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기독인들  “주님이 함께” 찬양하며 시위동참

한인선교사들 “한국교회도 기도와 행동으로 성원을”

NCCK 등 연대행동 나서…시민들도 SNS에 동조운동

 

쿠데타 반대 시위에 동참한 미얀마 기독교인들.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평화 시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현지에서 사역하는 한인 선교사들이 긴박한 상황을 전하면서 “한국교회가 미얀마 민주화를 지지하는 후원과 행동에 나서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한인 선교사들은 군부의 강경 진압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평화 시위가 이어지면서 기독교인들도 평화시위에 동참하고 있다고 전했다.
수도 네피도에서 사역하는 한 선교사는 “선교사들이 정치에 직접 개입할 수 없어 행동에 나서지는 못하지만, 미얀마의 민주화를 위해 마음을 모아 기도하고 있다”면서 한국 교회가 무도한 군인들의 압제에서 미얀마 국민들을 지켜달라고 기도와 성원을 아끼지 말아줄 것을 당부했다.
군부 쿠데타에 항거하는 시민들과 함께 미얀마 기독교인들은 찬송을 부르며 시민들을 성원하고 민주화를 향한 열망을 함께 표출하고 있다.
미얀마 교인들이 시위현장에서 특히 즐겨 부르는 찬양은 ‘포 도우즈 데이즈(for those days)’다.
찬양은 “슬픈 일이 있어도 주님이 계십니다/소망이 없어 보여도 주님께서 채워주실 것입니다/우리는 희망을 가지고 살 것입니다/언제가 성공할 것입니다/주님께서 모든 걸 인도해 주십니다/앞으로 살아갈 날들을 위해”라는 내용이다. 절망 중에도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면 소망을 이룰 수 있다는 바람을 담고 있다.
2019년 범죄인 인도 법안인 ‘송환법’에 반대하던 홍콩 기독교인들도 시위 중 ‘싱 할렐루야 투 더 로드(Sing Hallelujah to the Lord)’를 합창하며 시위에 동참, 기독교인들이 불의한 정권에 항거하며 시민들에게 힘을 준 바 있다.
현지 한인 선교사들은 “이곳 기독교인들도 민주화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평화시위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미얀마 기독교인들이 유명한 찬양을 민주화 시위 현장에서 불러 큰 감동 받았다. 한국교회가 미얀마 국민의 열망을 후원하며 기도로 힘을 실어 달라”고 요청했다.

이같은 사태에 한국교회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미얀마 군부의 유혈집압으로 희생이 갈수록 늘면서 한국교회도 미얀마 민주화를 응원하는 활동에 나선 것이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총무 이홍정 목사) 국제위원회는 미얀마 민주화를 위해 한국교회에 기도와 연대를 요청하는 호소문을 발표했다. 호소문에는 “군부가 미얀마 국민의 민주화운동을 총칼로 짓밟을 수 없는 역사적 시점에 왔다”면서 “한국교회가 평화를 원하는 미얀마 국민의 열망을 지지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NCCK는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세계교회협의회(WCC)와 협력해 미얀마 민주화를 지원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하려 한다”며 “주한 미얀마대사관과 우리 외교부에도 세계교회의 입장을 강력히 전달하려 한다”고 밝혔다.
세계한국인기독교총연합회(세기총·대표회장 조일래 목사)도 지난 1일부터 미얀마의 정의와 평화, 안정을 위해 2주간 정오 기도회를 진행한다. 조일래 대표회장은 “미얀마 국민의 삶의 터전이 평화 가운데 안정될 수 있도록 한국교회 교인과 전 세계 750만 한인 디아스포라가 함께 기도하자”고 제안했다.

온라인에서도 미얀마 쿠데타 비판과 민주주의 회복을 응원하는 ‘세 손가락 경례’(Three-finger salute) 등 응원운동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인권센터와 한국대학YMCA전국연맹 등 에큐메니컬 기관과 참여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국제연대위원회 등 18개 단체는 미얀마 민주주의를 응원하는 세 손가락 인증샷을 모아 미얀마 시민들에게 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쿠데타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불복종을 내걸고 저항을 시작했다”면서 미얀마인들의 시위와 저항을 응원하고 상징하는 세 손가락 경례 사진을 공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세 손가락 경례는 2012년 영화 ‘헝거 게임: 판엠의 불꽃’이 모티브로 알려져 있다. 영화 속 시민들이 독재정권에 대한 분노와 슬픔을 표출하는 방식이었다. 검지 중지 약지의 세 손가락을 하늘을 향해 곧게 펴는 형태로 2014년 태국 반정부 시위에서 처음 등장했다.

