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통 캐나다 토론토협의회(회장 김연수)와 밴쿠버협의회(회장 정기봉)가 공동주최한 김성곤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초청 평화통일 강연회가 4월20일 저녁 온라인 화상으로 열렸다.
토론토와 밴쿠버는 물론 워싱턴 등 타지 평통 자문위원 등도 참여한 이날 영상 강연에서 김 이사장은 ‘글로벌시대 재외동포의 역할' 이라는 제목으로 2시간여 강연과 질문답변을 진행했다.
김성곤 이사장은 ‘진정한 공공외교는 특정국가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구현하고 세계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 이라며 “750만 재외동포들이 주재국에 한국을 대변하는 노력과 병행하여 한민족이 세계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며 ‘홍익인간’ 정신으로 신문명을 창조하여 평화로운 지구촌을 건설해 나가기 바란다”고 밝혔다.
김 이사장은 “한반도는 동아시아에서 19~20세기 자본주의-공산주의 문명충돌의 중심에 놓여 역사적으로 피해가 컸다”며 ‘산업혁명으로 영국이 세계를 하나로 만들었듯이 한국이 타민족을 내민족처럼 사랑하는 마음으로 공공외교와 의식혁명을 주도하면 분열된 세계를 다시 하나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날 화상강연은 미-중 대립에 따른 한국의 대처방안과 구체적 남북통일 방안에 대한 참가자 질문에 김 이사장이 답변하는 것으로 마무리 짓고 신트로트 ‘붓’을 감상한 후 2시간여에 걸친 강연회를 마쳤다. < 문의: 416-737-650 >
53명을 태운 채 발리 앞바다에서 실종된 인도네시아 해군 잠수함 낭갈라함(Nanggala)이 결국 세 동강이 난 채 해저 838m에서 발견됐다.
'탑승자 전원 사망' 선고를 받은 유족들은 "제발 시신 수습만이라도 해달라"며 눈물로 호소했다.
해저 838m에서 발견된 침몰 잠수함 낭갈라함 [AP=연합뉴스]
26일 인도네시아 해군과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독일산 재래식 1천400t급 잠수함 낭갈라함은 지난 21일 오전 3시 25분(자카르타 시각 기준)께 발리섬 북부 96㎞ 해상에서 어뢰 훈련을 위해 잠수한 뒤 실종됐다.
탑승자는 49명의 승조원과 사령관 1명, 무기 관계자 3명이며, 낭갈라함은 당초 해저 600∼700m까지 가라앉은 것으로 추정됐다.
인도네시아 해군은 수중음파 탐지기를 이용해 24일 수심 800m 이상 지점에 낭갈라함이 가라앉은 것으로 파악했고, 25일 싱가포르 정부가 지원한 구조함이 카메라가 장착된 수중 로봇을 해당 지점에 내려보낸 결과 수심 838m 지점에서 낭갈라함을 확인했다.
수중 로봇이 전송한 영상을 보면 낭갈라함은 최소 세 동강이 난 상태이고 동체에 균열이 발생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구명조끼가 보관함 밖에서 발견됨에 따라 탑승자들이 탈출을 시도한 것으로 추정됐다.
해저 838m에서 발견된 침몰 잠수함 낭갈라함 [EPA=연합뉴스]
탑승자 53명의 가족은 사고 발생과 동시에 '생존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전망을 접했지만, 실제 '전원 사망' 소식을 접하자 망연자실한 표정을 지었다.
잠수함 전문가들은 실종 초기부터 "낭갈라함은 건조된 지 40년이 지난 재래함이고, 최대 잠항심도가 250m라서 수심 600m 이상 가라앉았으면 이미 찌그러져 탑승자들의 생존 가능성이 없다"고 전했다.
이제 가족들은 어떻게든 시신을 수습해 장례를 치르게 해달라고 기도하고 있다.
낭갈라함에 사령관으로 탑승한 해리 세티아완 대령의 모친과 가족들은 "제발 시신을 수습해 수카부미의 가족 묘지에 묻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군 당국이 '전원 사망'을 발표한 뒤 해리 대령의 집에는 많은 친인척과 이웃 주민들이 방문해 그의 영혼을 알라가 받아드리길 기원하는 이슬람 기도를 함께 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국방부 장관도 밤늦게 해리 대령의 시신 없는 빈소를 방문해 "고인의 네 자녀를 지원하겠다. 첫째 아들이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는 것을 돕고, 몸이 아픈 막내 아이의 치료비를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해리 세티아완 대령 가족들 "시신 수습만이라도"[AFP=연합뉴스]
수중 로봇이 심해에서 가벼운 잔해는 수거할 수 있지만, 동체를 들어 올리거나 동체 안으로 들어가 희생자 수습 등의 활동은 할 수 없다.
인도네시아 군 당국은 물론 세계 각국의 잠수함 전문가들이 희생자 수습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
2017년 아르헨티나 해군 잠수함 'ARA 산후안'호가 44명을 태운 채 실종됐고, 1년 뒤 심해 수색 전문업체가 해저 907m 지점에서 동체를 찾아냈으나 인양은 이뤄지지 못했다.
1968년 52명을 태운 채 실종된 프랑스 해군 잠수함 '라 미네르브'호도 2019년 같은 심해 수색 전문업체가 해저 2천370m에서 찾아냈으나 역시 인양은 하지 못했다.
한편, 낭갈라함 침몰 원인에 대해 인도네시아군 수뇌부는 "인적 요인, 인간의 실수가 아니라 자연적 요인에 더 가까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침몰 낭갈라함 탑승자 유족들. 연합뉴스
인도네시아 침몰 잠수함 잔해 발견…승조원 53명 모두 사망
인도네이시아 잠수함 수색팀이 25일 탄중 왕이 항에서 실종 잠수함 ‘낭갈라 402’ 수색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탄중 왕이 항/신화 연합뉴스
실종됐던 인도네시아 잠수함 ‘낭갈라(Nanggala) 402’의 잔해가 해저에서 발견됐다고 인도네시아 군당국이 25일 공식 확인했다.
하디 타잔토 군사령관은 이날 발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해저 사진을 확보했는데 여기에 잠수함의 수직 키와 닻, 외부 압력 선체 등과 같은 잔해가 확인됐다”며 “이 신뢰할 만한 증거에 따라 우리는 잠수함 낭갈라 402가 침몰했고 선원 53명은 모두 숨졌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해저 사진은 싱가포르 선박 ‘MW 스위프트 레스큐’(MW Swift Rescue)이 운용하는 로봇의 카메라가 촬영했으며, 인도네시아 함정 ‘KRI 리겔’(KRI Rigel)이 잠수함의 침몰 추정 지역을 음파탐색기(소나)와 자력탐지기로 수색했다고 타잔도 사령관이 덧붙였다.
사고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다. 인도네시아 해군은 앞서 전기적인 문제가 생겨서 잠수함이 재부상을 못한 것일 수 있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독일에서 제작된 1400톤급 디젤 잠수함인 낭갈라 402는 21일 오전 3시 25분(현지시각)께 발리섬 북부 96㎞ 해역에서 어뢰훈련을 위해 잠수한 뒤 실종됐다. 박병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