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선 보도 국경 봉쇄 및 격리 조처 유지로 불가능

토론토 스프링캠프인 플로리다 더니든 홈구장 유력

            

미국 메이저리그(MLB)서 활약 중인 류현진(32·토론토 블루제이스)이 올해 홈구장인 로저스 센터에 등판하기 어렵게 됐다.

토론토의 <토론토선>이번 MLB 시즌에는 토론토에서 야구를 기대하지 말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캐나마-미국 간의 국경 봉쇄 조처로 인해 토론토에서 블루제이스의 경기는 없을 것이라고 12일 보도 했다.

이 매체는 토론토에 연고팀을 둔 미프로농구(NBA),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도 마찬가지라며 국경 봉쇄가 풀린다해도 14일 간의 격리 조처는 유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미국 연고 팀들이 올 가능성이 적다고 내다놨다.

대신 홈구장을 미국으로 옮겨 리그를 진행하는 방안이 유력시 되고 있다.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마크 셔피로 사장은 여전히 홈 구장이 있는 토론토를 선호하지만, MLB 쪽에서 별다른 대안이 없다면 플로리다 더니든을 홈구장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더니든은 현재 토론토의 스프링 캠프 지역이며, 류현진도 이곳에 머물고 있다.

현재, MLB 사무국은 구단들의 승인을 받은 7월 경기 개최안을 두고 선수노조와 협상 중이다. 선수들이 이를 수용하면 무관중으로 시즌이 개막된다. < 이정국 기자 >

“MLB 구단주들 7월 개막 방안 승인보도

내셔널·아메리칸리그 통합 운영경기수 대폭 감소

선수노조 동의 절차 남아구단들 크게 양보해 전망 높아

                                       

류현진(토론토 블루제이스·33)이 선발 등판하는 모습을 이르면 7월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미국의 스포츠 전문 매체인 <ESPN)> <야후 스포츠>등은 미국프로야구(MLB) 구단주들이 MLB사무국에서 제안한 7월 정규리그 방안을 승인했다12일 보도했다.

보도를 보면, 지각 개막하는 정규리그는 미국 독립기념일(74)이 들어있는 주에 시작한다. 시즌이 늦게 시작됨에 따라, 경기 수도 대폭 줄인다. 기존 팀당 162경기에서는 82경기로 준다. 한국 KBO가 지난해와 같은 144경기를 치르기로 한 것과 비교되는 부분이다.

메이저리그 각 팀은 지난 3월에 중단한 스프링 캠프를 6월께 다시 재개한다. 코로나19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팀과 상대하는 시범경기는 치르지 않기로 했다.

가장 큰 변화는 기존 내셔널·아메리칸리그 양대 리그를 없앤다는 점. 대신 해당 홈 지역 인근 팀끼리 벌이는 단일 리그를 도입한다. 경기 수가 줄고 일정이 빡빡한 상황이라 양대 리그를 운영하기엔 사정이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아메리칸리그에만 있었던 지명타자제도 양대 리그가 단일화되면서 모든 팀에 도입된다. , 기존 10개 팀씩 배정된 동부·중부·서부 지역리그는 그대로 유지된다. 정규 리그가 줄어든 대신, 포스트시즌 진출 팀은 10개팀에서 14개 팀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번에 통과된 안은 13일부터 MLB 사무국이 메이저리그 선수노조와 벌이는 협상에 상정돼 최종 결정된다.

선수노조가 이를 수용할지도 관심사다. 무관중 경기로 인한 손실 때문에 연봉 삭감을 고수하던 구단들이 이번 안에서 정규리그와 포스트시즌 구단 수입 절반을 선수들에게 배분한다고 발표하면서 한발 물러난 상태다. 이미 3월 협상에서 한 차례 결렬됐지만, 구단들도 파격적 제안을 한만큼 선수들이 받아들일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날 <ESPN>메이저리그가 주도하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2021년 대회도 코로나19 여파로 최대 2년 연기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 이정국 기자 >


미국 '어머니의 날' 맞아 뉴욕타임스에 기고"난민 어머니 떠올려"

                   

할리우드 배우 겸 영화제작자 앤젤리나 졸리가 9(현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을 이 세상 모든 난민촌의 어머니들에게 경의를 표했다.

유엔난민기구(UNHCR) 특사로도 활동하고 있는 졸리는 미국 어머니의 날(5월 두 번째 일요일)을 하루 앞두고 뉴욕타임스(NYT)'어머니의 힘'이라는 제목으로 기고한 글에서 이같이 밝혔다.