일반 시민들도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해시태그(#SaveMyanmar)로 민주주의 복원을 외치고 있다. 미얀마 행정구역 지도를 공유한 이는 “군인은 군인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라”고 했고, 스마트폰에 영문으로 ‘민주주의를 회복하라(Bring back democracy)’고 표기한 이는 “민주주의를 위한 미얀마인들의 투쟁에 함께합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NCCK 인권센터와 한국YMCA전국연맹 등 70개 시민사회단체는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 직후인 지난달 2일 “군부는 지난해 11월 총선 결과를 존중하고 민간정부에 권력을 즉각 이양하라”고 촉구하고 한국 정부가 유엔 및 각국 정부와 함께 미얀마 군부를 압박할 것도 요구한 바 있다.

KWMA · KRIM 공동 233개 단체 ‘2020 한국 선교현황’ 통계조사

 


한국교회는 2020년 12월 현재 168개국에 2만2259명의 선교사를 파송한 것으로 조사됐다. 외국 국적의 선교사도 1435명을 파송했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와 한국선교연구원(KRIM)은 26일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으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0한국선교현황 통계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통계는 선교협의체인 KWMA와 연구기관인 KRIM이 한국선교현황 단일화를 위해 2019년 업무협약을 한 뒤 처음으로 내놓은 것이다.
홍현철 KRIM 원장은 “한국선교의 미래를 위해 정확한 통계 수치에 따라 전략과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각각 통계 조사를 하던 KWMA와 KRIM이 2020년 선교현황부터 함께 조사해 발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조사는 지난해 11월 9일부터 12월 28일까지 진행됐고 조사에 응답한 단체는 233개다.
지난해 12월 현재 한국 국적의 장기선교사는 2만2259명이었고 파송국가는 168개국이었다. 지난해 KWMA가 발표한 2019년 한국선교현황의 171개국, 2만8039명과 비교하면 현격하게 줄었다. 반면 KRIM이 기존에 발표한 수치와 비교하면 올해도 선교사 수는 증가세를 이어갔다. KWMA는 그동안 KRIM에 비해 장기선교사의 범위를 넓게 인정해 왔다.
홍 원장은 “정확한 선교현황 파악을 위해 올해부터 장기선교사의 개념을 재정립했다. KWMA에서 발표하던 것과 비교해 보면 수치상 선교사 숫자가 줄어든 것처럼 보이는데 개념의 차이일 뿐”이라고 말했다.

새롭게 정립된 개념에 따르면 장기선교사는 타 문화권에서 2년 이상 계획을 세워 선교사역하는 한국인이나 한국 국적의 사람을 말한다. 한국 내에 분명한 파송 단체나 후원 주체가 있어야 하며 선교사로서 모금하는 풀타임 사역자여야 한다. 선교단체 국내 본부의 장기·행정 사역자, 단체 소속의 관리·감독을 받는 자비량선교사도 장기선교사로 인정했다. 선교사 부부는 2명으로 간주했다. 개교회 파송 선교사와 해외 선교사역에 관여하지 않는 한인교회 목회자, 파송이 아닌 협력 선교사 등은 제외했다.
추가된 조사 항목도 있다. 최근 교단과 선교단체가 타 국적의 선교사(국제선교사)를 파송하는 사례가 늘면서 장기선교사와 별도로 이들에 대해 조사했다. 지난해 1년간 파송한 국제선교사는 1435명이었고 미국 국적이 92명으로 가장 많았다.
선교단체의 재정도 조사했다. 응답한 138개 단체 중 58개(42.0%)는 지난해 10월 현재 재정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증가한 단체는 32개(23.2%)였다.
맞춤형 선교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집계 방식도 세분화했다. ‘2020년 은퇴선교사 수’를 묻는 질문은 50명 미만, 50명 이상 100명 미만, 100명 이상 200명 미만, 200명 이상 500명 미만, 500명 이상 1000명 미만, 1000명 이상 등 단체별 파송 선교사 수에 따라 별도 집계했다. 홍 원장은 “조사 과정에서 100명 미만의 선교단체 중에는 은퇴 개념조차 적용하지 않는 곳이 있었다”며 “선교단체별 은퇴선교사 맞춤 정책을 수립하려면 세밀한 통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조사를 바탕으로 추산한 지난해 은퇴선교사는 170명이었다.
선교사 자녀(MK) 역시 교육 연령에 따라 분류했다. 질문에 응답한 137개 단체의 MK는 1만6265명이었고 이들 중 취업 연령이 32.4%로 가장 많았다.

