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5:3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요”

빈틈이 없는 사람은 박식하고 논리 정연하지만, 마음에 틈이 없으면 따뜻한 사람이 되기 어렵습니다. 틈만 보이면 남을 몰아 세우거나 위선적인 행동을 하고, 틈을 타서 자신만의 이익을 도모하는 사람이 있지만 틈이 있는 사람은 사람이 들어갈 여지를 남기고, 들어온 사람을 편히 쉬게 하는 여유가 있습니다.
틈이란 소통의 창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려내지 않고 애쓰지 말고 있는 그대로 열어 놓아 보십시오. 그 빈틈으로 사람들이 찾아오고 그들이 내 인생의 동반자가 되어 삶을 풍요롭게 행복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미국 미조리 주, 어느 시골마을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그곳에 아주 작은 미용실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갑자기 몰려드는 어느 날이었습니다. 오는 손님마다 하나같이 삭발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미용사는 사연이 궁금했습니다.
그 마을에는 약 50여명이 출석하는 작은 교회가 있습니다. 삭발을 요구했던 손님은 다 그곳을 다니는 교인들이었던 것입니다. 처음에 미용사는 이상한 광신도들이 모인 곳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모든 교인들이 미용실에서 삭발을 요구했던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교인들로부터 사랑을 받던 여자 중학생 때문이었던 것입니다.
암 수술을 하고 항암치료까지 마쳤지만 교회를 나오지 않자 목사님과 몇몇 성도들이 함께 심방을 갔더니, 여학생은 밀어버린 머리 때문에 창피해서 외출을 못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교회에 돌아와 성도들과 의논한 결과, 교인들 전체가 모두 머리를 깎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교인들은 여학생에게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 주기로 했습니다.


이 소식을 미용사는 방송국에 소개를 하였고 취재진들이 교회에 몰려와 있던 어느 주일날, 엄마는 소녀를 간곡히 설득하여 모자를 씌워 교회로 데리고 갔습니다. 이 모녀가 교회 문을 열고 들어간 순간, 50여명의 머리카락이 없는 머리를 본 소녀는 자기를 위한 교인들의 마음에 감동하여 울고 말았습니다.
이 광경을 취재하던 리포터도 눈물을 흘리며 중계방송을 합니다. “나는 크리스천이 아닙니다. 하지만 언젠가 제가 교회를 나간다면 이런 교회를 다니고 싶습니다.”
사랑은 감동의 꽃을 피웁니다. 감동은 마음의 문도 여는 열쇠입니다. 사랑은 바위 같은 마음도 녹이는 활활 타는 용광로가 되고 빙산같은 마음도 녹이는 따스한 봄바람이 됩니다. 우리의 작은 배려가 토론토의 도시와 시민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고 오늘도 기도합니다.

< 정성남 목사 - 갈보리장로교회 담임목사 >



「메가처치」 따라하려고 말라

● 교회소식 2016. 2. 27. 20:17 Posted by SisaHan


목회리더쉽 전문가 조언 “자체 적합시스템 구축을”

미국의 기독교 리더십 전문가이자 이 분야 베스트셀러 작가인 캐리 니위호프(Carey Nieuwhof) 목사가 처치리더스닷컴 최근 칼럼에서 ‘중소형교회들이 대형교회를 따라해서는 안되는 5가지 이유(5 Reasons You Shouldn’t Copy a Megachurch)’를 제시했다. 니위호프 목사는 미국 코넥서스 (Connexus) 교회의 창립목사로 전 세계를 다니며 목회와 기독교 리더십 강연과 훈련도 실시하고 있다. 니위호프 목사는 목회자들이 대형교회 지도자나 대형교회를 모델로 삼는 것 자체는 나쁘지 않다는 점을 먼저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최고의 방안들을 도입하는 것과 단순히 맹목적으로 따라 하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며, “좋아하는 지도자나 교회나 단체를 무비판적으로 따라 할 때 빠질 수 있는 함정”에 대해 제시하려 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니위호프 목사가 정리한 ‘대형교회를 따라 해서는 안되는 5가지 이유’의 요약이다.

1. 이 모델, 저 모델을 섞어서 따르게 된다.= 90년대에 개척교회 지도자로 목회를 시작하면서 새들백교회와 윌로우크릭교회를 모델로 삼았다. 그러던 중 1999년에 한 목회 전문 컨퍼런스에서 현재 교회에서 실시되고 있는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을 강사로부터 받았고 나는 이들 교회 외 다른 교회들의 강점들을 뽑아 적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날 강사가 내게 한 말은 절대 잊지 못할 것이다. “당신은 교회 모델이란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요. 한 교회의 모델과 다른 교회의 모델은 절대로 양립 불가능한 것이랍니다. 다 같은 게 절대 아니에요.” 그는 100%는 옳았다. 많은 대형교회들이 얼핏 보면 같아 보이지만 이들 교회들은 그룹 사역, 어린이 사역, 교역자 및 직원 체계, 커뮤니티 프로그램 등 다양한 영역에서 각자 다른 전략을 취하고 있다. 교회 모델을 연구할 때는 그 차이에 주목해야 한다.

