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간의 통합" 프로젝트..학생들 참여 참전용사와 대화와 글쓰기

 학생 14명 참전용사의 만남후 에세이, 단편소설, 시 등 쓰고 발표

 

한국전쟁 70주년을 기념해 올해 625일부터 2023727일까지 3년의 기간 동안에 고교생들이 참전용사들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지난 역사를 배우고, 에세이나 단편소설, 시 등을 쓰는 등의 활동을 하게 되는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연아 마틴 상원 의원은 20일 캐나다 전역의 참전 용사들, 한인 사회 그리고 각 지역의 한국전 추모 위원회들과의 협조를 통해 한국전쟁 70주년을 기념하는 3년간의 희생용사 추모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캠페인은 세대간의 통합이라는 주제로 BC주와 알버타주의 고등학생 14 명이 참여해 생존 참전용사들을 만나거나 전화로 인터뷰해 전쟁 경험 이야기를 나누며, 이를 바탕으로 에세이, 소설, 시 등을 쓰는 프로젝트다.

연아 마틴 의원은 학생들이 참여해 그들 주도로 한국전쟁이 잊혀지지 않도록 하는 세데간 대화와 통합에 목적이 있다글쓰기, 역사 그리고 배움을 좋아하며 서로 생각이 비슷하고 열정적인 학생들이 참여하고, 그들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은 한국전 참전 용사와 짝을 이루어 화상 미팅이나 전화를 통해 한국전쟁 참전의 기억을 포함한 참전 용사들의 삶에 대해 인터뷰를 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에세이, 단편 소설 또는 시 등을 짓게된다. 이어 각자의 준비된 작문을 발표하고 인터넷을 통한 추모식도 진행한다.

연아 마틴 상원 의원은 세대간의 통합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주도하는 한국전쟁 70주년 추모 캠페인으로, 학생들이 자부심과 명예를 가지고 참여해서 한국전쟁의 유산이 결코 잊혀지지 않도록 기억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문의: 613-851-4250 grace.seear@sen.parl.gc.ca >


최근 새로 부임한 장경룡 주 캐나다 대사가 716일 오전 Julie Payette 캐나다 총독에게 화상회의를 통해 신임장과 소환장을 제정했다.

이날 신임장 제정식은 코로나19로 인해 기존 대면으로 진행되던 방식 대신 1:1 화상으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Stewart Wheeler 캐나다 의전장과 Assunta Di Lorenzo 총독비서관이 동석했다. 행사 내용은 총독실 YouTube 채널에 생방송으로 송출됐고 녹화영상을 누구나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4kcowjcee4&feature=youtu.be)

신임장 화상 제정식에서 Payette 총독은 캐나다에 돌아온 것을 환영한다”(Welcome back to Canada)고 장 대사 부임을 축하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전례 없는 어려운 시기이나, 앞으로 캐나다인 및 외교단들과 활발히 소통해 나가길 바란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특별히 안부를 전해달라고 말했다.

이에 장경룡 대사는 대통령님께 총독의 안부를 전달하겠다고 말하고, “캐나다로 다시 돌아오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Payette 총독은 마무리 인사로 맥길대학 동문인 장 대사와의 대면을 기대한다고 전하면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방한이 자신의 총독 재임 기간 중 특별한 기억 중 하나로 남아 있다며, 한국에 대한 호의와 관심을 표명했다.

한편 장 대사는 신임장 제정식을 마친 후 첫 공식 행사로 오타와 국립전쟁기념비(National War Memorial)와 한국전 참전기념비를 찾아 세계평화와 자유를 위해 희생한 캐나다의 한국전 참전용사들을 기리는 헌화식을 가졌다. < 문의: 613-244-5010 >



어려움 겪는 Small Business에 지원물품 전하기로 


토론토 한인회가 동포사회의 COVID-19 극복 프로젝트로 진행하는 안녕캠페인’(Good Morning Campaign)의 일환으로 한인 영세사업자 돕기 제4차 지원물품 전달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한인회는 한인 영세사업자(Small Business) 돕기 제4차 안녕캠페인은 현재 부분적으로 비즈니스를 다시 시작했으나 오랜 기간의 침체로 인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인 Small Business들에 힘을 실어 줄 지원물품 바구니를 만들어 전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지원물품 바구니에는 수제마스크(Handmade Masks)를 비롯해 일회용 마스크(Disposable Masks), 안면보호대(Face Shields), 일회용 장갑(Latex Gloves), 손세정제(Sanitizers) 등이 들어 갈 예정이다. 물품 지원이 필요한 업체는 한인회로 전화(416-383-0777), 혹은 이메일 (admin@kccatoronto.ca)로 신청을 받는다.

토론토 한인회는 그동안 안녕캠페인으로 제1안부전화 걸기를 진행했으며, 2차는 각계 한인 동포들의 후원으로 지원물품 가방 약 500여개를 만들어 어려움에 처한 동포들과 각 단체들을 통하여 소속 회원 등에게 전달했다. 또 현재도 진행 중인 제3차 캠페인은 수제 면마스크 만들어 전달하기, 자원봉사자 23명이 참여해 수제마스크 1,000개를 만들어 희망하는 동포들에게 전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토론토 Willowdale 지역구 연방의원인 알리 에사시 의원이 한인 동포사회를 위해 샴푸, 린스, 치약, 칫솔 등 생필품이 들어 있는 지원팩 170여개를 후원, 한인회에 전달했다.

한인회는 우리 한인 동포들이 합심하여 오늘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내일을 준비할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 문의 : 416-383-0777 >


       

7월말까지 한국소개 등 복합 공공외교행사 신청받아

               

주토론토 총영사관은 매년 10월 온타리오 한국 문화유산의 달을 기념하는 행사의 하나로 캐나다 주류 사회에 한국을 소개하고 캐나다와의 우호관계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복합 공공외교행사를 발굴해 시행한다.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현장행사가 어려워짐에 따라 총영사관은 온라인 및 사회적 거리두기 방식으로 공공 외교행사를 추진하기로 하고 사업 제안서를 7월 말까지 신청 접수한다.

신청 자격은 행사 기획에서 전반적 운영까지 맡아서 진행이 가능한 개인이나 단체이며, 행사는 101일부터 31일까지 갖는다.

지원되는 행사는 한국의 매력을 알릴 수 있는 온라인 공연, 전시, 세미나 등이나, 한국과 캐나다의 문화와 지식, 정책교류 및 문화적 다양성을 알릴 수 있는 행사 등도 된다.

채택될 경우 지원은 행사물품과 행사요원 인건비, 연사 사례비 등 개최에 직접 소요되는 실경비를 도와준다.

신청은 710일부터 31()까지 총영사관 홈페이지 문화게시판에 있는 양식을 작성해 이메일(torontoculture@mofa.go.kr)로 제출하면 되며, 선정결과는 8월중 개별 통보한다. < 문의: 416-920-3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