 

미주지역 교단들 대부분 올해 총회도 비대면 개최 계획

 

온타리오 한인 교단들의 봄 정기노회가 올해도 온라인 비대면으로 열린다.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KAPC) 카나다 노회(노회장 박웅희 새빛교회 담임목사)와 해외한인장로회(KPCA) 캐나다 동노회(노회장 노승환 밀알교회 담임목사)가 3월8일(월) 2021년도 봄 정기노회를 온라인으로 여는 것을 비롯, 각 교단들이 3월 중 정기노회를 개최한다.

KAPC 카나다 노회는 8일 오전 10시부터 한우리 장로교회((담임 최재만 목사: 2 Twenty Sixth St. Etobicoke)를 영상본부로 하여 줌 영상을 통해 제75회 정기노회를 개최한다.

노회는 오전 10시에 개회예배를 드리고 10시30분부터 회무처리에 들어가며, 새 임원진 선출도 하게 된다. < 문의: 647-303-0477 >

 

KPCA 캐나다 동노회는 제78회 정기노회를 큰빛교회(담임 노희송 목사: 6965 Professional Crt.,Mississauga, L4V 1Y3)를 영상 본부로 역시 온라인 영상으로 진행한다. 동노회는 8일 오후 6시부터 개회예배를 드리는 것으로 시작해 6시40분부터 9시30분까지 회무처리를 할 예정이다.

동노회도 이번 정기노회에서 새 노회장 등 임원진을 선출하고 청원과 헌의안 등 회무를 처리할 예정이다. < 문의: 416-705-7139 > 

지난해 온라인 영상으로 가을 정기노회를 개최한 KPCA 동노회 임원들.

지난해 중앙장로교회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겸해 열린 KAPC 카나다노회 

 

미주 각 교단 금년 총회도 거의 온라인 화상으로

 

한편 미주한인 주요 교단들의 총회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비대면 온라인으로 열린다. 대부분의 교단들은 차기 총회장이 나오는 교회에서 소수 관계자들만 모여 온라인 화상으로 총회를 진행, 온라인 위주로 하되 오프라인도 함께 하는 하이브리드 총회를 열게된다.    

KAPC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는 지난해 정기총회를 줌을 이용한 화상으로 열었던 것처럼 올해도 5월에 열리는 제45회 총회를 화상으로 열 계획이다.

KPCA 해외한인장로회는 지난해 총회를 연기했으나 올해 5월 열리는 45회 정기총회는 19개 노회 중 17개 노회의 찬성으로 화상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장로교 한인교회 전국총회(NCKPC)는 지난해 총회를 연기했으며, 올해 제50회 총회는 5월 19일 휴스턴 한인중앙장로교회에서 줌을 이용한 화상총회로 열린다.

연합감리교(UMC) 한인총회는 4월 13일부터 15일까지 ‘끝까지 이루실 하나님’이라는 주제로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미주성결교회 제42회 총회도 4월 19일 남가주 산샘교회서 화상으로 진행된다.

하나님의성회 한국총회는 지난해 총회를 연기했다. 올해도 예정된 4월 총회는 힘든 것으로 파악하고 8월 16일부터 18일까지 뉴욕 프라미스교회에서 대면 정기총회를 추진중이다.

