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한국전쟁 발발 71주년과 7.27 한국전 정전기념일 68주년을 추모하는 헌화식이 6월20일(일) 오전 11시 오타와 국립 전쟁기념비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는 한국전쟁 기간에 일어났던 기념비적인 전투들과 행사들을 기리기 위해 3년간 진행 중인 ‘한국전쟁 70주년 기념의 해’(2020년 6월 25일~2023년 7월27일)의 이벤트 가운데 하나로 개최됐다.
헌화식에는 한국전 참전용사회 보존지회 총재인 연아 마틴 상원의원과 넬리 신 하원의원, 장경룡 주 캐나다한국대사 등 한인 인사들과 캐나다 국방부 정무차관 아니타 벤드벨드 하원의원, 한국전 참전용사회 수도 7지회의 빌 블랙 회장 및 참전용사들, 그리고 한국전 추모위원회원 등이 참석했다.
한국전쟁은 캐나다 전역에서 2만6천여 명이 넘는 캐나다인들이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공산주의의 침략에 맞서 싸웠으며, 정전 이후에는 7천여 명이 1953년부터 1955년까지 평화유지 임무를 수행하는 등 캐나다에서 3번째로 희생이 많았던 전쟁으로 기록되고 있다.
전사한 수백 명의 캐나다 군인들은 한국의 UN 기념공원에 안장되어 해마다 그 희생을 기리고 있으나, 살아서 귀국한 참전 당시의 용맹했던 젊은 캐나다인들은 치열한 전쟁을 뒤로하고 평화로운 삶을 되찾았지만 이제 80-90대를 살면서 자신들이 잊혀지는 것 같은 쓸쓸한 기분이 든다고 말한다. 이에 연아 마틴 의원은 “연로한 분들이 많아지면서 한국전쟁의 영웅들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어서 캐나다인 모두 그들의 헌신과 희생의 유산이 결코 잊혀지지 않도록 새기고 보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문의: 613-851-4250 >
한편 토론토에서는 브램튼 메도베일 묘역에서 6월25일 오전, 기념 추모 헌화식이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Donald Sudden 캐나다 참전용사회장과 캐한 의원친선협회 공동회장인 알리 에사시(Ali Ehsassi) 하원의원, 김득환 총영사, 김정희 한인회장, 송선호 재향군인회 지회장, 김연수 민주평통 토론토협의회장, 김찬호 참전유공자 회장 등 한인사회 인사들이 참석했다.
김 총영사는 지난 6월4일 정의용 외교부장관으로부터 임명장을 전수받고 9일 토론토에 도착, 격리기간을 가져왔다. 김 총영사는 앞서 지난 4월 부인 송인순 여사가 별세, 새 임지 부임을 앞두고 상처의 아픔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총영사(54)는 고대 출신 정통외교관으로 1992년 외교부에 입문해 유럽 각지에서 서기관과 참사관 등으로 일한 뒤 2016년 영국에서 총영사가 됐다. 2017년에는 외교부 부대변인을 거쳤고, 2019년부터 토론토 발령 전까지 미국 워싱턴 총영사를 역임했다.
김 총영사는 재외국민과 동포사회 화합 및 발전을 뒷받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혀 G7국인 캐나다의 대표도시이며 동포인구도 가장 많아 ‘대사급 공관’으로 평가되는 토론토 총영사관 재임 중 공관장으로서의 역량발휘가 기대된다.
한편 외교부 인사에 따라 토론토와 함께 몬트리올 총영사도 김상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이 새로 부임했다. 김상도 총영사(55)는 서울대와 미국 버클리대 석사, 한국항공대 박사 출신으로 2008년 국토부 국제항공과장을 시작으로 주요보직을 거친 후 2013년 대통령비서실에 잠시 근무했고, 2014년에는 주몬트리올 ICAO(국제 민간항공기구) 공사 참사관을 역임한 항공정책 전문가다. < 문의: 416-920-3809 >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수상이 최근 일부 내각을 개편, 한인 보수당 초선인 조성훈 의원(Stan Cho: 43)이 교통부 부장관에 임명됐다.
