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통 토론토협의회(회장 김연수)가 지난해 11월18일 북미 각지역 협의회와 함께 화상으로 개최한 ‘캐나다의 역할’(Why Canada Should Care?)이라는 주제의 한반도 평화포럼(Korean Peace Forum)을 기록한 동영상에 한글자막을 삽입해 유튜브(https://youtu.be/JD4EJyjwv28)를 통해 배포했다.
한인 동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글자막을 삽입한 이 영상포럼은 장경룡 주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가 기조 연설을 하고 도널드 리커드 토론토 대학 선임연구원이 사회를 맡아 영어로 진행된 행사였다. 패널로는 마리우스 그리니우스 (전 한국과 북한 주재 캐나다 대사), 폴 에반스 브리티쉬 컬럼비아대학 교수 그리고 에릭 오인가트너 전 국제교회위원회 사무총장이 맡아 토론과 발표가 있었다.
포럼에는 정세현 평통 수석부의장이 영상 축사를 했고, 마틴 상원의원과 넬리 신 하원의원 등 전-현 정치인과 수전 리치 First Steps(캐나다 북한아동지원단체) 등 북한관련 단체 대표, 평통 북미 각 지역 협의회장과 회원 등 1백여 명이 참가했다.
포럼에서 장 대사는 ‘캐나다가 75년간 분단된 한반도 문제에 보다 더 관심을 기울일 수 있겠는지, 가장 효과적인 캐나다의 지원 방책은 무엇인가’에 대한 견해를 피력했다.
패널로 나선 폴 에반스 교수는 ‘한반도 평화 유지를 위한 캐나다 역할의 과거와 미래 전망’에 대해 의견을 밝혔고, 마리우스 그리니우스 전 대사는 ’주변강국들에 둘러쌓인 분열된 한반도에서 캐나다가 왜 한국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하는지‘를 강조했다. 또 에릭 와인가트너 전 총장은 WFP 파견 평양 경험을 토대로 캐나다의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이 한반도 평화구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김연수 평통 토론토 회장은 "많은 동포들이 한글자막이 삽입된 이 평화포럼 동영상을 시청하며 캐나다의 한반도 전문가들 의견을 듣고 평화통일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문의: 416-737-6500, nuactorontoofficial@gmail.com >
미 상원 청문회에서 발언하는 파월 연준 의장: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지난해 12월 1일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상원 은행위원회가 주최한 청문회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새해 들어 미국 등 주요국 채권 금리의 상승세가 가팔라지면서 주식시장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등한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주가 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바라본다.
다만, 금리 상승이 경기 회복세를 반영하는 만큼 강세장 지속이라는 증시 방향성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대체로 평가한다.
◇ 경기회복·물가반등에 금리상승 가속…美 10년물 1.4% 눈앞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제금융시장에서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날 장중 연 1.39%까지 고점을 높였다.
지난 12일 저항선으로 여겨지던 연 1.2% 선이 뚫린 지 불과 10일 만에 20bp(1bp=0.01%포인트)가 급등한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재정지출 부담이 급증한 상황에서 1조9천억달러(약 2천100조원) 규모의 추가 부양책 통과가 가시화한 영향이다.
신(新)채권왕'으로 불리는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캐피털 대표는 이날 트위터에 "추가 부양책이 없더라도 연방정부 부채는 16일 안에 28조달러를 넘어설 것이고, 2조달러 언저리의 추가 부양책이 통과되면 부채는 조만간 30조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유가 반등 등 여파로 인플레이션 기대가 커지면서 명목 금리뿐만 아니라 실질 금리도 상승하고 있다.
미국 실질금리의 대용 지표인 물가연동국채(TIPS) 10년물 금리는 22일(현지시간) -0.79%로, 작년 11월 9일(-0.7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가가 크게 오른 상황에서 채권 금리마저 상승해 위험자산(주식)과 안전자산(채권) 간 기대 수익률 차이가 줄어들면 위험자산의 투자 매력도가 떨어져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박희찬 미래에셋대우[006800] 연구원은 "작년 11월 이후 하락 내지 안정되면서 글로벌 증시에 우호적이었던 실질 금리가 3개월 만에 최고치로 오른 게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글로벌 증시는 작년 9∼10월 미국 실질 금리 상승 구간에서 조정 양상을 띤 바 있다"고 말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 추이 ※자료: 인포맥스
◇ 금리 상승발 '긴축발작' 경계하는 금융시장
증권가에선 2013년 '테이퍼 텐트럼'(긴축발작)의 재현을 우려하고 있다.
테이퍼 텐트럼은 2013년 벤 버냉키 당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양적 완화를 종료하기 위해 자산매입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치자 미국 국채 가격이 폭락(채권금리 상승)한 사태를 말한다.
버냉키 의장의 발언으로 전 세계 금융시장이 충격을 받았고, 이는 신흥국의 자본 유출과 자산가격 급락으로 이어졌다.
제롬 파월 현 연준 의장은 통화완화 정책을 지속한다는 방침을 여러 차례 재확인했지만, 물가 반등 및 경기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것이란 기대가 나오면서 시장에선 연준을 향해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는 상황이다.
이번 주 열리는 파월 의장의 미 의회 증언에 더욱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한편 22일(현지시간)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연 1.4% 선에 육박하자 미국 증시도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출렁였다.
테슬라는 8.55% 급락해 3일 연속 하락했고, 애플(-2.98%), 아마존(-2.13%), 마이크로소프트(-2.68%) 등 미 증시 대장주들도 낙폭이 컸다.