2. 양립 불가능한 혼종 모델을 만들어내게 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이 모델 저 모델을 섞어서 따르게 되면 결국 아무 효과가 없는 혼종(混種) 모델을 만들기 쉽다. 우리가 연구하고 따르는 교회 모델들은 오랜 시간의 발전, 기도, 시도, 착오, 조정의 산물이다. 교회 모델에서 우리가 원하는 부분만을 떼와서 다른 모델의 또 다른 부분과 결합하게 되면 그 새로운 모델은 실패작이 될 가능성이 높다.

3. 그 모델은 우리 교회의 것이 될 수 없다.= 이는 매우 결정적인 이유다. 다른 교회의 모델을 모방하는 것은 컨퍼런스를 찾아다니고, 책을 읽고, 블로그를 탐색하고, 지도자들을 찾아가 아이디어를 나누어서 직접 모델을 만들어보는 것보다는 훨씬 쉽다. 그러나 우리가 ‘빌려오려는’ 모델은 그 모델은 온전히 그들의 것이다. 또한 그것을 단순히 따라 한다고 해서 우리 교회도 역시 똑같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우리 스스로도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물론 가능하다. 씨름하고, 재고하고, 수정하고, 실험하고, 적용하라. 그러면 자신의 모델이 생긴다.

4. 우리 교회의 시스템을 바꾸어야 하게 된다.= 다른 교회의 모델을 가져오게 되면 그 적용을 위해 우리 교회의 변화가 필요하고 때로는 시스템까지 바꿔야 할 수 있다. 그 결과는 치명적일 수 있다. 마치 기반이 흔들리는 집의 벽만 새로 교체하는 것처럼, 겉으로는 근사해 보이겠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하나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다.

5. 우리 교회만의 배경과 상황을 간과하게 된다.= 많은 목회자들이 배경과 상황을 핑계거리로 댄다. 그러나 가장 비효율적인 목회를 하고 싶다면 배경과 상황을 핑계거리로 대라고 말하고 싶다. 우리 교회만의 배경과 상황을 핑계거리로 삼을지, 아니면 그것들을 오히려 발판 삼아 발전을 이룰지는 목회자 몫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우리에 맞는 모델과 그들에 맞는 모델이 있다. 같은 나무를 심어도 토양에 따라 결실은 달라진다.



난청과 언어

●온타리오주 정부가 보조
캐나다에서는 청력의 손상을 장기 치료의 장애로 분류하여 온타리오 정부가 보조를 합니다.
Ontario Ministry of Health and Long-Term Care 의 ADP (Assistive Device Program) 은 온타리오 주의 거주인으로 유효한 온타라오 헬스(OHIP) 카드 소유자 가운데 청력 지체자 들에게 정부에서 보청기나 보조기구를 구매할 경우 가격의 75%나 아니면 최고 $500 보조를 매 3년마다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청력의 변화가 일정 기준 이상 있을 경우에는 추가 수혜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Ontario 내의 모든 보청기의 ADP Catalogue Number와 가격은 정부에 등록되어서 일정한 가격을 적용하고 구매 후에도 정부의 보고가 의무화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한국이나 미국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매우 저렴합니다.
만약 수혜자가 ODSP(Ontario Disability Support Program), OW(Ontario Works), OCSD (Assistance to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등의 해당자라면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만약 해당자가 WSIB(Worker’s Safety and Insurance Board)-산재 보험 해당자 이거나 DVA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참전용사의 경우는 ADP 의 혜택에서 제외되고 이들은 WSIB 나 DVA로부터 전액 또는 일부의 보조를 받게 됩니다.


특별히 한인 이민자의 경우 5인 이상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있는 WSIB 즉, 산업재해 해당자의 업체에서 일정 기준의 소음 환경에서 3년 이상 근무한 경우에는 청력 검사 후 일정한 심사를 거쳐 소음에 의한 청력 손상으로 판정이 될 경우는 대부분의 절대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 이 혜택의 내용을 잘 모르고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으나 당연히 받아야 할 혜택이자 권리 입니다.

< 김호찬 - 김 보청기 대표, CK Hearing Centre >
상담 및 문의: 416-961-4848



한인회관에서 열린 호남향우회 대보름잔치 및 정기총회 모습.

김종천 새 회장(단상 왼쪽)의 제안으로 그동안 수고한 이병용 회장 등 구 임원들이 향우들의 큰 박수를 받고 있다.


2월20일 저녁 토론토 한인회관에서 열린 호남향우회 대보름잔치와 2016 정기총회가 170여명이 참석하는 성황속에 회원들이 장기자랑 등 흥겨운 시간을 가졌다. 이날 총회는 국민의례와 사업 및 결산보고에 이어 이병용 회장이 그동안 물심양면으로 기여한 박기순·김소일 두 향우에게 감사패를 전하고 전임 최재만 회장과 손창균 이사장에게 공로패를 주었다.


임원선거에서는 새 회장에 김종천 향우(시사한겨레 발행인)를 만장일치로 선출했다. 김 회장은 “향우회 발전과 자긍심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총회에 이어 이영실 씨 사회로 한국왕복 항공권과 밥솥 등 경품이 걸린 노래자랑과 추첨이 이어졌다.


< 문의: 905-580-3233 >