졸리는 "엄마를 잃은 사람에게 어머니의 날은 힘든 날이지만, 올해는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 때문에 더 그러할 것"이라며 어머니의 날을 맞아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 가난하게 살 수밖에 없는 '난민 어머니'를 떠올렸다.

졸리는 수많은 난민을 만나고 나서 어머니가 지구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이라고 믿게 됐다며, 이들은 겉으로 보기에는 연약해 보이지만 사랑과 충성심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해낸다고 치켜세웠다.

어머니라면 누군가에게 도움을 청했다가 거절당했을 때 눈물을 흘리겠지만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고, 아이의 안전과 거처를 확보하기 위해서라면 자신이 학대를 당할 수도 있는 위험까지 감수할 것이라는 게 졸리의 믿음이다.

학대를 당한 여성은 결코 약한 게 아니라 누군가의 어머니일 것이라며 탈출구가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아이와 피해 사이에 발을 걸쳐놓고 위험을 관리하려는 게 바로 어머니라고 졸리는 설명했다.

졸리는 "전쟁이나 난민촌에서 이러한 여성들은 상상할 수 없는 고통을 겪게 되지만 아이 곁을 떠나지 않는다""10, 20년 혹은 그 이상이라도 아이의 옆자리를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간 난민촌에서 마주한 수많은 엄마의 아름다운 얼굴들이 모두 기억난다""그들의 눈빛은 지칠 대로 지쳐 있었지만, 한때 딸이었던 그들이 이제는 자기 자식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절대로 포기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졸리는 "자식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보다 엄마, 아빠에게 더 고통스러운 일은 없다"며 코로나19 확산으로 미국에서조차 수많은 가족이 이러한 현실에 직면했다고 안타까워했다.


전미여자프로야구리그 “101살 나이로 별세밝혀

톰행크스 등 주연 <그들만의 리그> 실제 주인공

                     

세계 최초의 여성 프로야구 선수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그들만의 리그>의 실제 주인공인 전 전미여자프로야구리그(AAGPBL) 팀 록퍼드 피치스의 매리 프랫이 사망했다.

AAGPBL9“6일 매리 프랫이 101살의 나이로 타계했다고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ESPN> 등 미국 스포츠 매체들도 10일 이 같은 사실을 보도했다.

AAGPBL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미국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전쟁에 징집되면서 리그가 중단되자,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43년 출범한 세계 최초의 여자프로야구 리그다. 이 이야기는 톰행크스, 지나 데이비스 주연의 <그들만의 리그>로 제작돼, 전 세계 야구팬들에게 각인됐다. 당시 영화 주인공들이 뛰던 팀이 록퍼드 피치스다.

1918년 코네티컷주에서 출생한 프랫은 보스턴 대학교 사전트 칼리지에서 체육교육학을 전공한뒤 교사로 일하다, 여자리그가 출범하면서 록퍼드에 입단했다. 좌완투수였던 그는 시즌 첫해 21승을 거두는 등 5년 동안 활약한 뒤 은퇴했다. < 이정국 기자 >


지난해 열린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영화 &lt;종이꽃&gt;으로 레드카펫에 오른 배우 안성기, 유진, 김혜성(왼쪽부터). 부산국제영화제 제공

                 

영화 종이꽃’, 최우수외국어영화상·남우주연상 2관왕

1961년 출범한 휴스턴영화제, 미국 3대 영화제 중 하나

         

안성기 주연 영화 <종이꽃>(감독 고훈)이 미국 휴스턴국제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과 최우수 외국어장편영화상을 받았다.

제작사 로드픽쳐스는 코로나19 사태로 지난달 온라인으로 열린 제53회 휴스턴국제영화제에서 <종이꽃>이 최우수 외국어장편영화상에 해당하는 백금상과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고 8일 밝혔다. 한국 영화가 이 부문을 수상한 건 처음이다.

<종이꽃>은 장의사 성길(안성기)이 사고로 몸이 마비된 아들 지혁(김혜성)을 돌보며 꿋꿋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영화다. 영화제 쪽은 상실과 아픔, 그리고 죽음 중간에 있는 영혼의 가슴 아픈 공명을 담아냈다는 심사평을 전했다. 안성기에 대해선 섬세하면서도 선명하게 공감되는 품격 있는 연기로 캐릭터의 깊은 감성을 표현했다고 평했다.

휴스턴국제영화제는 독립영화 제작자들의 의욕을 높이고 영상 부문에서 탁월한 창의력을 발휘한 작품을 시상하기 위해 1961년 시작한 영화제다. 북미에선 샌프란시스코영화제·뉴욕영화제와 더불어 3대 국제영화제 겸 티브이(TV) 국제상으로 인정받는다. < 서정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