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 한인회(회장 김정희)는 GTA(Greater Toronto Area) 지역의 케네디언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접하고 익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한국어·한국문화교실’을 오는 6월에 첫 개설해 연간 4차례 진행하는 정규 프로그램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인회는 첫 강좌를 6월에 개설해 8월까지 진행하고, 9월부터 11월까지 2회째 등 올해 2차례 운영한다. 내년에는 1월~3월과 4월~6월, 7월~9월, 그리고 10월~12월 등 4회 개강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어·한국문화교실’은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관심있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입문반과 초급반, 중급반, 회화반으로 구분해 반별 정원을 10~15명으로 모집, 한국어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등과 한국의 명절, 음식, 예절 등을 소개하고 한국어 회화 연습 등으로 총 10주 과정을 진행한다. 참가비는 재료비와 등록비를 포함해 $200이다.
한인회는 ‘한국어·한국문화교실’을 한류에 대한 지역사회의 높은 관심에 부응하도록 K-POP, 한식, 한국여행과 비즈니스 등 실용적이고 흥미로운 콘텐츠로 구성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현지인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알려 이해 증진과 문화교류 및 우호관계 강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어와 문화를 배우고자 하는 현지인들의 관심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나가면서 캐나다 주류 사회와의 교류 확대를 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문의 및 신청: 416-383-0777, admin@kccatoronto.ca >
세계한인무역협회 토론토지회(OKTA: 지회장 이민호)는 오는 6월부터 4개월간 20~40대 한인 차세대가 참여하는 ‘2025 한인 차세대 창업/무역 멘토십 & 네트워킹’행사를 갖는다며 지원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5명의 멘토와 5개조 40명의 예비창업자들에게 창업 및 글로벌무역 이론과 실무를 모국의 우수한 중소기업 제품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오는 9월 조별 교육평가회를 통해 선발된 최우수팀에게는 월드옥타 토론토지회와 코트라무역관에서 창업지원금을 지원한다.
모집 대상은 만49세 이하 한인 예비 창업인으로, 교육 기간은 6월부터 9월까지, 그리고 평가회는 9월6일(토)로 예정되어 있다.
교육은 5명의 멘토들이 5개 조의 멘티들에게 강의하는 형식이며, 참가비는 무료다. 이번 교육참가 지원자 가운데 합격자는 6월초 개별 통보할 예정이다.
이번 멘토십& 네트워킹 행사 후에는 매월 멘토와 멘티의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창업아이템 선정방법, 회사 설립, 수입/통관, 시장조사, 마케팅, 세일즈, 파이낸싱, 창업성공 사례 소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이 될 예정이라고 OKTA 토론토 지회가 밝혔다.
OKTA 토론토지회는 이번 행사가 모국 외교부에서 지원하는 공공외교정책 사업의 일환이며, 캐나다 여론 주도층과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국과 캐나다간 신뢰를 높이고 우호관계를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한다고 말했다.
(The Evolving Rol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AI Era)
제7회 2025 캐나다 한국어 교육학회(CATK) 연례 학술대회가 오는 8월12일(화) 에드먼턴의 University of Alberta에서 열릴 예정인 가운데 대회에서 발표할 연구사례를 6월말까지 모집한다.
올해 학술대회의 주제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변화하는 한국어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개발’로 학회측은 이와 관련된 연구 및 교육 사례 발표내용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대면 및 비대면(온라인) 듀얼 모드로 진행될 사례발표는 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발표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 전반에 걸친 다양한 연구, 수업 자료, 사례 발표도 환영한다고 CATK가 밝혔다. 발표 유형은 발표 20분과 질의응답 10분으로, 연구논문은 한국어 및 한국학 학습·교육 관련 학술연구 발표 등이며, 연구 동기, 데이터 수집, 분석 및 결과 토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교수자료 교환은 교수법, 수업 사례, 교재 개발 등 실용적 자료를 공유하고, 워크숍은 올해 학회 주제와 관련된 교사 교육 및 재교육 중심으로 하게된다.
한국어 교육에 관심 있는 연구자, 교사, 대학원생 등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원하는 경우 6월30일(월)까지 최대 5백 단어 분량의 발표 초록(抄錄)을 제출하면 된다. 채택 여부는 7월4일까지 개별 통보한다.
초록 제출에 대한 자세한 방법과 요강은 CATK로 알아보면 된다. 주최측은 현장 또는 온라인 참가 등록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추후 공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