가 아닐까요? 이것이 코로나 이후에 따라 가야 할 교회의 뉴 노멀(new normal)이 아닐까요? 우리 각자가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을 제대로0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고, 날마다 삶 속에서 말씀과 기도로 하나님의 친밀한 교제를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일상과 일터에서 선교적인 삶을 살아가는 성도, 이런 성도를 양성하는데 집중하고, 이를 위해서 함께 모여서 소그룹을 하고, 대예배를 드리는 교회, 이것이 우리가 나가야 할 방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코로나 사태를 통과하면서 한국교회가 없이도 사는 법을 훈련해서 좀 더 본질에 집중하는 교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그래서 모든 상황 속에서 하나님 한 분 만을 오롯이 바라보며 살아가는 교회와 성도 되기를 바랍니다.

< 고영민 목사 >

 


빌라델비아장로교회서 오후 6시,

 

       

빌라델비아 장로교회(담임 김치길 목사) 영어권 담당 교역자로 사역해 온 전경택 전도사(사진)가 목사 안수를 받는다.

미주 한인예수교장로회(KAPC) 캐나다 노회(노회장 박웅희 새빛교회 담임목사)818() 오후 6시 빌라델비아 장로교회 본당에서 목사 임직예배를 드리고 전경택 전도사의 목사 안수식을 갖는다.

전경택 전도사는 토론토대학을 졸업(B,Com.)하고 Wycliffe College(M.Div.)에 이어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M.Div.)에서 수학했다. 밀알선교단에서 오랜 기간 사역해 오고 있으며, 열린한마음교회(현 다운스뷰교회) 영어권과 빌라델비아 장로교회 영어권 담당 교역자, 토론토 유스코스타 총무 등을 역임했다. < 문의: 647-303-04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