지난 2018년 입각한 조성준 노인 및 장애인복지부 장관은 유임됐다. 이번 개각에서 장기요양부 장관에는 로드 필립스 전 재무장관이 임명됐다.
주 정부 주변에서는 포드 수상의 이번 개각이 내년 6월 총선을 앞둔 재집권 포석으로 분석했다.
토론토 윌로우데일 출신인 조성훈 의원은 그동안 주의회 재정위원회 보좌와 재무부 부장관보로 활약해 오다 이번에 교통부 부장관으로 발탁됨에 따라 캐롤라인 멀루니 장관과 함께 주정부의 교통정책 전반, 특히 GTA 지역의 고속도로와 지하철 사업 등을 포드 수상과 멀루니 장관을 보좌해 관장하게 된다.
조 부장관은 취임 후 첫 대외행사로 23일 토론토 스카보로 지하철 로렌스 애비뉴에서 맥코완 로드까지 7.8Km 연장공사 착공식에 포드 수상과 함께 참석해 공식 일정을 소화했다.
지난 18일 취임한 조 부장관은 “이처럼 놀라운 기회를 준 포드 정부에 감사하며 정말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 멀루니 장관과 함께 최선을 다해 온주 발전을 위해 일하겠다”고 밝혔다. < 문의: 416-522-4602 >
무궁화 한인요양원 인수를 위한 기금 모금이 일단 마감된 가운데, 6월14일까지 총 513만 6,761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목표액 450만 달러를 63만 6천여달러 초과한 액수다.
한인요양원 인수추진위원회는 “캠페인은 종료하지만 기부는 언제든지 환영한다”면서앞으로도 기부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고 접수를 계속하는 한편 오는 29일(화) 오후 7시 온라인 설명회를 열어 모금운동으로 모아진 기금의 재정 현황을 브리핑하고 인수 절차에 관한 소식들과 무궁화요양원의 60침상을 넘어 새로운 확장을 시도할 아이디어 등을 제시할 방침이다.
지난 3월16일 설명회를 기점으로 본격 모금운동에 들어간 이후 6월14일까지 3개월간 접수된 총 모금액 513만 6천여 달러의 기부자들 면면과 액수를 보면, 최저 5달러부터 최다 1백만 달러까지 기부액이 다양하며, 참여 동포는 개인과 단체를 포함해 모두 1,258군데에 이르러 한인사회 구성원들이 그야말로 십시일반으로 동참했음을 보여 주었다.
기부자 가운데 10만 달러 이상의 고액을 낸 개인은 최고액 100만 달러를 쾌척한 최등용 씨와 50만 달러를 보탠 신중화 씨를 비롯해, 송하경(Song Ha Kyung Helen)씨가 11만 달러, 그리고 손동일 씨 가족(Dong-il& Michael Sohn)과, 유건인, 손순생, 김학성, 정창헌, 조성호, 한상훈 씨 등이 각각 10만 달러 씩을 기부했다.
단체로는 인수위원회와 아리랑센터 이사진 및 임기동 박사가 한 몫으로 36만1,500달러를 기부했고, 큰빛교회 $15만, PAT 한국식품 $13만5천, 영락교회 $13만3,241, 디모데 장로교회 $10만9,222, 갤러리아 슈퍼마켓 $10만, 밀알교회 $10만, 본 한인교회 $10만 등이다.
인수추진위가 6월14일자로 발표한 성금 기부자 전체 명단은 아래 광고와 같다. 웹사이트 aafcc.ca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인추위는 명단 중 ‘M’자가 표시된 기부자들은 세금공제 영수증을 준비하기 위한 영문이름이나 주소 등 자료가 부족한 경우라면서 해당 기부자들은 이메일이나 문자, 혹은 전화로 정확한 인적사항을 알려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오는 6월29일 오후 7시 온라인 설명회 참여는 이메일 contact-us@aafcc.ca로 연락해 예약하면 온라인 미팅 링크 주소를 보내준다
요양원 성금은 다음과 같이 온라인 기부 혹은 체크나 은행접수 등 여러 방법으로 낼 수 있다.
● Chque: Payable To: AAFCC (Arirang Age-Friendly Community Centre)
보낼 곳: 12 Morgan Ave. Suite 200, Thornhill, ON L3T 1R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