대형 기술주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미래 성장성을 높게 평가받으면서 평가가치(밸류에이션)를 높게 받았는데, 현재 기업가치를 결정하는 할인율(금리)이 높아지자 주가가 상대적으로 더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 "경기 회복국면…강세장 방향성 큰 변화 없어"
증시 전문가들은 작년 말 이후 개인 매수세에 힘입어 주가 급등세가 가팔랐던 만큼 주가의 단기 조정은 불가피할 수 있지만, 강세장 지속이라는 방향성은 흔들림이 없을 것이란 의견을 대체로 내놓는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지금 시장은 기본적으로 유동성 장세이고, 그 근간은 통화공급 및 금리와 연관된다"며 "금리 상승은 시장에 분명한 조정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 상승은 물가뿐 아니라 경기회복 속도가 반영되는 부분도 있지만, 이를 반영해 시장 심리가 바뀌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금리 상승은 기본적으로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시그널이지만, 주가가 그동안 너무 빨리 올랐던 만큼 시장이 단기적으론 부침을 겪을 수 있다는 의미다.
김형렬 교보증권[030610] 리서치센터장은 "국채 금리가 급등하자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확대돼 통화정책 기조가 바뀔 수 있다는 불안감과 주식시장의 고평가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 주요 지수의 기대수익률과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미국 증시의 저평가 매력이 약화됐다는 분석을 부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저금리의 기본적인 틀이 바뀌지 않은 만큼 주식에서 채권으로 중심축이 이동할 만큼 확실한 신호가 발생했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정명지 삼성증권[016360] 투자정보팀장은 금리 상승 영향에 대해 "시장을 본격적으로 끌어내릴 요인은 아니다"라며 "시장 방향성에 대해선 큰 영향이 없다고 본다"고 판단했다.
다만 그는 "인플레이션 대응과 관련한 종목이나 경기민감주는 상승하는 반면, 그동안 투자자들이 빚을 내 샀던 테마주들은 이자 부담 상승으로 주가가 주춤해질 수 있다"고 "전날 미국 나스닥지수는 내리고 다우 종합지수는 오른 게 이런 시장 색깔 변화를 반영한다"고 말했다.
장초반 하락하는 코스피: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10.49포인트(0.34%) 내린 3,069.26에 출발했고, 코스닥은 2.06포인트(0.22%) 내린 952.23에 개장했다.
22일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가 50만 명이 넘은 것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이날 그는 부인 질 여사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부부와 함께 촛불 추모행사에 참석했으며 연방기관에 조기를 걸도록 지시하는 등 미국이 직면한 비극적 현실을 국가적으로 애도했다. (워싱턴 AFP=연합뉴스)
미국에서 코로나19로 숨진 사람이 22일 50만명을 넘어서자 정부 차원에서 추모에 나서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촛불 추모행사에 참석하고 연방기관에 조기를 걸도록 지시했고,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도 의사당에 조기 게양을 지시하는 등 미국이 직면한 비극적 현실을 국가적으로 애도하는 분위기다.
워싱턴포스트(WP)는 "바이든 행정부가 팬데믹의 치명적 영향에 지속해 집중하는 것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심각성을 거듭 얕잡아 말하고 미국인들이 추모하는 것을 이끌 생각이 없어 보였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은 이날 미국의 누적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수를 2천818만1천128명, 누적 사망자 수를 50만71명으로 각각 집계했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1월 20일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고, 2월 초 첫 사망자가 나왔는데 그로부터 1년 남짓 만에 무려 50만명이 이 질환으로 생명을 잃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숨진 미국인 수(약 40만5천명)보다 더 많은 것이라고 CNN은 전했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나라다. 미국의 감염자는 확진자 수 2위인 인도(1천100만5천여명)의 거의 3배에 달하고, 미국의 사망자는 2위인 브라질(24만6천여명)의 2배가 넘는다.
사망자 50만명은 미국 전체 인구 3억2천820만명(미국 인구조사국 기준)의 0.15%에 달한다. 이는 그동안 미국인 660명당 1명꼴로 코로나19로 숨졌다는 뜻이다.
또 미국인 12명 중 1명(8.6%)이 지금까지 확진 판정을 받은 적이 있는 셈이다.
고무적인 소식은 백신 접종에 조금씩 속도가 더 붙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날까지 7천520만5천여회분의 백신이 배포됐고, 이 중 6천417만7천여회분이 접종된 것으로 집계했다.
백신을 1회 이상 접종한 사람은 4천413만8천여명, 2회까지 접종을 마친 사람은 1천943만8천여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그러나 이는 각각 미국 전체 인구의 약 13%, 6%에 달하는 것으로, 코로나19의 전파를 막기 위한 집단감염 형성에 요구되는 추정치 70∼85%에는 크게 못 미치는 것이라고 CNN은 지적했다.
전염성이 훨씬 더 강한 것으로 알려진 변이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도 위험 요소다. CDC에 따르면 지금까지 미국에서는 약 1천700건의 변이 감염자가 확인됐다. 이는 영국·남아프리카공화국·브라질발(發) 변이를 모두 합친 것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실제 현실을 과소 반영하는 것으로 보건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코로나19 감염자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를 확인하려면 별도의 유전자 시퀀싱 검사를 해야 하는데, 미국은 아직 이 검사를 충분히 많이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검사를 확대할 경우 실제 변이 감염자는 지금까지 표면적으로 드러난 것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보건계량분석연구소(IHME)는 영국발 변이인 B.1.1.7이 현재 미국 감염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20%에 못 미치지만 4월 하순께에는 80%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정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지금부터 수십 년 뒤 사람들은 이처럼 많은 사람이 호흡기 감염으로 숨진 것을 두고 이 나라의 역사에 끔찍하게 역사적인 이정표였다고 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