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잉글랜드 콘월서 글로벌 경제 회복 논의
"민주 국가간 협력 강화"…지난해 회의는 코로나로 취소
미국 바이든 외교무대 데뷔…독일 메르켈 마지막 국제무대 전망
영국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대면 회담 방식으로 오는 6월 개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대면 방식의 공식 G7 정상회담은 2년 만에 열리는 것으로, 한국이 게스트로 공식 초청됐다.
올해 G7 의장국인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는 16일 성명을 내고 이번 G7 정상회의는 세계 경제를 자유무역과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코로나19 충격파로부터 회복시킨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장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존슨 총리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우리가 경험한 현대 국제질서의 가장 중대한 시험대이자 우리가 수세대 간 봐온 것 중 가장 파괴적인 힘임이 분명하다"면서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개방의 정신으로 단결해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존슨 총리는 한국, 호주, 인도, 유럽연합(EU)을 G7 정상회담에 게스트로 초청했다고 BBC 방송 등 영국 언론들이 전했다.
영국 정부는 "총리의 야심은 G7을 이용해 전 세계의 민주적이고 기술이 발전한 국가 간에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총리는 (G7 정상회의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과 호주, 인도 정상을 게스트 국가로 초청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 G7 국가와 3개 게스트 국가를 합하면 전 세계 민주주의 체제하에서 사는 인구의 60%를 대변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G7은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으로 구성된 정상 간 협의체다.
이번 영국 G7 정상회담은 잉글랜드 남서부 콘월의 휴양지인 카비스 베이에서 6월 11~13일에 열릴 예정이다.
존슨 총리는 개최지로 콘월을 택한 이유에 대해 "200년 전 콘월의 주석과 구리광산은 영국 산업혁명의 핵심이었다"면서 "올여름 콘월은 다시 한번 세계의 중대한 변화와 진보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G7 정상회의는 당초 지난해 의장국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주재로 지난해 여름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전격 취소됐다. 그에 앞서 G7 정상들은 작년 3월 코로나19 사태 논의를 위해 원격 회담을 개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회원국이 아닌 한국과 호주, 러시아, 인도를 초청 대상으로 언급했고, 동시에 G7이 구식 국가그룹이라는 입장을 피력해 G7을 G11이나 G12로 확대하는 개편론에 불을 붙이기도 했다.
G7 정상회의는 지난 2019년 여름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열린 뒤 2년 만에 개최되는 것으로, 미국 차기 대통령인 조 바이든 당선인이 취임 후 G7 외교무대에 정식으로 데뷔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영국 선데이텔레그래프는 "그(바이든)가 G7 이전에 아마도 캐나다를 제외하고는 그 어떤 다른 나라도 방문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는 영국정부 소식통의 말을 전했다.
아울러 이번 G7 정상회의는 곧 총리직을 내려놓을 예정인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마지막 G7 외교무대가 될 것이라고 독일 dpa 통신이 전했다.
중국, 영국 'G7 한국 초청'에 "세계에 이로운 일 하길"
“다자주의 이데올로기화 해 특정 국가 겨냥 말아야”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
영국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에 한국과 호주, 인도 등 국가 정상을 초청한 데 대해 국제조직으로서 G7이 특정 국가를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이로운 일을 하길 바란다고 중국 당국이 입장을 밝혔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민주주의 국가'를 강조하며 한국, 호주, 인도 등 국가를 G7 정상회담에 초청한 데 대해 평론을 요구받고 이같이 답했다.
화 대변인은 "어떤 국제 조직이든 각국의 상호 신뢰와 협력 증진과 다자주의 수호, 세계 평화와 안정 수호에 도움이 돼야 한다"면서 "우리는 다자주의의 탈을 쓰고 다자주의를 이데올로기화해 특정 국가를 겨냥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다자주의를 핑계 삼아 소수 국가가 제정한 규칙을 국제사회에 강요하는 것 역시 반대한다"면서 "관련 국가들이 상호 존중과 평등의 기초 위에 다른 국가와 함께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모두가 노력해 세계가 더 좋고, 평화롭고, 더 힘을 합치기를 원하지, 세계가 혼란해지고 분열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앞서 존슨 총리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올해 6월 G7 정상회담을 대면 회담 방식으로 개최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한국, 호주, 인도, 유럽연합(EU)을 G7 게스트로 초청했다.
영국 정부는 "총리의 야심은 G7을 이용해 전 세계의 민주적이고 기술이 발전한 국가 간에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총리는 (G7 정상회의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과 호주, 인도 정상을 게스트 국가로 초청했다"고 설명했다.
G7은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으로 구성된 정상 간 협의체다.
G7 정상회의에 한국 등 초청…확대 논의 다시 불 지필까
트럼프, 지난해 개편 필요성 제기…러시아 참여 놓고 반대 부딪혀
영국 "G7 통해 민주적 국가간 협력 강화" …구조개혁 이어질지 주목
트럼프 제기한 G7 개편론 본격 논의될까 (PG)
영국 정부가 올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개최 일정과 방식을 발표하면서 한국과 호주, 인도를 게스트로 공식 초청하기로 했다.