미국장로회 한인교협(PCA-CKC)도 총회가 6월29일부터 7월2일까지 예정되어 있었으나 10월 초로 연기하고 대면 정기총회를 추진하고 있다. RCA 한인교회협의회 전국총회는 최근 각 지역교협들이 몇 가지 옵션들을 두고 화상으로 의논했지만,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금년에는 신학적인 이슈와 조직구조적인 이슈가 있어 총회가 열려야 하는 상황이다.

미주 최대 규모인 미주남침례회 한인교회총회는 실행위원회 회의를 통해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다.

교육부 추천 사분위원에 여성 3명…기독여성 단체 “여성 임용해야”

합동교단·학교쪽 “전례없다” 반발, 회의서 논란 끝 현 임원진 위임

 

총신대 신학대학원 여성 동문들이 2017년 9월 합동교단 총회가 열린 전북 익산 기쁨의 교회 앞에서 여성 목사 안수를 요구하는 시위를 펼치고 있다. 총신대 신학대학원 여성동문회 제공

 

한국 보수 기독교단의 본산인 예장합동교단(합동교단) 산하 대학인 총신대학교에 설립 120년 만에 여성이사가 선임될지 눈길이 쏠린다. 합동교단은 국내 개신교단 가운데 ‘빅2’에 해당하는 대교단이면서도 대표적인 성차별 교단으로 꼽혀왔다. 지금까지 여성 목사 안수를 거부하고 있으며, 소속 총신대 이사회에는 여성 이사가 전무했고, 신학과 교수 20여명도 모두 남성이다.

최근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는 총신대 정이사로 15명을 추천했는데, 이 가운데 심치열 교수(성신여대), 김이경 교수(중앙대), 정수경 변호사(법무법인 지혜로) 등 3명의 여성이 포함됐다. 총신대는 2017년 김영우 전 총장의 학교 사유화 논란으로 빚어진 학내 사태 이후 2년여간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돼왔다.

이에 교단은 “전례가 없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2일 총신대 총회 실행위원회는 합동교단 총회장인 소강석 목사가 시무하는 경기도 용인 새에덴교회에서 회의를 열어 교육부 안 수용 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였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소 목사를 비롯한 현 임원들에게 결정을 맡기기로 했다.

교단과 총신대 목사들이 교육부 추천 여성 이사 3명을 반대하는 표면적인 논리는 ‘이들이 합동교단 출신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교육부 안에 어깃장을 놓기 위한 핑계일 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분위는 애초 예장합동 총회, 총신대학교 대학평의원회, 총신대 개방이사추천위원회, 전·현직이사협의체에 이사회원 2배수를 ‘성비 균형을 고려해 추천할 것’을 요구했으나, 4곳 모두 전원 남성만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단의 한 관계자는 “총신대가 교육부로부터 연간 50억원가량을 지원받기 때문에 교육부 안을 거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그러나 총신대에서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목사들이 교육부 안을 거부하도록 소 총회장을 계속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총신대 출신 여성들은 “여성을 학생으로 받으면서도 여성 지도자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합동교단이 여성 이사의 소속 교단 여부를 따질 자격이 있느냐”고 비판한다. 총신대에서 여성학 강사로 일하다 해직된 강호숙 기독교인문학연구원 연구위원은 “합동교단 소속 교회에서 교육전도사로 일하며 총신대에서 가르쳤는데, 성차별로 인해 서럽기 이를 데가 없었다”며 “전병욱 목사가 성범죄로 대법원에서 최종 판결을 받았음에도 교단이 이를 감싸며 새로운 교회에서 아무 일 없는 듯 목회하고, 인천에서 수십명에게 그루밍 성폭력을 행사한 목사를 교단이 봐주는 관행이 되풀이되는 것도 시대에 역행하는 합동교단의 성차별적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총신대 원우회 총회장을 지낸 생명신학포럼 대표 이박행 목사도 “생명 감수성을 지닌 여성의 리더십이 중요한 시대다. 이제 우물 안 개구리를 벗어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성서한국을 비롯한 17개 개신교 엔지오는 2일 성명을 통해 “합동교단과 총신대는 표면으로 내세운 개혁주의 정신과 반대로 간 성차별을 해왔다”며 △여성 이사 즉각 수용 △여성 목사와 여성 장로 배출 △교단 대학의 여성 교수 임용 등을 촉구했다.   조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