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포트를 손에 든 여성이 9일 미국 플로리다 해변의 임시 백신센터 앞에서 접종을 기다리며 줄을 서고 있다. 사우스 비치/AFP 연합뉴스

 

미국은 항공여행자에게 적용해온 코로나19 음성판정 요건을 일부 완화했다.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 7일 “미국행 항공여행자는 코로나19 자가검진을 이용해 미국 입국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앞서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지난 1월 미국 국적자를 포함한 2살 이상의 모든 항공기 승객은 항공기 탑승 3일 이내에 유효한 코로나19 음성판정 기록이나 코로나19에서 회복됐다는 기록을 제출하도록 의무화했다.

 

다만 자가진단을 이용하는 국제선 항공기 승객은 진단 테스트 동안 실시간 감독이 이뤄지는 원격진료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 또 항공사는 검진자의 신원과 상세한 검진 결과를 점검하고 확인해야 한다.

미국 항공업계는 이 조치에 대해 “국제 항공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도록 고무하는 조치”라고 환영했다. 박병수 기자

지난 3월 10명 숨진 볼더 식료품점 총격 이어 또 참사

 

 콜로라도 총기 난사가 발생한 이동식 주택 단지 [AP=연합뉴스]

 

미국 콜로라도 주에서 생일 파티 도중 총기 난사가 벌어져 용의자를 포함해 7명이 숨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AP통신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9일(현지시간) 0시를 조금 넘긴 시각 콜로라도주 콜로라도 스프링스 동쪽에 있는 한 이동식 주택 단지에서 발생했다. 콜로라도 스프링스는 콜로라도에서 주도인 덴버 다음으로 큰 도시다.

 

경찰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6명의 성인이 숨진 채로 발견됐고, 한 명은 심각하게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결국 목숨을 잃었다.

용의자는 현장에서 희생된 한 여성의 남자 친구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파티에는 생일을 맞은 이의 친구와 가족, 어린이들이 참석했다.

 

경찰은 용의자가 차를 몰고 사건 현장으로 온 뒤 파티에 참석한 이들을 향해 총을 쏘기 시작했고, 이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밝혔다.

같이 있던 어린이들은 화를 당하지 않았고, 현재 친척들에게 맡겨진 상태다.

 

범행 동기와 피해자, 용의자의 신원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동식 주택 단지란 토지 소유주가 일정한 임차료를 받고 부지를 제공하면 거주자가 이동식 주택이나 트레일러 주택 등을 설치해 거주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곳을 말한다.

 

   볼더 총격 당시 사건 직후 경찰에 체포돼 연행된 남성 [트위터 게시물 캡처]

 

콜로라도에선 그간 대형 총기 사건이 종종 발생했다.

지난 3월 22일 볼더의 식료품점 '킹 수퍼스'에선 21세 남성이 총기를 난사해 경찰을 포함해 모두 10명이 숨지는 참사가 빚어졌다.

 

1999년엔 컬럼바인 고교에서 학생 2명이 900여 발의 총을 쏴 교사 1명과 학생 12명이 숨지고 23명이 부상하는 사건이 발생해 미국을 큰 충격에 빠뜨렸다. 당시 가해 학생 2명도 숨졌다.

 

또 2012년 영화 '다크 나이트 라이즈' 개봉 당시 조커를 모방한 20대 청년이 덴버의 외곽 오로라 지역 영화관에서 총기를 난사해 어린이를 포함해 12명이 숨지고 70명가량이 부상한 사건도 있었다.

"특권 옹호하는 검찰과 언론 바로 서야 민생 전진"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10일 "'개혁이냐 민생이나 양자택일' 논리는 기득권 세력이 주입한 개혁에 대한 두려움일 뿐, 개혁 없는 민생은 없다"고 밝혔다.

 

추 전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검찰·언론개혁 대신 민생에 집중해야 한다는 말은 민생과 개혁을 나눠 국민과 개혁 집권세력을 이간시키고 개혁 진영 내 분란을 키워 개혁의 힘을 빼려는 '반간계'에 불과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당내에서 4·7 재보선 참패 후 개혁보다는 부동산과 백신 등 민생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나오는 데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선명성을 내세워 보폭을 넓히는 차원으로 보인다.

 

추 전 장관은 "개혁을 천천히 하자는 건 민생을 천천히 챙기겠다는 것이며, 지금 시기 개혁을 하지 말자는 것은 지금부터 민생을 포기하자는 말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혁을 포기하고 민생을 중도화 전략 정도로 생각하는 건 착각"이라며 "진정 민생을 짓누르는 건 곳곳에 자리 잡은 반칙과 특권, 극소수에 집중된 부동산 불로소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파트 1평보다 못한 청년의 목숨값을 이대로 둔 채 도대체 민주당은 어떤 개혁, 민생을 원하느냐"며 "특권을 옹호하는 검찰과 언론이 바로 서야 민생의 전진을 가져올 수 있다"고 했다.

 

추 전 장관은 "보수언론과 보수 야당의 간교한 정치적 주문을 쇄신이라 착각하고 개혁의 고삐를 늦춘다면 개혁 세력의 미래는 암울할 뿐"이라며 "저항 없는 개혁은 개혁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진정 민생을 생각한다면 개혁을 멈춰선 안 된다"며 "부디 개혁 부진에 낙담하는 촛불 시민들에 다시 강력한 개혁 진군을 위한 연대와 희망의 손을 내밀 때"라고 덧붙였다.

캐나다, 잇단 봉쇄 조치에 4월 일자리 20만개 감소

● CANADA 2021. 5. 10. 05:01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절반이 15~24세 청년층…소매·요식업계 등 타격

 

               휴업 고지판을 내건 온타리오주의 한 식당

 

지난달 캐나다의 일자리가 20만 7천 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7일 월간 고용 동향 보고서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저지를 위한 잇단 경제 봉쇄 조치로 고용 시장이 타격을 입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당초 경제계의 감소 예상치 17만5천 개를 상회하는 규모이며, 이에 따라 실업률이 전달 7.5%에서 8.1%로 악화했다.

 

일자리 감소로 인한 실직자의 절반가량이 15~24세 청년층으로 소매, 요식업, 정보, 문화 및 레저 부문이 타격을 입었다.

감소분은 풀타임제가 12만9천 개, 파트타임제 7만8천 개로 조사됐다.

 

일자리 감소의 대부분은 경제 봉쇄 조치를 엄격하게 적용한 온타리오주와 브리티시 컬럼비아(BC)주에 집중됐다.

 

온타리오주의 경우 15만3천 개의 일자리가 감소, 주별로 최대치를 기록했고 BC주가 4만3천 개로 뒤를 이었다.

 

한 분석가는 "전국적으로 경제 봉쇄가 지속되는 이상 고용 시장이 5월에도 완전히 회복세를 보이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고 있고 코로나19 발병 추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조짐"이라며 "고용 시장 개선이 기대되지만,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