당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G7의 확대 개편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러나 독일과 캐나다 등이 러시아 참여에 대한 반대 입장을 나타낸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대면 회의가 무산되면서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바 있다.
영국 정부는 오는 6월 11∼13일 잉글랜드 남서부 콘월의 휴양지인 카비스 베이에서 G7 정상회의를 대면 회담 방식으로 개최할 예정이라고 16일 발표했다.
현재 G7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등 7개국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이들은 매년 돌아가면서 정상회의를 주최하는데, 관행상 의장국이 비회원국을 초청국 자격으로 초청할 수 있다.
올해 의장국인 영국은 한국을 포함한 게스트 국가 초청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G7 개편론을 따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영국 정부는 대신 초청 국가들이 민주주의 국가이자 기술적으로 발전된 나라라는 점을 강조했다.
영국은 "총리의 야심은 G7을 이용해 전 세계의 민주적이고 기술이 발전한 국가 간에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총리는 (G7 정상회의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과 호주, 인도 정상을 게스트 국가로 초청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 G7 국가와 3개 게스트 국가를 합하면 전 세계 민주주의 체제하에서 사는 인구의 60%를 대변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한국이 G7 정상회의에 초청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한국은 지난 2008년 당시 의장국인 일본의 초청으로 호주와 함께 G8(G7+러시아) 정상회의에 처음 참석한 적이 있다.
영국이 G7 확대 개편과 관련한 언급을 별도로 내놓지 않은 만큼 지금 상황에서 G10 등을 전망하기는 섣부른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영국 정부는 G7이 민주주의 국가 간에 협력을 위한 틀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러시아를 초청 대상에서 제외한 점도 이 때문으로 추정된다.
영국 정부 입장에서는 향후 G7이 확대되더라도 러시아를 제외한 민주주의 국가로 한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간접적으로 밝힌 셈이다.
반면 지난해 G7 의장국이었던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G7 정상회의에 회원국이 아닌 한국과 호주, 인도와 함께 러시아를 초청하고 싶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G7이 구식의 국가 그룹이라는 입장을 피력해 G7을 G11이나 G12로 확대하는 개편론에 불을 붙였다.
다만 G7 확대 개편 구상과 관련해 독일과 캐나다 등이 러시아의 참여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면서 결론은 나지 않았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지난해 G7 정상회의가 취소되면서 이후 개편론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러시아는 G8 회원국이었지만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병합 이후 다른 회원국의 반발로 G8에서 제외되고, 이후 G8은 G7으로 환원된 상태다.
러시아 역시 G20이 있는 상황에서 굳이 G11에 참여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독일 등이 러시아의 G7 재합류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자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지난해 7월 "러시아는 G7에 합류하려고 애쓰고 있지 않다"면서 "게다가 러시아는 현재의 (세계)경제 현실에 더 잘 부합하는 G20과 같은 협의체의 업무 효율성에 아주 만족하고 있음을 여러 차례 얘기해 왔다"고 밝혔다.
일단 올해 정상회의에 게스트 국가로 초청받은 것은 그만큼 높아진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 측의 설명대로 민주주의 국가이면서 높은 기술적 발전을 이룬 국가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다만 일회성 참여가 아닌 G7 구조개혁 움직임으로 이어질지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지난해 개편론이 불거졌을 당시 일본은 한국의 G7 참여를 꺼리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G7에 일본이 아시아 국가로는 유일하게 참여하고 있는 만큼 한국을 포함한 확대에 부정적이라는 것이 일본 언론의 설명이다.
회원국 확대는 현 회원국 모두 동의해야 가능한데 현재 한일 관계 악화로 일본의 동의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G7에 중국이 빠져있다는 점도 한국 정부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G7 정상회의를 중국 견제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미국 차기 대통령인 조 바이든 당선인은 영국에서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G7 외교무대에 정식으로 데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바이든 당선인이 향후 G7 개편론에 어떤 입장을 보이는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팬데믹 독립검토위 “중국·WHO 아날로그 시대처럼 초기대응” (0) | 2021.01.20 |
---|---|
FBI, 펠로시 노트북 훔친 여성 추적…"러 정보기관에 팔려고 해" (0) | 2021.01.19 |
러 나발니 중독 치료한 50대 의사 돌연 사망…의혹 증폭 (0) | 2021.01.18 |
주요문건 찢어버린 트럼프…대통령 기록물 관리 '구멍' 우려 (0) | 2021.01.17 |
노르웨이서 백신 접종 사망자 속출…화이자 맞은 23명 (0) | 2021.01.17 |
올해도 ‘가장 뜨거운 해’ 행렬은 계속된다 (0) | 2021.01.16 |
‘1초에 원자폭탄 4개’ 폭발열 수준…바닷물 온도 사상 최고 (0) | 202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